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2 23:09:08

록맨 에그제 시리즈/바이러스 일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록맨 에그제 시리즈
1. 개요2. 록맨 에그제
2.1. 메톨 계열2.2. 캐노덤 계열2.3. 소딘 계열2.4. 키오루신 계열2.5. 비리 계열2.6. 할드볼즈 계열2.7. 드림 비트 계열
3. 록맨 에그제 2
3.1. 가루 계열3.2. 에비론 계열3.3. 라비 계열3.4. 츄톤 계열3.5. 윈드박스 계열3.6. 커즈 계열3.7. 프로텍트 계열
4. 록맨 에그제 3
4.1. 라운더 계열4.2. 헤비 어레이 계열4.3. N.O. 계열4.4. 킬러즈 아이 계열4.5. 넘버즈 계열
5. 록맨 에그제 4
5.1. 가이언트 계열5.2. 플루모코 계열5.3. 쿠모스 계열
6. 록맨 에그제 5
6.1. 캐노가드 계열6.2. 캐택 계열6.3. 애플샘 계열
7. 록맨 에그제 6
7.1. 거너 계열7.2. 봄 콘 계열7.3. 센본 계열7.4. 카카지 계열

1. 개요

록맨 에그제 시리즈에 등장하는 바이러스들의 일람을 정리한 항목. 전뇌세계에 존재하는 여타 게임의 몬스터에 속하는 개체들이다.

목차의 분류는 해당 바이러스가 가장 처음 등장한 작품을 의미한다.

2. 록맨 에그제

2.1. 메톨 계열

전 시리즈 개근 바이러스이자 튜토리얼부터 맨 처음으로 만날 수 있는 친숙한 녀석. 플레이어의 위치로 움직인 후 곡괭이를 내리쳐 관통하는 충격파를 생성한다. 내리치는 패널이 부서져있을 경우에는 충격파가 생성되지 않으며, 충격파가 전진하는 거리에 구멍이 있을 경우에도 충격파가 사라진다.

메툴이 여러 기 있을 경우 맨 앞의 메툴부터 차례대로 행동하며, 기본 메툴을 제외한 모든 강화판은 자신의 공격 차례가 아닐 때 헬멧 안으로 숨는 능력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계열 공격으로만 피해를 줄 수 있다.

상하이동만 가능하며 전후이동은 불가능하다.

격파 시 멧가드, 웨이브(메툴이 쓰는 그 공격) 계열 칩을 획득할 수 있다. 시리즈가 진행될 수록 유용성이 엄청 증가한 게 특징. 1의 멧가드는 순수 방어 목적으로만 쓸 수 있어서 거츠슛 재료 이외에는 잉여나 다름없지만 이후 작품부터는 반격 기능이 붙어 멧가드 계열 칩으로 방어 성공 시 충격파가 나가면서 매우 유용해졌고, 4부터는 멧가드와 웨이브가 서로 합쳐지면서 멧가드 자체가 티어가 나뉘어 고티어일 수록 반격 피해량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시리즈 맨 마지막인 6에서는 반격 성공 시 나가는 충격파가 지형을 타지 않게 되고 매우 빠른 속도로 나아가게 바뀜에 따라 효용성이 무시무시하게 늘어났다.

2.2. 캐노덤 계열

본체는 완전고정. 전방에 조준점을 이동시킨 후 플레이어가 조준된 순간 전방 일직선으로 캐논을 발사한다. 조준당했다 해도 발사까지는 약간 시간이 있어 위아래로 움직이면 회피할 수 있다. EXE1에서는 단칸 공격이라 앞뒤로 움직여도 피할 수 있었지만 이후부터는 직선 공격으로 바뀌어 앞뒤로는 못 피한다.

격파 시 전통적으로 캐논 계열 칩을 획득할 수 있다.

록맨 에그제 6에서는 대신 기관총계 적이 등장한다. 성격은 거의 동일.

2.3. 소딘 계열

플레이어 쪽으로 가까이 오며 검을 휘두른다. 일반적으로 롱소드, 바로 앞까지 근접할 경우 와이드소드를 사용하는데, 롱소드는 포즈를 잡고 휘두르기 때문에 선딜레이가 긴 반면, 와이드소드는 포즈 없이 바로 휘두른다.

강화판에는 속성이 붙으며 보통 화속성이 2레벨, 수속성이 3레벨 취급. 3번 이상 공격을 허용할 경우 에리어스틸을 쓰며 접근하기도 한다.

속성에 따라 롱소드, 플레임소드, 아쿠아소드를 드랍한다.

에그제 6에서는 바이러스들도 특수 기술을 쓸 때 칩을 쓰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보니 에리어 스틸 남발이 막히고 공격 발동 속도가 매우 느려진 대신, 강화판의 경우 전방으로 잽싸게 치고 빠지는 전술을 취하기 때문에 약간 상대하기 힘든 편이다.

2.4. 키오루신 계열

초대 에그제부터 에그제 3까지 등장하는 새 모양의 바이러스. 영어판에서의 이름은 Fishy.

심플하게 플레이어와 같은 행에 있을 경우 돌진해 오는 바이러스이다. 초대 에그제에서는 무속성의 키오루신과 화속성에 돌진할 때 뒤에 화염고리 잔상을 남기는 상위 버전인 키오루신 2만 있었으며, 에그제 2에서는 여기에 무속성의 키오루신 3이, 에그제 3에서는 추가로 키오루신 SP가 최종 버전으로 등장한다. 에그제 2에서는 한 번만 돌진하고 끝이었으나 에그제 3에서는 키오루신 2만 한 번 돌진하고 다른 버전의 키오루신들은 한 번 돌진을 시작하면 여러 번 돌진을 시전한다.

격파 시 키오루신 1로부터는 대쉬 어택을, 키오루신 2로부터는 버닝 바디 칩을 얻을 수 있다. 키오루신 3의 경우 에그제 2에서는 키오루신 1과 같은 대쉬 어택을, 에그제 3에서는 대쉬 어택의 상위 칩인 대쉬 콘돌을 얻을 수 있다. 이상하게도 키오루신 2로부터 얻을 수 있는 칩은 같은 계열의 바이러스에서 얻을 수 있는 칩들과는 달리 혼자만 전혀 다른 특성과 속성을 가졌다.

2.5. 비리 계열

노란색 동그란 몸체에 양팔이 큰 바늘로 되어있다. 플레이어 쪽으로 느리게 유도되는 썬더볼을 발사한다. 2, 3에서 라비로 대체되어 불참했다가 4에서 다시 참전한다.

1에서는 마비 상태이상이 없었고 대신 쇼트(누전) 상태이상이 있었는데, 이놈의 공격을 맞으면 그 상태이상에 걸린다. 효과는 몇 초간 계속해서 매 이동마다 10의 피해를 추가로 입으며 경직되는 것. 경직 때문에 공격도 제대로 못 한다. 잠시 못 움직이고 끝나는 마비보다도 훨씬 치명적인 상태이상. 이건 비리 계열만이 아닌 1편에서 전기 공격의 고질적인 문제였다. 물론 4부터는 마비로 대체되었다.

에그제 4에서는 라비 계열처럼 등장 시기도 매우 빨라졌고 공격력도 크게 너프되었다.

격파 시 썬더볼 칩을 획득 가능. 역시 바이러스가 쓰는 것과 동일.

2.6. 할드볼즈 계열

이름 및 성향 모두 포환이 단단한 공, 즉 '하드 볼즈 (Hard balls. 일어로 ハードボールズ)'인 점에서 따 왔다. 단단한 공 모양이고, 투사체인 포환도 말 그대로 단단한 철구이고... 이름인 할드 볼즈도 Hard balls를 일어로 쓴 걸 일부 변형한 것이다. 영어판 이름인 HardHead (하드 헤드)도 어느 정도 비슷한 뉘앙스가 있다.

포환을 발사해서 패널을 깨뜨리는 공격을 하며, 입 벌리기 전에는 브레이크 속성 이외의 공격은 무효화한다. 움직이진 못하므로 이놈이 주는 포환을 던지면 방어를 무시하고 아주 쉽게 잡을 수 있다.

EXE2에서 나오는 할드볼즈의 상위 바이러스들은 체력과 공격성, 그리고 피해량만 늘어나는 수준이지만, EXE3에서는 상위 바이러스로 속성 변화판인 마그마볼즈 (HotHead)와 콜드볼즈 (ColdHead)가 등장한다. 마그마볼즈의 포환은 착탄된 패널을 마그마 패널로, 콜드볼즈의 포환은 얼음 패널로 바꾼다. 쓰러뜨리면 각각 용암포환과 얼음포환을 얻을 수 있다.

콜드볼즈는 얼음포환 M 1장이 스토리상 필수라 최소 1번은 잡아야 하며, 지옥섬 인터넷에서 내비커스 프로그램인 아임피시를 끼고 돌아다니면 만날 수 있다. 반면 아임피시 없이 콜드볼즈가 출현할 확률은 불과 0.26%.

2.7. 드림 비트 계열

초대 에그제부터 에그제 3까지 등장하는 바이러스들로, 외수판에서는 Scuttle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이름의 유래는 '드림 바이러스의 데이터 조각(비트)'으로 추정되며 영어판의 경우 생뚱맞게 '총총 걸어다니다'라는 뜻을 가진 영단어 'scuttle'에서 따 왔다.

초대 에그제에서는 드림 바이러스가 적 에리어 맨 앞 줄에 소환하는 적으로만 등장하며 이후 버전에서는 모두 시크릿 에리어에서만 등장한다.
기본적으로 4개 속성에 한 종류씩 할당되어 있으며, 에그제 2에서는 무속성에 해당하는 강화판이 추가로 등장, 여기에 에그제 3에서는 무속성 버전의 SP(외수판 ScuttleΩ) 버전이 추가로 등장한다.

기본적으로 에그제 2 이후에 바이러스로 등장할 때에는 100 대미지 미만의 대미지를 무시하는 아우라를 기본적으로 두르고 있으며, 여기에 무속성의 경우 아우라의 강도가 150으로 더 높고, 에그제 3의 드림 비트 SP가 두르는 아우라는 200 미만의 대미지를 무시한다. 공격 패턴은 몇몇 케이스를 제외하고는 시리즈마다 대부분 다르다.

수속성 - 드림 라피아(ドリームラピア, Scuttle) : 아쿠아 타워(에그제 1), 얼음 큐브(에그제 2, 3)
화속성 - 드림 메랄(ドリームメラル, Scutz) : 화염구(에그제 1), 네이팜탄(에그제 2), 유도 플레임 타워(에그제 3)
전속성 - 드림 볼트(ドリームボルト, Scuttler) : 일렉트릭 볼(에그제 1, 2), 벼락(에그제 3)
목속성 - 드림 모스(ドリームモス, Scuttzer) : 유도 우든 타워(에그제 1, 2), 덩굴(에그제 3)
무속성 - 드림 비트(ドリームビット, Scuttlest) : 레이저 빔(에그제 2, 3)

에그제 2와 3에서 이들을 쓰러뜨릴 경우 드림 아우라(LifeAura) 칩을 얻을 수 있는데, 에그제 2에서는 하위 2개 버전(LifeAur1, LifeAur2)을 얻을 수 있으며 에그제 3에서 얻을 수 있는 드림 아우라 칩은 메가클래스 칩이다.

팬텀 오브 네트워크에서는 속성 드림 비트 계열의 버전이 분화되었는데, 버전2가 기존의 색상이고, 하위인 버전1과 상위인 버전3 그리고 최종 형태인 SP가 새로 등장한다. 버전이 올라갈수록 수속성과 전속성은 어두운 색에서 밝은 색으로 변화하고, 화속성과 목속성은 밝은 색에서 어두운 색으로 변화한다. SP는 모두 어두운 색 계통이다.

3. 록맨 에그제 2

3.1. 가루 계열

에그제 2와 3에 등장하는 사나운 늑대 모양의 바이러스로, '가루(ガルー)' - '가루바(ガルーバー)' - '가루드라(ガルードラ)' 및 '가루단(ガルーダン)' 순으로 상위 버전의 이름이 바뀌며 영어판 이름은 심플하게 Spikey1 - Spikey2 - Spikey3. 이름의 유래는 일어판의 경우 동물의 그르렁대는 소리, 영어판의 경우 바이러스의 생김새가 가시투성이인 것에서 이름을 따 왔다. 에그제 2에서는 가루드라가 나오며 에그제 3에서는 가루단이 나온다.

여기저기 움직이다가 전방으로 화염탄을 뿜어 공격하는 바이러스이다. 에그제 2와 에그제 3에서의 사양이 조금 다른 편인데 에그제 2의 가루단은 황금색 털을 가졌으나 에그제 3에서의 가루단은 회색 털을 가졌고 전술한 황금색 가루의 경우 가루 SP(SpikeyΩ)로 나온다. 에그제 4에서는 황금색을 중간인 2EX로 넘겨주고 최종 형태인 3EX가 검은색이 되었다.

바이러스의 버전에 따라 화염탄의 탄속과 폭발 범위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가루의 화염탄은 타격 지점과 후방 1칸, 가루바의 경우 타격 지점과 후방 위 아래 한 칸씩(V자), 에그제 2의 가루드라의 경우 타격 지점 및 X자 범위, 에그제 3의 가루단의 경우 타격 지점 기준 한 열 범위의 폭발을 일으킨다. 가루 SP 같은 경우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데, 우선 에그제 3에서 적으로 만나는 가루 SP의 경우 최종 버전답지 않게 히트샷 범위의 화염탄을 뿜는 데 반해 플레이어가 바이러스 사육 칩으로 소환한 가루 SP가 뿜는 화염탄의 경우 무시무시하게도 히트 스프레드 범위로 공격할 수 있다.

격파 시 히트샷 계열 칩을 획득 가능. 바이러스가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다.

후술할 에비론 계열과는 사실상 친척 관계. 속성만 다르고 모든 게 비슷하다.

3.2. 에비론 계열

에그제 2와 3에 등장하는 새우 모양의 바이러스로, '에비론(エビロン)' - '에비델(エビデル)' - '에비크로스(エビクロス)' 및 '에비사이드(エビサイド)' 순으로 상위 버전의 이름이 바뀌며 영어판 이름은 심플하게 Shrimpy1 - Shrimpy2 - Shrimpy3. 이름의 유래는 양국 언어 모두 생긴 것 그대로 '새우(えび, shrimp)'. 에그제 2에서는 에비크로스가 나오며 에그제 3에서는 에비크로스 대신 에비사이드가 나온다.

위아래로만 움직이다가 전방으로 통통 튀는 물방울탄을 뿜어 공격하는 바이러스이다. 에그제 2와 에그제 3에서의 공격 양상이 조금 다른데 에그제 2에서는 플레이어가 있는 행을 추적해서 움직였으나 에그제 3에서는 플레이어가 있는 행을 노골적으로 추적하지는 않고 아무데나 공격하는 대신 은근슬쩍 플레이어가 있는 곳에 공격한다.

바이러스의 버전에 따라 물방울 탄의 탄속과 폭발 범위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에비론의 물방울은 타격 지점과 후방 1칸, 에비델의 경우 타격 지점과 후방 위 아래 한 칸씩(V자), 에비크로스의 경우 타격 지점 및 X자 범위, 에비사이드의 경우 타격 지점 기준 한 열 범위에 거품을 발생시킨다.

격파 시 버블 샷 계열 칩을 획득 가능. 바이러스가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다.

전술한 가루 계열과는 사실상 친척 관계. 속성만 다르고 사실상 모든 게 비슷하다.

3.3. 라비 계열

에그제 2와 3에 등장. 토끼귀를 단 바이러스로, 라비 - 하이라비 - 메가라비 순으로 버전에 따라 이름이 바뀐다. 외수판에서는 심플하게 '토끼'를 뜻하는 Bunny (버니)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Bunny - TuffBunny (터프 버니)[1] - MegaBunny (메가 버니) 순으로 이름이 바뀐다.

이리저리 움직이다가 마비효과를 지닌 라비링을 전방에 고속으로 발사한다. 라비링을 날릴 때 즈음이 되면 움직이는 속도가 빨라지는 특징이 있으므로, 움직임이 빨라진다면 공격할 때라는 걸 알 수 있다.

격파 시 라비링 칩을 획득 가능. 바이러스가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다.

3.4. 츄톤 계열

에그제 2와 3에서 등장하는 쥐 모양의 바이러스. 외수판에서는 Ratty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플레이어를 능욕하는 듯 한 움직임을 보이면서 여기저기 움직이다가 플레이어를 향해 랏톤 폭탄으로 공격하는 발암 바이러스 중 하나. 에그제 2나 3을 플레이해봤다면 아마 이 바이러스를 상대할 때 한 번쯤은 "저 쥐X끼가!"를 외친 적이 있었을 것이다. 여기에 체력이 떨어지면 등 뒤에 있는 조명이 켜지고 눈매가 매서워지면서 더 빠르게 움직인다. 범위 공격이 아닌 이상에는 공격하기도 힘들 정도.

에그제 2에서는 이 속도 증가가 2번에 걸쳐서 일어나는데다 3단계까지 속도가 올라간 상태에서는 발암 수준으로 속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더 상대하기 힘들었으나, 에그제 3에서는 3단계 속도 증가가 없어져서 약간은 쉬워진 편이다. 다만 이동이 진짜 쥐X끼처럼 변해서 상대할 때의 스트레스 상승 폭이 급증했다

격파 시 랏톤 칩을 얻을 수 있다. 바이러스가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전방으로 진행하다가 위아래 방향으로 한 번 꺾여서 진행하는 쥐 모양 폭탄을 투척한다.

3.5. 윈드박스 계열

상단에 조이스틱이 장착된 상자 모양의 바이러스. 윈드박스라는 이름답게 정면에는 환기구가 있으며, 작동하는 동안에는 상단에 있는 조이스틱이 마구 좌우로 움직인다. 특유의 강력한 보조성 때문에 6까지 개근한 바이러스이다.

공격 성능이 아예 없어 단독으로는 플레이어를 절대 공격할 수 없다. 대신 버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바람을 일으켜서 플레이어의 조작을 방해한다. 마비시키는 게 아닌 이상 윈드박스는 안 멈추고 계속 플레이어의 조작을 방해하며, 직접 공격을 하는 것도 아니라서 카운터 판정을 낼 수 없다. 시리즈 공통으로 크게 2종류로 나뉘는데 윈드박스는 플레이어를 밀쳐내고, 버큠 팬 (Vacuum Fan)은 플레이어를 끌어당긴다. 대개 버전 1이 윈드박스이고 버전 2가 버큠 팬이며, 버전 3 이후는 더 체력이 높은 윈드박스인 경우가 많다.

쓰러뜨리면 버전에 따라 돌풍 (トップウ, Wind), 흡입 (スイコミ, Fan) 칩을 얻을 수 있다.

3.6. 커즈 계열

에그제 2와 3, 5에서 등장하는 바이러스. 외양이 참 묘사하기 힘든데 일단 입을 팔로 막고 있는 방패 같은 바이러스라 하면 될까... 이름의 유래는 저주를 뜻하는 영단어 'curse'의 일어 발음 카즈(カーズ)에서 따 왔으며, 영어판에서는 마치 '도미노'와 '너드'를 합친 듯 한 'Dominerd(도미너드)'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두 시리즈 내에서 그야말로 발암을 선사하는 방패 계열 바이러스. 특히 에그제 3에서 그 진가가 드러난다. 에그제 2에서는 위아래로 천천히 이동하면서 공격을 막다가 플레이어와 같은 행에 있을 경우 플레이어 앞까지 텔레포트해서는 그 때까지 가리고 있던 입을 벌렸다가 물어서 공격한다. 에그제 3에서는 카즈2를 제외하고는 움직임이 완전히 바뀌어, 기본적으로 투명 상태로 바이러스의 방패 역할을 하다가 공격을 막아냈을 경우 카운터의 형태로 똑같이 플레이어 앞에 텔레포트, 물기 공격을 한다. 만약 방어할 아군이 하나도 없을 경우 주기적으로 플레이어의 앞에 텔레포트해 공격을 시도한다. 버전 1조차 공격력이 100이므로 강력한 편. 에그제 3에서는 50으로 너프되었지만, 움직임이 바뀌어 여전히 강력하다.

에그제 2에서도 공격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항시 스톤 바디 상태라 입을 열고 있을 때를 제외하면 아무리 공격해도 1대미지밖에 들어가지 않았는데, 에그제 3에서는 아예 입을 닫고 있을 때에는 공격 자체가 안 통하게 바뀌어 가뜩이나 어려운 놈이 더 상대하기 힘들어졌다. 공통적으로 브레이크 속성의 공격 앞에서는 방어고 스톤 바디고 뭐고 얄짤없이 대미지를 그대로 받으므로 참조하자.

카즈 2 이상부터는 몇 번 공격을 시도하고 나면 갑자기 데스매치 1을 사용해서 전 에리어를 반파시킨다. 안 그래도 상대하기 어려운 놈을 더 상대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 특히 카즈 3과 카즈 SP의 경우 한 번 공격 시도하고 나면 바로 데스매치 1이 날아온다.

격파 시 커즈 실드 칩을 얻을 수 있다.

3.7. 프로텍트 계열

1주차 이후 갈 수 있는 WWW에리어에서 등장하는 중간보스들. 종류는 프로텍트 / 메가프로텍트 / 기가프로텍트 (HP 200 / 350 / 620)가 존재한다. 외수판에서는 Protecto (프로텍토)라는 이름으로 나오며, 버전에 따른 이름이 메가나 기가 수식 없이 Protecto2, Protecto3로 바뀐다.
자신의 최대 HP 미만의 피해를 모두 무효화하며, 3기를 한 번에 딜리트해야 파괴된다.[2] 10초마다 필드 전체에 각각 200 / 300 / 500의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폭발을 일으킨다. 모습이 보이지 않는 고정형 인카운트인 데다가 해당 에리어에서는 플러그 아웃이 불가능하므로, 잘못 걸리면 세이브 안 했는데 한순간에 게임오버당하고 진행 상황을 모두 날려먹을 수 있다.
일반 프로텍트까지는 공격력이 200에 달하는 칩이 꽤 있으니 블루스V3이나 카운트봄3 등으로 대충 치우고 넘어갈 수 있지만 메가프로텍트는 속성과 패널의 시너지를 이용한 대미지 뻥튀기나 프로그램 어드밴스 같은 수단을 동원해야 하고 기가프로텍트는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드림소드3 + 어택+20 ~ 30 밖에 방법이 없는 극악한 내구력을 자랑한다. 그래도 일부 프로텍트들을 물리치고 들어가면 희귀한 칩을 얻을 수 있으니 어렵게 해치우는 보람은 있다.

프로텍트의 하드 카운터는 바로 벌룬 칩. 프로텍트는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자기한테 날아오는 벌룬 칩을 피할 수 없고, 프로텍트의 대폭발 공격은 하필 무속성이라 벌룬을 터뜨릴 수 없는 건 물론이요 역으로 벌룬이 낼 수 있는 피해량만 증가시키는데 그 와중에 벌룬은 터진 지역 내 모든 적을 한꺼번에 공격하기 때문이다. 프로텍트가 스테이지를 폭파시키기 1~2 초 정도 이전에 벌룬 칩을 쓰고 계속 공격하다 보면 프로텍트의 대폭발까지 받아 공격력이 폭증한 벌룬이 프로텍트 본체에 그대로 닿아 프로텍트들을 단체 폭사시키는 광경을 볼 수 있다. 그 이전에 플레이어가 배리어나 오라를 준비해 뒀다면 대폭발 피해도 안 받고 그대로 끝내 버릴 수도 있다.

4. 록맨 에그제 3

4.1. 라운더 계열

에그제 3에서 처음 등장, 이후 4에서도 나온다. 라운더(ラウンダー) - 라운더라우(ラウンダラウ) - 라운더버(ラウンダバー) 순으로 상위 버전의 이름이 바뀌며, 외수판 이름은 Boomer(부머) - Gloomer(글루머) - Doomer(두머) 순으로 바뀐다. 영어권 이름에서 Boomer는 Boomerang에서 뒤의 ang을 뺀 것.

빨래집게 + 부메랑 형태의 바이러스. 기본적으로는 위아래로만 이동하다가 한 쪽 끝에 닿을 경우 입을 벌려 물고 있던 부메랑을 전방으로 날린다. 날아간 부메랑은 전투 영역의 바깥쪽을 쭉 훑으면서 지나가고, 부메랑이 화면 밖으로 나가면 조금 뒤에 다시 부메랑을 문 채 다른 방향으로 이동한다.
부메랑을 물고 있을 때의 본체는 무적이라 브레이크 속성으로만 공격할 수 있고, 공격 직후 부메랑이 입에 없을 때에만 일반적인 방법으로 대미지를 줄 수 있다. 여기에 본체 자체는 무속성이나 날리는 부메랑은 목 속성이라 플레이어가 전기 속성일 경우 2배 피해를 입는다. 상위 버전의 바이러스들은 몇 번 부메랑을 던진 뒤에는 가운데 행을 지나칠 때마다 패널 스틸을 써서 플레이어의 행동 반경을 부메랑의 진행 반경까지 좁혀 오므로 빨리 파괴하도록 하자. 특히 라운더SP(BoomerΩ)의 경우 부메랑 한 번 던지고 바로 패널 스틸로 직행하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

에그제 4에서는 시스템 상으로 바이러스들도 배틀칩 쓰듯이 특수 기능을 사용하도록 바뀌어서 패널 스틸을 남발하지는 않지만, 대신 일부 EX 버전의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부메랑을 던진 뒤 몇 번 동안은 플레이어의 가로 위치를 추적해 일직선으로 부메랑을 바로 날리기도 한다.

격파 시 부메랑(Boomer)칩을 얻을 수 있다. 바이러스가 쓰던 것과 동일하게 목 속성이며, 전투 영역 바깥쪽을 쭉 훑으면서 지나간다. 바이러스 자체는 4까지만 나왔지만 배틀칩의 경우 6까지 쭉 나왔는데, 5에서는 완전히 멸종한 바이러스 취급받았는지 배틀칩의 종류도 한 종류로 줄고 배틀칩 그래픽에 있는 바이러스가 흑백으로 그려져 있으며, 6에서는 다시 3종류가 나온 대신 배틀칩 그래픽에서 바이러스가 빠졌다. 배틀칩 자체의 성능은 한 종류밖에 없었던 5를 제외하고는 시리즈가 진행될 수록 상향되어, 6에서는 기존 대비 대미지가 상승한 점 외에 지나간 자리가 죄다 풀밭으로 바뀌는 효과가 추가되어 있다.

4.2. 헤비 어레이 계열

에그제 3에서만 등장한다. '헤비 어레이(へビーアレイ)' - '헤비 어레이즈(へビーアレイズ)' - '헤비 어레이드(へビーアレイド)' 순으로 상위 버전의 이름이 바뀌며, 외수 판 이름은 Heavy - Heavier - Heaviest. 상위 버전이 더 무거워서 대미지가 더 들어가냐

아령 모양의 바이러스. 평소에는 적 영역에서 위아래로 이동하고 있다가 어느 순간 플레이어의 영역 바로 위에 텔레포트해서 빠르게 위아래로 왕복운동하는 식으로 공격한다. 깨알같이 플레이어의 영역에 텔레포트한 순간에는 원래 파란색 계열이던 눈이 붉게 바뀐다.

묘하게 존재감이 없는 바이러스. 상대적으로 개성이 좀 후달리는 디자인에, 바이러스의 출몰 장소가 자주 가는 장소가 아니기 때문인 듯.

격파 시 헤비 쉐이크 칩을 얻을 수 있다.

4.3. N.O. 계열

에그제 3에서만 등장한다. N.O.1의 경우 비치 스트리트 만안 병원 1층 TV 안에서 출몰하며 N.O.3의 경우 시크릿 에리어 3에서 출몰한다.

얼굴에 크게 X자가 쓰여 있는 인간형 바이러스. 플레이어의 수평 위치를 계속 잡아 위아래로 이동하며, 오랫동안 같은 자리에 있을 경우 전방으로 N.O. 빔을 날리는데 이 N.O.빔이 대미지가 센 편이며 피격 시 마비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체력 회복 속도가 사기적으로 빠르기 때문에 버스터로 지져서 없애는 건 불가능하고 사실상 한 방에 쓰러뜨려야 하는 강적이다.

격파 시 N.O. 빔 배틀칩을 얻을 수 있다. 바이러스가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피격 시 마비 효과에 상당히 높은 대미지를 자랑하지만 대신에 원본과 달리 등 뒤에 어떠한 오브젝트가 있어야 발사할 수 있다는 매우 끔찍한 페널티가 존재한다. 단 등 뒤에 있는 오브젝트가 고정형이냐 그냥 적탄이냐 같은 건 따지지 않는다.

4.4. 킬러즈 아이 계열

에그제 3과 6에서 등장한다. 하나의 커다란 눈 위에 전기 모양의 더듬이, 아래로 두 개의 팔을 가지고 있다. 킬러즈 아이 - 데몬즈 아이 - 조커즈 아이 순으로 상위 버전의 이름이 바뀌며, 외수판에서도 동일하게 KillerEye - DemonEye - JokerEye 순으로 상위 버전의 이름이 바뀐다.

기본적인 공격 방식은 어느 한 방향[3]을 주시하고 있다가 보고 있는 방향에 상대방이 포착될 경우 바로 그 자리에서 해당 방향으로 전기충격을 가하는 방식인데, 이 때 주시 방향으로 빨간색 점이 이동하므로 대략적인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주시하고 있는 방향에 있지만 않으면 아무것도 못 하지만, 주변 바이러스 배치나 공격 상황 상 킬러즈 아이가 주시하고 있는 자리로 가도록 유도하는 경우가 더러 발생하기 때문에 쉽게만 볼 상대는 아니다. '항시 주시하고 있다'라는 점 때문인지 인비지블 상태에서도 인식하고 공격하며, 공격 자체는 인비지블을 무시하는데다 공속이 프레임 단위로 빠르고 심지어 마비까지 일으킨다. 브레이크 판정이라 방어도 안 통한다!

격파 시 센서 칩을 얻을 수 있다. 킬러즈 아이를 하나 소환하며, 소환된 킬러즈 아이는 바이러스가 행동하던 것처럼 주시하던 방향에 적이나 오브젝트가 있을 경우 그 자리에서 바로 전기 충격을 날린다.

성능은 가히 사기. 특히 킬러즈 아이의 지속 시간이 긴 에그제 3에서 그 진가가 더 크게 드러난다. 아이스 스테이지 깔고 센서 3로 마비 + 설치된 킬러즈 아이 앞에서 N.O.빔 연계 공격 한 번 당하면 마비 상태에서 온갖 콤보가 다 들어간다.[4]
에그제 6에서의 센서 칩은 한 번만 발동하고 바로 없어지기 때문에 사기성이 많이 떨어졌으나 여전히 무시무시한 성능을 자랑한다. 특히 '전방 내지는 후방으로 강제이동시키는 패널'과의 연계 전략은 정말 악랄하다.[5]

유저 대전에서는 기믹 배치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카운터 칠 수 있는 방법이 몇 가지 있어서 저렇게까지 악랄하게 쓰이지는 않지만, 칩 자체가 가진 '인비지블 무시 + 브레이크 판정 + 마비' 성능 때문에 여전히 사랑받는 칩이다.

4.5. 넘버즈 계열

시크릿 에리어에 등장하는 중간보스들. EXE2의 프로텍트 계열처럼 최대 HP 이하의 공격은 무효화하고 치명적인 피해를 가한다는 점까지는 비슷하지만, 다행히 특정 지점에 발을 들이면 갑자기 튀어나오는 프로텍트와는 달리 위치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데다 길을 가로막고 있는 넘버즈와 대화 후 배틀할 수 있는 방식이기에 준비가 덜 되었는데 갑자기 마주치는 참사는 일어나지 않는다.

각 개체에 숫자가 쓰여있고 해당 숫자 순서대로 공격해서 파괴해야 하며, 이 중 같은 숫자가 써진 넘버즈들은 동시에 파괴해야 한다. 또한 프로텍트가 그랬던 것처럼 최대 HP 이하의 공격은 무효화하므로 한 방에 쓰러뜨려야만 한다. 순서를 잘못 공격했을 경우 1000의 피해를 주는 반격 '에러&딜리트'가 날아온다. 체력은 넘버즈/메가넘버즈/기가넘버즈 순으로 250/400/650.

메가넘버즈 같은 경우 쿠사무라+블랙봄이나 에리어스틸+드림소드 등 많은 방법이 있으니 시도해 보자. 범위공격 하다가 얻어맞을 수야 있겠지만 언더셔츠 쯤이야 다들 끼고 있을 테고, 인비지블이나 배리어 같은 칩으로도 회피 가능하다.

기가넘버즈는 딱 한 번만 등장하며, 3마리 전체에 단 한 번의 공격으로 650의 피해를 주어야 이길 수 있다. 플레이어의 체력을 미리 깎은 후 맨 뒤쪽의 기가넘버즈에 카피 대미지+전방의 2기를 무라마사로 공격해 쓰러뜨리는 것이 보편적인 공략법. 기가넘버즈는 3마리 전부 숫자가 1이므로 반격이 발동하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공략법을 쓸 경우 반드시 전투 돌입 전에 체력을 650 이상 깎아놓아야 한다.

이외에 풀밭(쿠사무라스테이지, GrassStg)를 깔고 히트 스프레드 P.A.에 공격+30 이상을 적용시킨 뒤, 맨 위에 있는 기가넘버즈에 카피 대미지를 적용하고 바로 아래쪽 2체에 히트 스프레드 공격을 성공시키는 방법도 있다. 어드밴스드 컬렉션에서 플레이하는데 배포 칩을 쓸 의향이 있다면 카피 대미지 적용 후 아래쪽 2체에 포르테 GS를 쓰는 것도 방법이다.

5. 록맨 에그제 4

5.1. 가이언트 계열

석상 바이러스. 평상시에는 무적 상태였다가 공격하기 직전에 깜박이며 무적이 풀린다. 직후 해머를 내리쳐 일부 패널을 부수고 돌을 떨군다. 거츠맨 칩 바이러스 버전

완전고정 상태이므로 웬만한 공격은 모두 명중시킬 수 있고, 무적을 무시하는 브레이크 계열 칩(특히 에어하키가 쥐약)이나 건델솔로 쉽게 잡을 수 있다. 대신 체력은 돼지같이 많다.

5.2. 플루모코 계열

양 모양 바이러스. EXE4에서 플레이어를 극히 미쳐돌아가게 하는 녀석.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먼저 양털을 걷어내야 피해를 줄 수 있다.
2. 양털의 내구력은 1회차 때는 1이라 딱총만으로도 해체 가능하지만, 버전이 올라갈수록 수십 단위까지 올라간다. 1 / 1EX / 2 / 2EX / 3 / 3EX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1 / 4 / 8 / 12 / 16 / 20.
3. 공격방식이 그저 무식하게 돌진하는 것뿐이라 자리 잡고 연사하는 것도 어렵다. 에어하키나 건델솔조차 공격시간이 극히 줄어들어 무용지물로 만드는 건 덤이다.
4. 돌진이 끝나면 양털이 재생된다. 버전이 올라가면 이동 속도도 미친듯이 빨라져서 재생도 금방이다.
5. 일단 공격이 시작되면 그때부터는 카운터가 불가능하다. 전투 시스템을 부정하는 바이러스의 위엄!!

그래서 응원가나 인비지블 같은 무적판정의 보조가 없는 이상 때려잡기가 극히 어렵다. 사실 어렵다기보다는 더럽고 짜증난다고 하는 게 더 알맞다. 한낱 잡몹이 매 공격마다 배리어100을 써댄다는 것과 같은 의미니까.

그나마 수많은 시간을 버려가면서 시도해볼 만한 다른 방법을 찾자면, 파이어 소울의 차지샷(3칸 앞까지 화염방사, 칸마다 판정이 존재해서 3연타 가능.). 물론 타이밍을 잘 잡아야 얻어맞지 않는다.

5.3. 쿠모스 계열

6. 록맨 에그제 5

록맨 에그제 5에서 나오는 바이러스들은 일반적인 3개 버전 외에도 각 버전의 EX 바이러스가 따로 있어서, 총 6개 티어로 분류된다. EX 바이러스는 같은 버전의 바이러스에 비해 조금 더 스펙 상으로 강한 점 외에 큰 차이가 없으며, 쓰러뜨렸을 때 동일 버전의 바이러스가 주는 칩과 같은 칩을 준다.

6.1. 캐노가드 계열

캐노덤의 강화판. 마치 메툴 마냥 공격하고 있지 않을 땐 방어 상태로 대기한다. 그 외에는 동일.
격파 시 마크캐논 칩을 획득 가능.

6.2. 캐택 계열

전차 모양의 바이러스. 버전에 따라 캐택 - 캐터린 - 캐터펄드 / Catack - Cateen - Catpult 순으로 이름이 달라진다. 3번째 버전에서 드러나는 내용이지만 바이러스 이름은 일어 버전과 영어 버전 둘 다 투석기를 뜻하는 캐터펄트의 패러디이다. 캐터펄드 바이러스의 이름인 キャタパルド는 캐터펄트의 일어 표기인 キャタパル와 탁음 하나 차이이며, 영어 이름인 Catpult는 Catapult에서 p 글자를 뺀 것이다.

앞으로 한 칸씩 전진하는데, 진군하는 칸이 플레이어의 영역이면 자동으로 그 칸을 차지하면서 진군하고, 그 칸에 플레이어나 장애물이 있거나 그 칸을 차지할 수 없다면 진군하면서 대상을 치려 한다. 후자의 경우 반 칸 정도까지 진군한 시점에서 공격 판정이 나오며, 공격 시도 뒤에는 이전에 있었던 칸으로 후진한다. 매번 이동이 끝날 때마다 전차에서 조종수가 나와 앞으로 공격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일직선으로 전차포를 발사하는데, 전차포는 직격한 대상을 뒤로 밀쳐내고, 맞은 대상이 없을 경우 맨 뒤쪽 열에 후폭풍을 일으킨다.

에그제 1~3 시절의 스워딘 계열 적들 마냥 플레이어를 영역 강탈로 압박하는 적이라 빨리 죽이는 게 상책인 바이러스. 몸으로 막자니 전차에 치일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정면에서는 처리하기 곤란한데, 그렇다고 빨리 처치하지 못 하면 어느 새 플레이어의 영역 깊숙히까지 들어오므로 정면에서 처리하기 훨씬 더 힘들어지며, 전차포가 맨 뒷열을 다 커버하다 보니 맨 뒤쪽 열까지 밀리면 전차포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위험성도 높아진다.

쓰러뜨리면 전차포 계열의 칩을 얻을 수 있다.

6.3. 애플샘 계열

사과 안에 벌레가 들어 있는 모양의 바이러스이다. 막상 그 벌레가 생긴 모습이 램프에서 나온 지니, 그마저도 근육질의 지니를 연상시키는 게 특징. 버전이 올라갈 때마다 이름이 '애플샘 - 애플톰 - 애플짐' 순으로 바뀌는데, 바뀌는 그 한 글자가 마침 사람의 이름으로 쓸법한 글자이다. 영어 버전에서는 사람 이름 기믹이 따로 없이 Appley - Applez - Appull (애플리 - 애플즈 - 앱풀) 순으로 이름이 바뀐다.

평소에는 벌레 모양이 사과 속에 숨어 있으며, 이 상태로 사과가 그냥 여기저기 뛰어 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다가 벌레가 사과 안에서 튀어나와서는 3칸 앞으로 씨앗을 내뱉는다. 발사된 씨앗은 착탄 지점을 풀 패널로 바꾼다.
열받는 기믹을 2개 가지고 있다. 사과 상태일 때에는 불 속성의 공격만 통하며, 화면 상에 적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딜리트되면 그냥 죽는 게 아니라 갑자기 화면을 잠시 멈추더니 가까이 있는 적에게 사과 모양으로 변해 달려들어서 그 적의 체력을 최대치까지 채우고 딜리트된다. 이 2개의 기믹은 시간 제한이 있는 리버레이트 미션에서 굉장히 치명적으로 작용하는데, 마침 3티어 적인 애플짐과 애플짐EX는 각각 8번, 9번 리베레이트 미션에서 적으로 나온다. 가뜩이나 체력이 끔찍하게 높은 적들을 3턴 안에 다 없애야 하는 와중에 애플짐이 나오면 머리가 아파진다.

쓰러뜨리면 레드 프루츠 계열 칩을 얻을 수 있다.

7. 록맨 에그제 6

7.1. 거너 계열

시리즈 전통의 고정포대 계열 바이러스. 버전에 따라 이름이 거너 (Gunner) - 슈터 (Shooter) - 스나이퍼 (Sniper)로 바뀌는데, 이 세 이름은 록맨 제로 시리즈에서 버스터 위주로 플레이 시 리절트 창에서 볼 수 있는 코드네임과 거의 비슷하다.[6]

평소에는 총좌에 앉아 있는 사수가 쌍안경으로 앞을 바라보고 있다가, 플레이어가 같은 행에 있으면 조준점을 활성화하고 전방으로 조준점을 이동시킨다. 플레이어가 조준점에 포착되면 포착된 패널에 기관총을 난사한다. 슈터부터는 약간 행동 방식이 달라져서, '플레이어가 같은 행에 있지 않아도 조준점을 활성화해서 계속 좌우로 이동'시키다가, 플레이어를 포착하면 '해당 열 전역'에 기관총을 난사한다.

쓰러뜨리면 머신건 계열의 칩을 얻을 수 있다.

7.2. 봄 콘 계열

옥수수 모양의 바이러스. 버전에 따라 봄 콘 - 메가 콘 - 기가 콘 순으로 이름이 바뀐다.

앞뒤로 뛰어다니다가 자기 영역 내 맨 앞쪽 열로 오면 입을 크게 부풀리더니 팝콘 2조각을 각각 플레이어가 있는 칸과 랜덤한 1개 칸에 날린다. 팝콘은 포물선 궤도를 그리면서 날아오다가 착탄 지점에 닿으면 폭발한다.

보기보다 허점이 많은 바이러스인데, 우선 맨 앞쪽 열이 구멍이 나 있어서 갈 수가 없는 상태라면 그 자리에서 멈춰서 공격하는 게 아니라 굳이 그 앞쪽으로 이동하려고 기를 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발사된 팝콘이 무슨 이유에서인지 정상적으로 포물선 궤도를 그리면서 날아오기는커녕 그래픽이 찌그러진 채로 엉뚱한 데로 날아갈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된 팝콘은 해당 패널에 정상적으로 착탄하지 않기 때문에 공격 예고 표시만 뜨고 피해는 하나도 안 일어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어느 쪽이건 일어나면 매우 큰 빈틈을 보이게 되므로 처리하기 쉬워진다.

쓰러뜨리면 콘 샷 계열의 칩을 얻을 수 있다.

7.3. 센본 계열

가시복 모양의 바이러스. 이름은 가시복의 일어 이름인 ハリ'センボン'(하리'센본')에서 뒤쪽 이름을 가져왔다. 버전에 따라 이름이 센본 - 만본 - 오쿠본으로 바뀐다.

영어 버전에서는 게임에 따라 이름이 다른데, GBA 버전 에그제 6에서는 Puffy (펖피), 어드밴스드 컬렉션에서는 Diodon (다이오돈)이다. 어드밴스드 컬렉션에서 이름이 바뀐 건 에그제 1, 2에서 이미 Puffy라는 이름을 쓰는 복어 계열 바이러스가 있기 때문에 혼란을 없애고자 이름을 바꾼 것이다. 마침 Diodon이라는 단어는 동물 분류 기준 중 하나인 가시복속을 뜻하기도 하기에 더 적절하다.

그 자리에 가만히 있으면서 플레이어가 있는 위치에 물 속성의 가시를 주기적으로 발사한다. 발사된 가시는 포물선을 그리면서 날아가므로 착탄까지 시간이 좀 걸리기 때문에 피하는 게 어렵지는 않다.
센본 계열의 큰 특징은 피격 횟수에 따라 공격 횟수가 달라진다는 점인데, 한 대 맞을 때마다 더 많이 공격적인 모습으로 변하며 한 번에 공격하는 횟수가 증가한다. 무피격 시 눈을 감고 있는 상태에서 가시를 한 번에 하나만 날리지만 한 번 피격당하면 눈을 반쯤 뜬 채 화난 듯한 표정이 되고 몸이 조금 부풀어 오르며 가시를 한 번에 2개를 날리게 되고, 두 번 이상 피격당한 시점부터는 눈을 크게 뜨고 몸이 크게 부푼 상태가 되며 이 때는 한 번에 3개의 가시를 날린다. 맨 마지막 상태가 되면 가시를 피하려고 동네방네 도망다녀야 하는 상황이 되며 엄청 정신 없어진다.

피격 횟수에 따라 공격성이 늘어나는 특성 상, 한 번에 죽이지 못 하는데 때리는 횟수는 늘어나기만 하는 연타 계열 공격과의 상성은 최악이다. 강력한 한 방의 공격으로 일격사시키는 게 편하다.

7.4. 카카지 계열

피뢰침에 허수아비를 씌워 놓은 모양의 바이러스. 마침 이름부터가 허수아비를 뜻하는 かかし(카카시)/Scarecrow에서 따 왔다. 영어 이름은 버전에 따라 Scarecrow - Scarecrow2 - Scarecrow3 같은 식으로 뒤에 숫자만 붙을 뿐이지만, 일어 이름은 카카지 - 카카다스 - 카카닷베 순으로 이름이 바뀐다.

평소에는 아무 것도 안 하고 있고 따로 움직이지도 않지만, 주기적으로 벼락을 맞은 뒤 그 전격 에너지를 전방으로 뿜어내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 같은 열에만 있지 않으면 위협이 되지 않는 적이지만, 전기 속성 공격을 맞는 순간 체력이 최대치까지 회복되는 특징이 있다. 거기다 여기서 말하는 전기 속성은 자기가 주기적으로 맞는 벼락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벼락 한 번 내리칠 때마다 체력이 최대치까지 회복된다. 이 때문에 절대로 전기 속성의 공격을 쓰면 안 되며, 전기 속성이 없는 공격으로 일격사시키는 게 제일 좋다.

[1] 원래대로라면 Tough Bunny라 써야 하지만, 록맨 에그제 2는 바이러스의 이름에 쓸 수 있는 글자 수가 9자로 제한되어 있어서 발음이 비슷한 Tuff를 대신 쓴 것이다.[2] 화면 암전 시 일어나는 공격은 동시에 일어난 걸로 판정된다.[3] 기본적으로 전방을 주시하며, 맨 윗줄에 있을 경우 아래쪽을, 맨 아랫줄에 있을 경우 위쪽을 주시하기도 한다. 바이러스로 나오는 킬러아이는 맨 가운데줄에 나오지 않기 때문에 가운데줄에 있을 경우는 고려하지 않았다. 시작하자마자 한 대 맞고 시작하라고 하면 좋겠는가?[4] 다만 저 영상의 경우 TAS 기법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걸러서 볼 필요는 있다. 물론 센서 3와 N.O. 빔 연계 공격 자체는 불가능하진 않지만 유저 대전에서는 좀 쓰기 힘든 전법이다.[5] 에리어 스틸과 고잉 로드 + 커밍 로드 조합을 적절히 이용하여 적의 영역에 강제이동 패널을 깔아 적이 그 자리에 있을 경우 강제로 좌우로 왕복되도록 한 뒤 카운터를 통해 풀 싱크로를 얻은 상태에서 컬러 포인트 + 어택+ 효과가 적용된 센서 3를 설치해서, 카운터를 맞아 마비된 상대방이 좌우로 강제 왕복하면서 센서의 전기 충격을 연타로 얻어맞도록 유도한 것. 전기 충격이 주시 방향 전역에 작용한다는 점을 이용했다.[6] 록맨 제로 시리즈에서 볼 수 있는 코드네임은 '건맨 - 슈터 - 스나이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