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궤적 시리즈에 등장하는 물건}}}에 대한 내용은 [[레갸른의 상자]]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레갸른의 상자#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레갸른의 상자#|]]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궤적 시리즈에 등장하는 물건: }}}[[레갸른의 상자]]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레갸른의 상자#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레갸른의 상자#|]]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FE Heroes 등장인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아스크 왕국 | |||
| | |||
아스크 Askr | 애시 Ash | |||
| | |||
구스타프 Gustav | 헨리에테 Henryette | |||
바이스 브레이브 | ||||
| | | | |
알폰스 Alfonse | 샤론 Sharena | 안나 Anna | 에클라 Kiran | |
엠블라 제국 | ||||
| | |||
엠블라 Embla | 엘름 Elm | |||
| | | | |
베로니카 Veronica | 브루노 Bruno | 젠더 Xander | 레티시아 Letizia | |
얼음의 나라 니플 | ||||
니플 Nifl | ||||
| | | | |
흐리드 Hrid | 슬리즈 Gunnthrá | 피요름 Fjorm | 유르그 Yigr | |
불꽃의 나라 무스펠 | ||||
무스펠 Múspel | ||||
| | | | |
수르트 Surtr | 레갸른 Laegjarn | 레바테인 Laevatein | 헬빈디 Helbindi | |
죽음의 나라 헬 | ||||
| ||||
헬 Hel | ||||
| | | | |
에일 Eir | 리브 Lif | 스라실 Thrasir | 강글로트 Ganglöt | |
꿈의 나라 알프 | 악몽의 나라 스바르트알프 | |||
| | |||
프로지 Freyr | 프레이야 Freyja | |||
| | | | |
피아니 Peony | 루피너스 Mirabilis | 스카비오사 Triandra | 플루메리아 Plumeria | |
소인족의 나라 니다벨리르 | ||||
니다벨리르 Niðavellir | ||||
| | | | |
파프니르 Fáfnir | 오트르 Òtr | 레긴 Reginn | 에이트리 Eitri | |
거인족의 나라 요툰 | ||||
샤치 þjazi | ||||
| | |||
다그 Dagr | 노트 Nótt | |||
생명의 나라 | ||||
이미르 Ymir | ||||
빛의 나라 바나 | ||||
| | | | |
뇨르드 Njörðr | 네르투스 Nerþuz | 세이드 Seiðr | 헤이드 Heiðr | |
| | |||
굴베이그 Gullveig | 크바시르 Kvasir | |||
허무 | ||||
| | |||
긴눙가가프 Ginnungagap | 에이트르 Eitr | |||
세계수 위그드라실 | ||||
| ||||
레라드 Læraðr | ||||
| | | | |
에이크쉬르니르 Eikþyrnir | 헤이드룬 Heiðrún | 흐레스벨그 Hræsvelgr | 니드호그 Niðhöggr | |
| ||||
라타토스크 Ratatoskr | ||||
하늘의 나라 아스가르드 | ||||
알포드르 Alfodr | ||||
| | |||
로키 Loki | 토르 Thórr | 발드르 Baldr | 호드 Höðr | |
| ||||
룬 Rune |
Laegjarn / レーギャルン
게임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의 등장인물. 성우는 타무라 유카리 / Alicia Stratten.
1. 소개
무스펠 왕국의 전사이자 레바테인의 언니. 이름의 유래는 노르드어로 절망이라는 뜻과 더불어 신화에서 로키가 레바테인을 봉인한 상자 레갸른.(Laegjarn) 본래 적 캐릭터였지만, 지금은 2018년 9월 2부 스토리가 완결되고 나서 신영웅 가챠에서 레바테인, 헬빈디와 함께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추가되었다.2. 게임상 성능
적의 강화 수치의 절반을 자신의 데미지에 가산하는 상당히 특이한 효과의 니우를 그대로 들고 나왔다. 또한 속도와 수비가 높아 근접전에 뛰어나다. 그리고 헬빈디와 더불어 사투 스킬을 처음 들고 나오기도 했는데,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3. 행적
메인스토리 2부 5장에서 처음 등장. 수르트의 명령으로 니플 왕국의 한 지역을 점령하고 있다가 바이스 브레이브를 만나고 항복을 권유한다. 이 때, 특무기관이 항복하면 해치지 않을것임을 약속하는데다 피요름의 언급에 의하면 점령한 지역 주민들에게도 도덕적으로 대한 듯 하다. 피요름은 이를 두고 레갸른이 수르트의 딸임을 믿기 힘들다고도 했다. 결국 이 전투에서 특무기관에 패배하여 후퇴하게 되고 스스로를 불태우려는 레바테인을 말린다.이후 순탄하게 동생과 함께 출연하다가, 2부 13장에서 죽을 위기에 처한 레바테인 대신 자신이 희생하여 레바테인의 목숨을 구해내고 자신이 대신해서 의식의 제물로 바쳐져 거의 빈사 상태가 된 후 특무기관의 공격까지 받아 사망한다. 레바테인은 그걸 보고 분노해 특무기관을 공격하지만, "사이좋게 지내"라는 마지막 말을 남기고 사망해 레바테인을 마지막까지 보듬어 준다. 수르트의 딸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는 따뜻함.
빙신염신 연전에서는 무스펠에 의해 부활하고 그의 꼭두각시가 되어 피요름을 공격하지만, 피요름의 활약으로 지배를 풀고 부활과 더불어 완전한 자유의 몸이 된다.
4. 기타
자신이 수르트의 딸이며, 왕녀라고는 하지만 수르트에게는 그야말로 도구 취급을 받고 있다. 모든 것이 멸망과 파괴로 이어지는 수르트와 달리 항복을 권하고 도덕적 면모를 보이는 걸 보면 정말이지 피가 섞인 건 아닌 것 같다.2부의 오프닝 영상에서는 나오지 않았고, 처음 공개된 것도 2부 발표 등이 아니라 2부 5장이 나올 때의 소환 배너 영상에 섞여 나왔었다(...). 그래도 갈수록 비중이 높아지고 빙신염신 연전 이벤트 이후에는 부활까지 하는 쾌거를 이루어 슬리즈와는 반대 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