1. 지명
1.1.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옛 지명
東平부산광역시 부산진구와 동구 일부를 가리키는 옛 지명. 757년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시절에 설치한 행정구역 동평현으로부터 유래되었다. 일설에는 동래군의 동래읍성으로부터 "남동쪽 20마일의 평평한 땅" 이라는 명칭으로 한 고을을 이루었다는 설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고 하나, 지리를 보면 동평에 해당하는 지역은 동래읍성 기준 남서쪽이므로 정확한 설명은 아니다. 임진왜란 당시 기록을 보면 지금의 구평 일대를 서평진이라 부른 기록이 있는데[1], 이와 대비되는 이름으로 보는 것이 오히려 지리적으로는 합리적인 설명이 된다. 이렇게 했을 때는 부산포를 기준으로 부른 이름이 아니었을까 하는 추측이 가능하다. 부산왜성을 기준으로 신축한 범일동-문현동 일대의 부산진성이 아닌, 임진왜란 이전의 구 부산진성(좌천동 일대)을 기준으로 한다면 동평이 부산진성의 북동쪽이 된다.
현대적 기준으로는 부산진구만 가리키는 것이 아닌 현 동구 범천동, 범일동, 좌천동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을 지칭하였다.
그 외에도 동평을 지명으로 사용하는 대구광역시와 울산광역시가 있으며 한자도 동일하다.[2]
1.1.1. 상세
현재 동평이라고 하면 부산진구 당감동과 부암동 일부만 지칭하며 동쪽의 평평한 땅 이라는 명칭에서 유래되었으나 실제 당감동은현재는 부산진구 전체를 가리키지 않고 당감동과 부암동 일부를 지칭하는 지명으로 쓰이고 있다. 그리고 이 곳이 위치상 부산의 정중앙으로 지리상 표기되어있으며 부산의 정중앙임을 알리는 표석과 안내문이 있다. #, # 특히 당감4동은 한 때 '동평동'이었던 적도 있었어서 동평이라는 지명을 많이 쓴다.
관문대로 백양터널어귀삼거리부터 양정교차로까지 지명을 딴 동평로[3]와 동평초등학교, 동평중학교, 동평여자중학교 등등이 있으며 옛 화장터 자리를 인수하여 학교를 설립한 개성고등학교 또한 동평에 있다. 그 외에도 부산 버스 167 노선 등등으로 쓰인다. 다만 부산에서 전체적으로 쓰이는 지명은 아닌지라 당감동과 부암동 거주 사람이 아니면 못알아들을 수 있다.
최근에는 동평일대가 서면과 가깝기에 센텀시티가 그러하듯이 이 일대 아파트 역시 당감 또는 부암 OO 아파트보다 서면 OO 아파트의 비중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당연하게도 이는 집값과 연계돼있기 때문.[4] 이로 인해 서면이라는 지명의 확대와 동시에 동평이라는 지명이 계속해서 인지도가 줄고 있는 상황이다.
1.2. 발해 15부 중 하나
동평부. 연해주 서부 한카호 인근에 있었다.1.3. 중국 산둥성 둥핑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둥핑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둥핑현#|]][[둥핑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인물
2.1. 호접몽전의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평(호접몽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평(호접몽전)#|]][[동평(호접몽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흔히 다대포진성 전투로 알려진 윤흥신 첨사의 전투가 서평진에서 1차로 이루어졌다는 기록이 있다.[2] 따라서 전국의 동평초등학교와 동평중학교는 대구와 울산, 부산 세 군데가 있다.[3] 동평로를 완주하는 노선은 부산 버스 179가 있다. 또한 동평 지역을 크게 순환하는 백양순환로가 있다.[4] 사실 여기뿐만 아니라 아예 원부산권인 동구 범일동에도 '서면'이 붙은 아파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