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12일부터 14일까지 진행된 2024 시즌 LCK의 선발전에 대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선발전/LCK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특징3. 이모저모4. 역대 월드 챔피언십 진출팀5. 역대 선발전
5.1. 시즌 2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5.2.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5.3. 2014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5.4. 2015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5.5. 2016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5.6. 2017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5.7. 2018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5.8. 2019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5.9. 2020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5.10. 2021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5.11. 2022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5.12. 2023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5.13. 2024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6. 개별 경기 기록7. 관련 문서[clearfix]
1. 개요
일정 규모의 팀을 대상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기 위한 팀을 선발하기 위한 단기 토너먼트 대회이다.2. 특징
선발전이 재미있는 이유는 그 누구도 결말을 예측할 수 없는 드라마라는 것. 선발전에서 탈락하는 순간 말 그대로 시즌의 끝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 약팀이나 강팀 할 것 없이 모든 팀들이 이를 악물고 사력을 다해 경기에 임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선발전에서는 시즌 중엔 볼 수 없었던 온갖 변수와 업셋이 난무하고 기적같은 도장깨기[1]가 자주 일어난다. 그야말로 벼랑 끝의 진검승부라고 할 수 있다.월드 챔피언십이 시작된 이래 각 지역에서 시행된 선발전은 2017 시즌부터 마이너 리그 팀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제 와일드카드 결정전이 폐지되면서 메이저 리그에서만 열리게 되었고, 2020 시즌부터는 LMS[2], LEC, LCS가 선발전을 폐지하고 서머 순위대로 월즈 진출팀을 결정하는 것으로 선회하면서 LCK와 LPL에서만 열리게 되었다.
이후 2025년부터는 LCK, LPL도 각각 리그 플레이오프, 시즌 플레이오프가 월즈 선발전을 대체하게 되면서 월즈 선발전은 당분간 없을 예정이다.
이밖에 단일 시즌을 개최하는 경우 Mid-Season Invitational 선발전을 따로 둔다. 해당하는 대회는 2021년 LCS의 Mid-Season Showdown, 2025년 LCK의 Road to MSI가 있다. 이것들은 모두 월즈 선발전이 아니므로 이 문서에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3. 이모저모
3.1. 팀
선발전에서 가장 강한 모습을 보여준 팀은 젠지와 C9이다. 플레이오프에서 부진해서 선발전으로 내려오면 상성이고 부진이고 뭐고 싹 다 깨부수면서 전승 100%의 승률을 자랑한다. 젠지는 9전 전승, C9는 7전 전승ㅈ. 또한 1차전, 2차전, 최종전 대기 모든 출발 지점에서 시작해서 최종 진출했다는 신기한 기록도 가지고 있다.이 외에도 선발전에서 새롭게 강자로 떠오른 팀은 Dplus KIA이다. 디플러스는 LCK에 승격하자마자 담원 게이밍의 이름으로 선발전에 참가해 돌풍을 일으키던 킹존을 누르고 2019 시즌 3시드를 획득했으며, 담원 기아 시절의 2022 시즌에도 3시드를, 이어진 2023 시즌까지 4시드를, 2024 시즌은 3시드를 차지하면서 선발전 5전 전승의 승률을 마크하게 되었다.
토너먼트 시절 선발전 원조 최강자는 나진 e-mFire로 12년, 14년에만 각각 3승씩 6전 전승을 기록했지만 15년 진에어에게 0:3 패배하면서 전승이 깨졌다. 6승 1패.
선발전 최약팀은 단연 샌드박스-피어엑스로, 19, 21, 22, 24년 4번이나 선발전에 진출하고도 5전 전패를 기록했다. CJ와 진에어도 1승은 거뒀지만 피어엑스는 승리조차 없어 유독 인연이 없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피어엑스가 결정적으로 탈락을 기록했을 때는 전부 데프트가 연관되어있었다.
3.2. 선수
선수 개인으로 보면 쇼메이커가 19, 22, 23, 24년 선발전을 전부 통과하였으며 5승 무패로 가장 승률이 좋다. 룰러도 16, 17, 18, 20년 전승에 LPL에 있었던 24년 NIP전까지 9승 0패를 기록했으나 웨이보전에서 2:3 패배하면서 결국 전승이 깨졌다.데프트는 17, 19 시즌 탈락, 21~23 진출에 7승 3패라는 높은 성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이하게 21 시즌부터 23 시즌까지 3연속으로 4시드를 따냈다. 본인의 LCK 첫 선발전이었던 17 시즌에는 정규 때의 압도적인 전적에도 불구하고 최종전에서 삼성에게 무릎을 꿇으며 고배를 마셨지만 그게 교훈이 됐는지 19년도부터 선발전마다 좋은 활약상을 선보이고 있다. 비록 19 시즌 때는 본인의 각성과는 별개로 신흥 강자로 불리던 담원에게 아쉽게 최종전에서 석패하며 월즈에 가지 못했지만 특히 선발전에서 2번이나 극상성 관계를 청산했고[3] 끝내 22년도에 월즈 우승을 차지하는데 성공했다.[4]
페이커는 T1 원팀맨으로 남은 결과 4승 5패로 팀과 선발전 성적이 같으며 명성에 걸맞지 않게 선발전에서 고전하는 경향이 강하다.
고동빈은 1승 3패로 굉장히 낮다.
4. 역대 월드 챔피언십 진출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700><table 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324>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LCK 역대 월드 챔피언십 진출팀 |
5. 역대 선발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역대 선발전 | ||||
시즌 2 | 시즌 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5.1. 시즌 2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7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003161>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한국 대표 선발전 대진표 |
장소: 용산 e-Sports 스타디움 | ||||||||||
팀 | 5위 결정전 9/12 | 준플레이오프 9/14 | 플레이오프 9/19 | 결승전 9/21 | ||||||
AZB | <colbgcolor=#BCBFCD,#505050> 2위 | → | 2 | |||||||
Azubu Blaze | ||||||||||
XS | 3위 | → | 0 | |||||||
Xenics Storm | ||||||||||
NJS | 4위 | → | 3 | |||||||
NaJin Sword | 3 | |||||||||
IM | 공동 5위 | 3 | 3 | |||||||
LG-IM | 1 | |||||||||
CJ | 1 | |||||||||
CJ Entus | ||||||||||
녹색: 시즌2 월드 챔피언십 진출 (2시드) |
5.2.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7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003161>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 LCK 대표 선발전 대진표 |
장소: 용산 e-Sports 스타디움 | ||||||||||
팀 | 4·5위 결정전 9/4 | 준플레이오프 9/5 | 플레이오프 9/6 | 결승전 9/7 | ||||||
SKT | <colbgcolor=#BCBFCD,#505050> 3위 | → | 3 | |||||||
SK telecom T1 | ||||||||||
CJF | 공동 4위 | 2 | → 승리팀 플레이오프 진출 | 0 | ||||||
CJ Entus Frost | ||||||||||
KTB | 1 | 3 | 1 | |||||||
kt Rolster Bullets | 3 | |||||||||
CJB | 6위 | → | 0 | |||||||
CJ Entus Blaze | ||||||||||
녹색: 시즌3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
5.3. 2014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7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003161> |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 LCK 대표 선발전 대진표 |
장소: 용산 e-Sports 스타디움 | ||||||||||
팀 | 2·3위 결정전 8/27 | 준플레이오프 8/28 | 플레이오프 8/29 | 결승전 8/30 | ||||||
SSW | <colbgcolor=#BCBFCD,#505050> 공동 2위 | 3 | → 패배팀 결승전 진출 | 1 | ||||||
Samsung Galaxy White | ||||||||||
SKK | 0 | |||||||||
SK telecom T1 K | ||||||||||
KTA | 4위 | → | 0 | |||||||
kt Rolster Arrows | 3 | |||||||||
NWS | 5위 | → | 3 | |||||||
NaJin White Shield | 3 | |||||||||
KTB | 6위 | → | 0 | |||||||
kt Rolster Bullets | ||||||||||
보라색: 2014 월드 챔피언십 직행 (2시드) | 녹색: 2014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
5.4. 2015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003161> |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LCK 대표 선발전 대진표 |
팀 (포인트 순위) | 1라운드 (9/2) | 2라운드 (9/4) | 최종전 (9/5) | ||||
→ | 3 | ||||||
→ | 2 | ||||||
3 | 1 | ||||||
3 | |||||||
0 | |||||||
초록색: 2015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
5.5. 2016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003161> |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LCK 대표 선발전 대진표 |
팀 (포인트 순위) | 1라운드 (8/29) | 2라운드 (9/1) | 최종전 (9/3) | ||||
→ | 2 | ||||||
→ | 3 | ||||||
3 | 3 | ||||||
1 | |||||||
2 | |||||||
초록색: 2016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
5.6. 2017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101B21> |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LCK 대표 선발전 대진표 |
팀 (포인트 순위) | 1라운드 (9/7) | 2라운드 (9/8) | 최종전 (9/9) | ||||
→ | 0 | ||||||
→ | 3 | ||||||
3 | 3 | ||||||
2 | |||||||
2 | |||||||
초록색: 2017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
5.7. 2018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2f5cad> |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LCK 대표 선발전 대진표 |
팀 (포인트 순위) | 1라운드 (9/12) | 2라운드 (9/14) | 최종전 (9/16) | ||||
→ | 0 | ||||||
→ | 2 | ||||||
3 | 3 | ||||||
3 | |||||||
2 | |||||||
초록색: 2018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
5.8. 2019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40423f> |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 LCK 대표 선발전 대진표 |
팀 (포인트 순위) | |||||||
→ | 3 | ||||||
→ | 1 | ||||||
3 | 2 | ||||||
3 | |||||||
1 | |||||||
빨간색: 2019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
5.9. 2020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a2b> |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LCK 대표 선발전 대진표 |
{{{#!wiki style="margin: 95px -5px -12px -5px" | <rowcolor=#fff> 1라운드 (9/7) | ||||||
<colbgcolor=#f5f5f5,#282828> | 3 | ||||||
0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2라운드 (9/8) | ||||
<colbgcolor=#f5f5f5,#282828> | 3 | ||||||
↗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95px -5px" | <rowcolor=#fff> 최종전 (9/9) | |||
<colbgcolor=#f5f5f5,#282828> | 3 | ||||||
↗ | 0 | }}} | |||||
노란색 : 2020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
5.10. 2021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1036F0> |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LCK 대표 선발전 대진표 |
{{{#!wiki style="margin: 95px -5px -12px -5px" | <rowcolor=#fff> 1라운드 (8/31) | ||||||
<colbgcolor=#f5f5f5,#282828> | 3 |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진출전 (9/1) | ||||
<colbgcolor=#f5f5f5,#282828> | 0 | ||||||
↗ | 3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95px -5px" | <rowcolor=#fff> 시드 결정전 (9/2) | |||
<colbgcolor=#f5f5f5,#282828> | 3 | ||||||
↗ | 2 | }}} | |||||
노란색 : 2021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 빨간색 : 2021 월드 챔피언십 진출 (4시드) |
5.11. 2022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191919> |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LCK 대표 선발전 대진표 |
{{{#!wiki style="margin: -12px -5px 95px -5px" | <rowcolor=#f1f1f1> 3시드 결정전 (9/1) | ||||||
<colbgcolor=#f5f5f5,#282828> | 3 | ||||||
1 | }}} | {{{#!wiki style="margin: 95px -5px -12px -5px" | <rowcolor=#f1f1f1> 최종전 진출전 (9/2) | ||||
<colbgcolor=#f5f5f5,#282828> | 2 | ||||||
3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1f1f1> 4시드 결정전 (9/3) | ||||
<colbgcolor=#f5f5f5,#282828> R1 [ruby(↘,ruby=패자, color=red)] | 2 | ||||||
R2 [ruby(↗,ruby=승자, color=green)] | 3 | }}} | |||||
노란색 : 2022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 빨간색 : 2022 월드 챔피언십 진출 (4시드) |
5.12. 2023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 |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 LCK 대표 선발전 대진표 |
{{{#!wiki style="margin: -12px -5px 95px -5px" | <rowcolor=white> 3시드 결정전 (8/24) | ||||||
<colbgcolor=#f5f5f5,#282828> | 3 | ||||||
1 | }}} | {{{#!wiki style="margin: 95px -5px -12px -5px" | <rowcolor=white> 최종전 진출전 (8/25) | ||||
<colbgcolor=#f5f5f5,#282828> | 3 | ||||||
0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4시드 결정전 (8/26) | ||||
<colbgcolor=#f5f5f5,#282828> R1 [ruby(↘,ruby=패자, color=red)] | 1 | ||||||
R2 [ruby(↗,ruby=승자, color=green)] | 3 | }}} | |||||
노란색 : 2023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 빨간색 : 2023 월드 챔피언십 진출 (4시드) |
5.13. 2024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324> |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LCK 대표 선발전 대진표 |
{{{#!wiki style="margin: -12px -5px 95px -5px" | <rowcolor=white> 3시드 결정전 (9/12) | ||||||
<colbgcolor=#f5f5f5,#282828> | 2 | ||||||
3 | }}} | {{{#!wiki style="margin: 95px -5px -12px -5px" | <rowcolor=white> 최종전 진출전 (9/13) | ||||
<colbgcolor=#f5f5f5,#282828> | 3 | ||||||
0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4시드 결정전 (9/14) | ||||
<colbgcolor=#f5f5f5,#282828> R1 [ruby(↘,ruby=패자, color=red)] | 3 | ||||||
R2 [ruby(↗,ruby=승자, color=green)] | 2 | }}} | |||||
노란색 : 2024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 빨간색 : 2024 월드 챔피언십 진출 (4시드) |
6. 개별 경기 기록
6.1. 매치 전적
팀명 | 전적 | 승률 |
Gen.G | 9전 9승 | 1.000 |
Dplus KIA | 5전 5승 | 1.000 |
OKSavingsBank BRION | 7전 6승 1패 | 0.857 |
DRX | 9전 5승 4패 | 0.556 |
Jin Air Greenwings | 4전 2승 2패 | 0.500 |
T1 | 9전 4승 5패 | 0.444 |
KWANGDONG FREECS | 7전 3승 4패 | 0.429 |
Hanwha Life Esports | 5전 2승 3패 | 0.400 |
kt Rolster | 14전 5승 9패 | 0.357 |
CJ Entus | 5전 1승 4패 | 0.200 |
BNK FearX | 5전 5패 | 0.000 |
舊 CJ Entus | 1전 1패 | 0.000 |
Griffin | 1전 1패 | 0.000 |
MVP | 1전 1패 | 0.000 |
Nongshim RedForce | 1전 1패 | 0.000 |
Xenics Storm | 1전 1패 | 0.000 |
- [ 형제팀 전적 펼치기 · 접기 ]
- ||<tablebordercolor=#1c192b><rowbgcolor=#1c192b> 팀명 || 전적 || 승률 ||
NaJin Black Sword 3전 3승 1.000 NaJin White Shield 3전 3승 1.000 Samsung Galaxy White 1전 1승 1.000 CJ Entus Frost 2전 1승 1패 0.500 Incredible Miracle #1 2전 1승 1패 0.500 kt Rolster Bullets 5전 2승 3패 0.400 SK Telecom T1 K 3전 1승 2패 0.333 CJ Entus Blaze 2전 2패 0.000 舊 CJ Entus 1전 1패 0.000 kt Rolster Arrows 1전 1패 0.000 Xenics Storm 1전 1패 0.000
6.2. 세트 전적
팀명 | 전적 | 승률 |
Gen.G | 36전 27승 9패 | 0.750 |
OKSavingsBank BRION | 25전 18승 7패 | 0.720 |
Dplus KIA | 21전 15승 6패 | 0.714 |
Jin Air Greenwings | 17전 9승 8패 | 0.529 |
Hanwha Life Esports | 20전 10승 10패 | 0.500 |
DRX | 37전 18승 19패 | 0.486 |
KWANGDONG FREECS | 30전 14승 16패 | 0.467 |
kt Rolster | 51전 23승 28패 | 0.451 |
T1 | 38전 17승 21패 | 0.447 |
Griffin | 5전 2승 3패 | 0.400 |
MVP | 5전 2승 3패 | 0.400 |
CJ Entus | 19전 6승 13패 | 0.316 |
BNK FearX | 16전 4승 12패 | 0.250 |
舊 CJ Entus | 4전 1승 3패 | 0.250 |
Nongshim RedForce | 3전 3패 | 0.000 |
Xenics Storm | 3전 3패 | 0.000 |
- [ 형제팀 전적 펼치기 · 접기 ]
- ||<tablebordercolor=#1c192b><rowbgcolor=#1c192b> 팀명 || 전적 || 승률 ||
Samsung Galaxy White 3전 3승 1.000 NaJin White Shield 10전 9승 1패 0.900 NaJin Black Sword 12전 9승 3패 0.750 kt Rolster Bullets 16전 8승 8패 0.500 Incredible Miracle #1 8전 4승 4패 0.500 SK Telecom T1 K 11전 4승 7패 0.364 CJ Entus Frost 6전 2승 4패 0.333 CJ Entus Blaze 8전 2승 6패 0.250 舊 CJ Entus 4전 1승 3패 0.250 kt Rolster Arrows 3전 3패 0.000 Xenics Storm 3전 3패 0.000
7. 관련 문서
[1] 대표적으로 2014, 2018, 2021, 2022 시즌 선발전.[2] LST와 합병하여 PCS로 개편된 이후 마이너 리그로 강등, 자연스럽게 선발전이 폐지되었다.[3] 공교롭게도 21년과 22년 모두 리브 샌박을 상대로 정규 시즌의 상성을 극복해냈다.[4] 2015년 단일팀 체제로 개편된 이후 선발전부터 시작해서 끝내 월즈를 우승한 팀은 2017년의 삼성 갤럭시와 2022년의 DRX, 2024년의 T1이 있다. 그 전으로 올라가면 SKT T1이 선발전을 뚫고 올라가서 2013년 월즈를 우승한 전적이 있다.[예외] 2012년(시즌2)의 경우 '2시드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