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선발전]]{{{#!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 ||||
시즌 2 | 시즌 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000324> |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 지역별 선발전 일람 |
<rowcolor=white> 선발전 | 지역 챔피언십 | |||
LPL | LCK | LEC | LTA | LCP |
1.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할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팀을 선발하는 경기들을 모아놓은 문서이다.별도의 선발전을 치르는 리그는 LPL 뿐이고, 다른 리그는 서머 플레이오프 또는 리그 챔피언십이 선발전을 겸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LPL에 관해서만 별도 문서로 분리하여 설명한다. 다른 리그의 선발 방식에 관해서는 LoL e스포츠/2025 리그 챔피언십 또는 위의 '지역별 선발전 일람' 표 참고.
2. 방식
시즌 플레이오프를 통해 결정된 LPL 우승팀이 1시드로 월즈에 진출하고, 우승팀을 제외한 팀들 중 챔피언십 포인트가 가장 많은 팀이 2시드로 월즈에 진출한다.[1] 그 이하 팀들은 별도의 선발전을 거쳐 하위 시드가 결정된다.LPL 팀들이 MSI에서 부진하여 월즈 추가 시드를 얻지 못했다면 포인트 2위부터 4위까지 선발전에 진출하여 계단식 플레이오프로 3시드를 선발한다. 즉 포인트 3위 vs 4위가 Bo5로 대결하고, 여기서 살아남은 팀이 포인트 2위 팀과 Bo5로 대결하여 승자가 3시드를 차지하고 월즈로 간다.
LPL이 MSI에서 추가 시드권을 따냈으나 LPL 팀이 우승하지 못한 경우, MSI에서 LPL 팀이 우승했으나 그 팀이 시즌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한 경우, 혹은 MSI 우승팀이 2시드 이상이 확정된 경우는 포인트 2위부터 5위까지 선발전에 진출하여 2위 vs 3위, 4위 vs 5위 방식으로 대결한다. 전자에서 승리하면 3시드를 얻고 월즈행이고 패배 시 후자에서 승리한 팀과 4시드 결정전을 치른다.
MSI에서 우승한 LPL 팀이 시즌 플레이오프엔 진출했으나 우승도 못하고 포인트 1위도 못 차지한 경우, MSI 우승팀이 3시드 결정전에 직행하고 월즈가 확정된 3팀을 제외한 포인트 상위 세 팀이 계단식 토너먼트를 치른다. 여기서 살아남은 한 팀이 MSI 우승팀과 대결하고 승리 시 3시드, 패배 시 4시드가 확정된다.
2.1. 챔피언십 포인트
LPL Split 1 | LPL Split 2 | LPL Playoffs | |||||||
<rowcolor=#373a3c,#ddd> 우승 | | TES | 20 | 90 | 220 1번 출전권 획득 | ||||
<rowcolor=#373a3c,#ddd> 준우승 | | AL | 15 | 70 | 110 | ||||
<rowcolor=#373a3c,#ddd> 3위 | | JDG | 10 | 50 | 80 | ||||
<rowcolor=#373a3c,#ddd> 4위 | | BLG | 10 | 30 | 60 | ||||
<rowcolor=#373a3c,#ddd> 5~6위 | | NIP | 5 | 20 | 40 | ||||
| TT | ||||||||
<rowcolor=#373a3c,#ddd> 7~8위 | | WBG | 5 | 10 | 10 | ||||
| IG |
종합 | |||||
<rowcolor=#373a3c,#ddd> 포인트 순위 | 팀 | 챔피언십 포인트 | 결과 | ||
<rowcolor=#373a3c,#ddd> 1위 | | TES | 2번 출전권 획득 | ||
<rowcolor=#373a3c,#ddd> 2위 | | WBG | 선발전 | 4번 출전권 획득 | |
<rowcolor=#373a3c,#ddd> 3위 | | LNG | 3번 출전권 획득 | ||
<rowcolor=#373a3c,#ddd> 4위 | | NIP | |||
<rowcolor=#373a3c,#ddd> 5위 | | JDG | |||
<rowcolor=#373a3c,#ddd> 6위 | | AL | 선발전 진출 실패 | ||
<rowcolor=#373a3c,#ddd> 7위 | | FPX | |||
<rowcolor=#373a3c,#ddd> 8위 | | WE |
[1] 명목상으로는 포인트 상위 두 팀들이 각각 1, 2시드로 진출한다. 하지만 시즌 플레이오프 우승팀은 220포인트를 받아 어떤 경우에도 포인트 1위를 차지하여 1시드로 진출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