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10px" | <tablebordercolor=#F5482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로스앤젤레스 스팍스 | |||
Los Angeles Sparks | |||
연고지 |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
컨퍼런스 | 서부 컨퍼런스 | ||
연고지 변천 | 로스앤젤레스 (1997~) | ||
구단명 변천 | 로스앤젤레스 스팍스 (1997~) | ||
홈 경기장 | 크립토닷컴 아레나 | ||
구단주 |
마크 월터 (Mark Walter)[1] | ||
단장 | 레이건 페블리 (Raegan Pebley) | ||
감독 | 린 로버츠 (Lynn Roberts) | ||
약칭 | LAS | ||
홈페이지 | | ||
공식 SNS | |||
우승 기록 | |||
파이널 우승 (3회) | 2001, 2002, 2016 | ||
컨퍼런스 우승 (6회) | 2000, 2001, 2002, 2003, 2016, 2019 |
로스앤젤레스 스팍스 영구결번 | |
9. 리사 레슬리[2] | 11. 페니 톨러 |
1. 개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연고지를 갖는 WNBA팀. 슈퍼스타 카메론 브링크의 소속팀이다.3회 우승이 있다.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로스앤젤레스 킹스와 함께 크립토닷컴 아레나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팬들은 이걸로 클리퍼스만 우승이 없다며 놀리고 있다.[3][4]
여담으로 현재 스테이플스 센터를 사용하는 프로농구팀 중 유일하게 로스앤젤레스에서 창단했다.[5] 케이틀린 클락의 입성 이후 WNBA의 인기가 올라가면서 셀레브리티들이 방문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힌다.
2. 역사
2.1. 리사 레슬리의 시대
1997년 WNBA 시즌은 로스앤젤레스 스팍스와 뉴욕 리버티의 경기로 시작되었으며, 이 경기는 잉글우드에 위치한 스팍스의 홈구장 ‘더 포럼(The Forum)’에서 열렸다. 스팍스는 이 경기에서 57-67로 패배했다. 스팍스의 선수 페니 톨러는 경기 시작 59초 만에 레이업을 성공시키며 리그 역사상 첫 득점(2점)을 기록했다. 스팍스는 시즌을 14승 14패로 마감했으며, 플레이오프 진출을 놓고 경쟁했으나 시즌 최종전에서 피닉스 머큐리에게 패하며 진출에 실패했다. 1998년 시즌에도 스팍스는 12승 18패를 기록하며 다시 한 번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1999년 시즌은 리사 레슬리의 성장과 함께 스팍스가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해였다. 정규 시즌 성적은 20승 12패였으며,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는 새크라멘토 모나크스를 꺾고 프랜차이즈 역사상 첫 플레이오프 경기와 시리즈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서부 컨퍼런스 결승에서는 디펜딩 챔피언 휴스턴 코메츠와 3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1승 2패로 패했다.
2000년 시즌, 스팍스는 28승 4패라는 리그 역사상 두 번째로 좋은 정규 시즌 성적을 거두었다(최고 성적은 1998년 휴스턴 코메츠).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는 피닉스 머큐리를 스윕했지만, 서부 결승에서 또다시 코메츠에게 스윕당하며 탈락했다. 당시 WNBA는 휴스턴 코메츠가 네 번의 챔피언십을 차지하며 지배하고 있었고, 스팍스는 그들의 그늘 아래 있었다.
2000-01시즌 오프시즌에 스팍스는 홈구장을 스테이플스 센터로 옮기고, 코칭 스태프를 전면 개편했다. 전 LA 레이커스 선수 마이클 쿠퍼가 새 감독으로 부임했다. 2001년 정규 시즌에서도 스팍스는 28승 4패를 기록했고,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코메츠를 스윕하며 설욕에 성공했다. 이어 모나크스를 상대로도 3전 전승을 거두며 프랜차이즈 사상 첫 WNBA 파이널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샬럿 스팅을 2-0으로 완파하며 창단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02년, 리사 레슬리는 경기 중 덩크를 성공시킨 WNBA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스팍스는 25승 7패로 정규 시즌을 지배했고, 플레이오프에서는 시애틀 스톰과 유타 스타즈를 모두 스윕하며 결승에 올랐다. 결승에서는 첫 우승을 노리던 뉴욕 리버티와 맞붙었고, 2차전에서 니키 티즐리가 후반 3점슛을 성공시키며 스팍스는 2년 연속 우승에 성공했다.
2003년, 스팍스는 24승 10패를 기록하며 ‘쓰리핏(3연속 우승)’에 도전했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는 미네소타 링크스를, 2라운드에서는 새크라멘토 모나크스를 꺾었지만 모두 3차전까지 가는 접전이었다. 결승에서는 2002년 리그 최하위였던 디트로이트 쇼크와 맞붙었다. 결승은 스팍스의 마이클 쿠퍼 감독과 쇼크의 빌 레임비어 감독 간의 맞대결로도 주목받았다. 그러나 쇼크의 강한 신체 접촉과 결승까지의 치열한 일정은 스팍스를 지치게 했고, 결국 시리즈에서 1승 2패로 패하며 쓰리핏에는 실패했다.
2003-04 오프시즌 동안 스팍스는 뉴욕 리버티 출신 타미카 휘트모어와 테레사 웨더스푼을 영입했다. 시즌 초반에는 순조로운 흐름을 보였으나, 마이클 쿠퍼 감독이 NBA 코칭 기회를 찾기 위해 시즌 중반 팀을 떠났다. 감독의 공백은 경기력에 영향을 미쳤고, 팀은 25승 9패로 정규 시즌을 마감했다. 그러나 플레이오프에서는 새크라멘토 모나크스에게 3전 전패를 당하며 탈락했다.
2005년 시즌, 스팍스는 17승 17패로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간신히 4번 시드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결국 챔피언에 오른 모나크스에게 1라운드에서 완패했다.
2006년, 스팍스는 25승 9패로 다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시애틀 스톰을 3차전 접전 끝에 꺾었으나, 서부 컨퍼런스 결승에서 또다시 모나크스에게 패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2006년 시즌 종료 후, 구단주 제리 버스는 스팍스를 매각하겠다고 발표했다. 2006년 12월 7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캐시 굿맨과 칼라 크리스토퍼슨이 이끄는 투자 그룹이 팀을 인수하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굿맨은 인터미디어 필름스의 전 임원이었으며, 크리스토퍼슨은 오멜버니 & 마이어스 로펌의 소송 전문 변호사이자 1989년 미스 노스다코타 USA 출신이다. 매각 발표 다음 날, 리사 레슬리는 임신을 이유로 2007년 시즌 불참을 선언했다. 그 결과 스팍스는 10승 24패라는 구단 역사상 최악의 성적으로 시즌을 마감했고, 1998년 이후 처음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2. 캔디스 파커의 시대
2008년 시즌 시작 전, 팀의 전망은 극적으로 좋아졌다. 리사 레슬리가 팀에 복귀했고, 2008년 4월 9일 팀은 1순위 지명권으로 그 해 최고의 대학 선수였던 캔디스 파커를 지명했다. 이는 파커가 테네시 대학교 레이디 볼스를 2년 연속 NCAA 챔피언십으로 이끈 다음 날 아침이었다.2008년 스팍스는 20승 14패를 기록하며 서부 컨퍼런스 3위에 올랐다. 캔디스 파커는 신인상과 WNBA MVP를 동시에 수상하며, WNBA 역사상 최초로 같은 시즌에 두 상을 모두 받은 선수가 되었다. 플레이오프에서 스팍스는 시애틀 스톰을 2승 1패로 꺾고 서부 컨퍼런스 결승에 진출해 샌안토니오 실버스타즈와 맞붙었다. 스팍스는 시리즈 2차전을 승리할 것으로 기대됐지만, 실버스타즈의 소피아 영이 종료 2초를 남기고 턴어라운드 뱅크샷을 성공시켜 시리즈를 3차전으로 끌고 갔다. 스팍스는 3차전에서 패하며 실버스타즈가 WNBA 결승에 진출했다.
2008년 시즌 후, 파커는 임신 소식을 발표했다. 파커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스팍스는 로스앤젤레스 출신의 베테랑 슈퍼스타 티나 톰슨(전 휴스턴 코메츠 소속)과 전 파이널 MVP 베티 레녹스를 자유계약선수로 영입했다. 이들의 합류로 스팍스는 챔피언십 경험과 베테랑 리더십을 더해 또 다른 우승 도전에 나섰다.
2009년 시즌은 순조롭지 못하게 시작됐다. 파커는 출산 휴가로 결장했고, 레슬리는 시즌 초 무릎 부상을 입었다. 하지만 두 선수는 7월에 복귀해 10승 2패의 상승세를 이끌었고, 8승 14패였던 시즌을 18승 16패로 마무리하며 팀 역사상 10번째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스팍스는 4년 만에 세 번째로 시애틀 스톰을 꺾었지만, 서부 컨퍼런스 결승에서는 우승을 차지한 피닉스 머큐리에게 3차전 끝에 패했다. 2009년 플레이오프 종료와 함께 레슬리는 은퇴했고, 마이클 쿠퍼 감독도 두 번째 임기를 마쳤다. 오프시즌에는 전 스팍스 선수 제니퍼 길롬이 새로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전 올스타 포인트가드 티샤 페니셰이로를 영입하고 파커가 차세대 프랜차이즈 스타로 자리 잡으며, 2010년 스팍스는 챔피언십 경쟁이 가능한 전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시즌 초반 3승 7패 후 파커는 어깨 부상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파커 없이 스팍스는 13승 21패로 부진했지만 서부 컨퍼런스 4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그러나 1라운드에서 결국 우승을 차지한 시애틀 스톰에게 스윕당했다.
2011년 시즌은 기묘하게도 전년도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스팍스는 4승 3패로 출발했지만, 파커가 다시 부상으로 이탈했다. 이후 3연패를 기록하며 길롬 감독이 해임됐고, 전임 감독 조 브라이언트가 복귀했다. 파커는 시즌 종료까지 결장했고, 스팍스는 올스타 브레이크 당시 6승 8패로 5위에 머물렀다. 이후 15승 19패로 시즌을 마무리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시즌 후 톰슨은 FA로 시애틀 스톰과 계약했다.
2.2.1. 캔디스 파커 · 네카 오구미케 듀오
2012년 시즌, 스팍스는 눈에 띄게 향상된 경기력을 보이며 2010년 이후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4승 10패로 서부 컨퍼런스 2위를 차지했으며, 같은 해 팀은 전체 1순위로 미래의 MVP 네카 오구미케를 지명했다. 그러나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미네소타 링스에게 0승 2패로 탈락했다.이 팀은 2014년 1월, WGH가 모든 통제권을 포기하겠다고 갑자기 발표할 때까지 Williams Group Holdings(파울라 매디슨이 최대 주주)와 칼라 크리스토퍼슨, 니콜라스 JH, 그리고 리사 레슬리(소수 지분)가 소유하고 있었다. 매디슨은 2007년 구단주가 된 이후, 그녀와 가족이 2013년에 140만 달러를 포함해 총 1,200만 달러를 손실했다고 밝혔다. 이 팀은 일시적으로 리그의 관리 하에 들어갔고, 이후 전 NBA 선수 매직 존슨이 포함된 그룹인 Sparks LA Sports가 팀을 인수했다.
2014년과 2015년 시즌은 스팍스에게 실망스러운 시기였다. 두 시즌 모두 플레이오프에는 진출했지만 각각 피닉스 머큐리와 미네소타 링스에게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2015년 플레이오프 탈락 이후, 스팍스는 명단에 소폭의 변화를 주었고 이듬해 경기력이 크게 향상됐다. 팀은 26승 8패로 정규시즌을 마무리하며 2016년 WNBA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이 시점에서 스팍스는 캔디스 파커, 네카 오구미케, 크리스티 톨리버로 구성된 "빅3"를 보유하고 있었다. 리그 2번 시드를 확보한 스팍스는 WNBA의 새로운 플레이오프 포맷에 따라 두 번의 부전승을 거쳐 준결승에 직행했다. 준결승에서 시카고 스카이를 3승 1패로 꺾고 2003년 이후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1번 시드 미네소타 링크스와 맞붙었다. 1차전에서 베테랑 포워드 알라나 비어드는 경기 종료 직전 승부를 결정짓는 점퍼를 성공시켜 78-76으로 승리했다. 2차전은 79-60으로 패했지만, 3차전에서 92-75로 완승하며 챔피언십까지 단 한 경기만 남겨두게 되었다. 홈에서 우승을 기대했지만 4차전에서 85-79로 패했고, 운명의 5차전은 역사적인 명승부가 펼쳐졌다. 2016년 WNBA MVP 네카 오구미케가 종료 직전 공격 리바운드를 잡아 결승 슛을 성공시키며, 스팍스는 3.1초를 남기고 77-76으로 앞서나갔다. 스팍스는 14년 만에 미네소타 링스를 꺾고 WNBA 정상에 올랐다. 영구 결번 선수였던 페니 톨러가 단장이자 감독으로 우승을 이끈 점도 의미 있었다. 이는 스팍스의 2002년 이후 첫 우승이자 프랜차이즈 통산 세 번째 챔피언십이었다. 캔디스 파커는 파이널 MVP로 선정되었다.
2017년 스팍스는 약간의 명단 조정을 단행했다. 톨리버는 FA로 팀을 떠나 워싱턴 미스틱스에 합류했고, 첼시 그레이가 선발 포인트가드 자리를 맡았다. 스팍스는 오디세이 심스를 트레이드로, 시드니 위즈를 드래프트로 영입하며 벤치를 재정비했지만 핵심 전력은 유지했다. 정규시즌 26승 8패를 기록하며 다시 리그 2위로 마쳤고, 준결승에서 피닉스 머큐리를 3-0으로 스윕하고 2년 연속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결승에서는 미네소타 링크스와의 리매치가 펼쳐졌다. 1차전에서 그레이가 2초를 남기고 승부를 결정짓는 점퍼를 성공시켰고, 3차전에서는 파커가 5개의 스틸을 기록하며 결승전 한 경기 최다 스틸 기록을 세우며 2-1로 앞서나갔다. 그러나 홈에서 시리즈를 마무리할 기회를 4차전 80-69 패배로 놓쳤고, 최종 5차전에서 패하며 2연패에 실패했다.
2018년 스팍스는 핵심 전력을 유지했지만 시즌 내내 부진한 성적으로 19승 15패, 리그 6번 시드로 정규시즌을 마감했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는 디펜딩 챔피언 미네소타 링크스를 75-68로 꺾고 2라운드에 진출했지만, 워싱턴 미스틱스에게 96-64로 대패하며 파이널 진출 도전에 실패했다. 시즌 후 브라이언 애글러 감독은 사임했고, 스팍스는 한 달 뒤 데릭 피셔를 신임 감독으로 임명했다. 2019년 시즌 이후 페니 톨러는 단장직에서 해임되었으며, 2021 시즌을 앞두고 캔디스 파커는 자유계약으로 팀을 떠났다.
2.3. 리빌딩
2021년, 스팍스는 2011년 이후 처음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2022년 6월 7일, 리즈 캠비지의 영입에도 불구하고 시즌을 5승 7패로 시작하자 스팍스는 데릭 피셔와 결별하고 감독직과 단장직을 분리했다. 피셔는 스팍스 감독으로 재임하는 동안 54승 46패의 성적을 기록했다. 프레드 윌리엄스가 감독 대행을 맡았으나, 팀은 결국 또다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23 시즌에는 커트 밀러가 새로운 감독으로, 카렌 브라이언트가 새로운 총괄 매니저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스팍스는 프랜차이즈 역사상 처음으로 3년 연속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24 시즌을 앞두고 레이건 페블리가 새로운 단장으로 임명되었고, 2016년 챔피언십 팀의 마지막 남은 선수였던 네카 오구미케는 자유계약(FA) 시장을 통해 팀을 떠났다.
2.4. 카메론 브링크의 시대
2.4.1. 2024 시즌
스팍스는 드래프트 로터리 추첨에서 전체 2순위 지명권을 받았다. 또한 트레이드를 통해 스팍스는 2024 WNBA 드래프트에서 4번째 지명권을 획득했고, 두 개의 픽으로 전미 최고의 슈퍼스타 카메론 브링크와 리키아 잭슨을 선택했다.슈퍼스타 카메론 브링크로 인해 스팍스는 리그 최고의 인기팀중 하나로 급부상했다. 브링크가 출전하는 경기는 대부분 만석될 정도로 인기가 엄청나다. 이에 화답해 브링크는 초반 엄청난 수비력으로 케이틀린 클락에 이은 신인왕 2위까지 올라갔으나 아쉽게도 시즌 15경기만에 코네티컷 선과의 경기에서 부상으로 시즌아웃당하며, 다음 시즌을 기약하게 됐다.
브링크 부상 후 리그 최악의 기록으로 시즌을 마감하고 이후 커트 밀러 단장과 헤어졌다.
LA 스팍스는 팀의 간판 스타이자 중심을 카메론 브링크로 설정했다. 브링크가 나오는 경기는 크립토닷컴 아레나가 전부 매진된다.
시즌이 끝난 후 스팍스는 다시 드래프트 로터리에서 전체 2순위 지명권을 받았다.
2.4.2. 브링크 · 플럼 · 잭슨 트리오
2.4.2.1. 2025 시즌
2024년 11월 19일, 린 로버츠가 새로운 감독으로 발표되었다. 2025년 시즌 전에 스팍스는 전체 2순위 로터리를 트레이드하고 켈시 플럼을 영입했다.슈퍼스타 카메론 브링크는 2025 시즌 복귀 예정이다.
2025년 7월 30일 무려 13개월만에 기다림 끝에 드디어 슈퍼스타 카메론 브링크가 복귀하며, 스팍스는 최고의 림 프로텍터를 얻었다. 부상복귀한지 얼마 되지 않아 구단에서 출전 시간을 관리해주고 있다. 주전이 아닌 벤치로 출전중.
3. 현재 로스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02F8A><tablebgcolor=#702F8A> | 로스앤젤레스 스팍스 선수단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 | 코칭스태프 | <colbgcolor=#ffffff,#191919> ''' 감독 ''' 린 로버츠 |
가드 | PG 켈시 플럼 · SG 반루 | |
포워드 | SF 리키아 잭슨 · PF 카메론 브링크 | |
센터 | C 디에리카 햄비 | |
벤치 | PG 스웨인 · G · 사라 애슐리 바커 · G줄리 알만드 · G/F 버렐 · SF 메일리 · C 스티븐스 · C 러셀 · 바데바 | |
* 풀네임: 나무위키에 등재된 선수 | ||
다른 WNBA 팀 선수단 보기 |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00923f><tablewidth=320><tablebgcolor=#00923f>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NFL | MLB | ||
| | | | |
로스앤젤레스 차저스* | 로스앤젤레스 램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NBA | NHL | |||
| | | | |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로스앤젤레스 킹스 | 애너하임 덕스* | |
MLS | WNBA | NWSL | ||
| | | | |
로스앤젤레스 갤럭시* | 로스앤젤레스 FC | 로스앤젤레스 스팍스 | 엔젤 시티 FC | |
MLR | ||||
| ||||
럭비 FC 로스앤젤레스 | ||||
* 실제 홈구장은 LA 시내 이외의 LA 광역권에 소재하는 구단 | ||||
◀ 캘리포니아 연고 프로 구단 보기(로스앤젤레스 제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