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5:50:37

Team WE/리그 오브 레전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Team WE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Team WE/리그 오브 레전드/2024 시즌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파일:LPL_2020_white_notext.pngLPL
참가팀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TES 로고 2019.svg
JDG Intel Esports Club LNG Ninebot Esports Bilibili Gaming Top Esports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Oh_My_Godlogo.png 파일:Ninjas_in_Pyjamas_2021_neon_logo.png
Weibo Gaming Faw Audi Edward Gaming Hycan Oh My God Ninjas in Pyjamas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Team_WE.png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Royal Never Give Up Team WE FunPlus Phoenix Invictus Gaming
파일:TT_%28Chinese_Team%29logo_square.png 파일:Ultra_Prime.png 파일:1200px-Rare_Atom_allmode_full.png 파일:Anyone%27s_Legendlogo_profile.png파일:Anyone%27s_Legendlogo_profile_textwhite.png
Thunder Talk Gaming Ultra Prime Rare Atom Anyone's Legend
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
LGD Gaming
LDL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파일:600px-Team_WElogo_square.png
<colbgcolor=#de1c27><colcolor=#fff> 팀 더블유이
Team WE
창단 2011년 3월 21일
연고지 중국 산시성 시안시
소속 리그 LPL
홈 경기장 Xi'an Qujiang E-sports Center
소유주 장웨이
Smallorc
CEO
매니저 리렌관
inkwan
리더 왕젠야오
Angelxi
|양판
YFK
감독 [[천주치|천주치
WarHorse
]]
코치 천위
Changan
주장
약칭 WE
파일:Team_WE.pn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우승 기록
LPL
(1회)
2017 스프링
RR
(1회)
2017
IEM
(3회)
2011 광저우, 2013 상하이, 2014 선전
NEST
(1회)
2015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1c27><colcolor=#fff>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중국 국기.svg [[황런싱|황런싱
Waywar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중국 국기.svg [[양츠이헝|양츠이헝
Heng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대만 국기.svg [[주쥔란|주쥔란
FoFo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중국 국기.svg [[궈이양|궈이양
Stay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딩양|랴오딩양
Iwandy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개요2. 주요 경력3. 역사 및 역대 시즌4. 멤버
4.1. Wayward(웨이와드, 황런싱)4.2. Heng(헝, 양츠이헝)4.3. FoFo(포포, 주쥔란)4.4. Prince(프린스, 이채환)4.5. Stay(스테이, 궈이양)4.6. Iwandy(아이완디, 랴오딩양)
5. Team WE Academy6. 전 멤버
6.1. CaoMei(차오메이, 웨이한둥)6.2. YJTM(우쑹쥔)6.3. if(이프, 추이이)6.4. OldB(올드비, 양승빈)6.5. Aluka(알루카, 펭젠밍)6.6. Styz(스티즈, 쿼지량)6.7. DaDa777(다다777, 팡홍리)6.8. SukiM(스킴, 첸지얀)6.9. Conan(코난, 커이)6.10. 957(957, 커창위)6.11. Clever9(클레버9, 왕즈충)6.12. Teacherma(티처마, 장천)6.13. heal(힐, 펑쥔제)6.14. View(뷰, 천위밍)6.15. Demon(데몬, 우위에웨이)
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WE white.png
#KeepYourDreams
Team WE 소속 중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WE.

2. 주요 경력

우승 경력
IEM Season VI - Guangzhou 우승
Counter Logic Gaming Prime Team WE Fnatic
IEM Season Ⅷ - Shanghai 우승
CJ 엔투스 블레이즈 Team WE Gambit Gaming
IEM Season Ⅸ - Shenzhen 우승
IEM Ⅷ Team WE Cloud 9 Hyper-X
NEST 2015 우승
Team King Team WE Invictus Gaming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pring 우승
Edward Gaming Team WE Edward Gaming
2017 Rift Rivals Red Rift 우승
대회 개최 LPL[1] LPL[2]
준우승 경력
NEST 2013 준우승
출범 Team WE Edward Gaming
Demacia Cup Season 1 & Season 2 준우승
출범 Team WE Invictus Gaming
IEM Season Ⅸ - World Championship 준우승
Fnatic Team WE Fnatic
2020 Demacia Cup 준우승
Edward Gaming Team WE FunPlus Phoenix
NEST 2021 준우승
Rogue Warriors Team WE FunPlus Phoenix

3. 역사 및 역대 시즌

파일:WE.webp 파일:Team_WE.png
Team WE
팀 더블유이



4. 멤버

4.1. Wayward(웨이와드, 황런싱)

파일:WE_Wayward_2024_Split_1.png

문서 참조.

4.2. Heng(헝, 양츠이헝)

파일:WE_Heng_2024_Split_1.png

문서 참조.

4.3. FoFo(포포, 주쥔란)

파일:WE_FoFo_2024_Split_1.png

문서 참조.

4.4. Prince(프린스, 이채환)

파일:WE_Prince_2024_Split_1.png

문서 참조.

4.5. Stay(스테이, 궈이양)

파일:WE_Stay_2024_Split_1.png

문서 참조.

4.6. Iwandy(아이완디, 랴오딩양)

파일:WE_Iwandy_2024_Split_1.png

문서 참조.

5. Team WE Academy

Team WE Academy 항목 참조.

6. 전 멤버

6.1. CaoMei(차오메이, 웨이한둥)

파일:external/upload.inven.co.kr/i4793260171.jpg

탑솔 플레이어. 아이디의 의미인 딸기와 어울리지 않는 영롱한준수한 외모로 눈길을 끌었다. 딸기면 준수한 외모가 어울리지 않을까 하지만 이 남자는 정신병자가 우글거리는 탑에 서식합니다 한국 한정 별명은 짱동건(...) 인터뷰에 따르면 그냥 자신이 만족할만한 외모라는 듯.#
IPL5 에서 CLG.EU와의 69분혈전에서 렝가로 엄청난 백도어 능력을 보여주면서 偷塔狂魔(투탑광마)[3] 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중국 내에서의 인기는 막눈급의 위상을 달리고 있다.2014 롤스타전 투표에선 5671268표 라는 지지 하에 1위로 올스타전에 나갔다.초반에 압도적인 표차였으나 LPL에서의 삽질이 커서 그런지 몰라도 GGoing에 따라잡힐뻔했다.

그러나 부친상으로 1일차 일정만 소화하고 귀국했다. 대타는 OMG cool

8월 말 팀의 롤드컵 진출이 좌절되면서, 은퇴를 선언하였다. 은퇴후엔 프로게이머 생활 말에 결혼한 아내와 함께 두딸의 아버지가 되었으며 VC Gaming[4]의 오너로써 활동하다가 인터넷 방송을 하고있다..

6.2. YJTM(우쑹쥔)

파일:attachment/World Elite/Weyjtm.jpg

전 정글러 담당. 나서스 정글이 정석이 되기전부터 나서스 정글을 하기도 했고 이렐리아 정글을 하기도 했었다. 2012년 8월 25일로 ClearLove로 교체되었다.

6.3. if(이프, 추이이)

파일:attachment/World Elite/weif.jpg

전 서포트 담당으로 소라카와 타릭을 주로 했다고 한다. 2012년 9월 6일에 팀을 떠났다.

6.4. OldB(올드비, 양승빈)

팀을 떠난 연형모의 뒤를 이어 2014년 8월 28일 부로 입단한 Prime Optimus 출신의 한국인 정글러. 이는 전에 같은 팀 소속이었던 닌자 노건우 선수와의 호흡을 고려한 걸로 보인다. 형제팀이였던 WE.A의 Khan(구 한라봉) 김동하 선수와도 한솥밥을 먹던 사이라는 점이 팀에 적응하는데 있어 큰 플러스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WE가 이다윤을 영입하면서 밀려날 징조가 보이더니 결국 Khan과 함께 WE의 새로운 2팀인 WE.F 소속으로 출전하게 되었으나, 현재는 한국에 돌아와 있는 것으로 알려짐.

6.5. Aluka(알루카, 펭젠밍)

PE 출신의 탑라이너로 새로운 WE의 탑라이너로 영입되었다. 평은 별로 좋지 않은편으로 그나마 탱커를 잡는 것이 낫다라는것이 중론 그래도 IEM에서 사이온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줘 밴을 이끌어 낼만큼 탱커를 플레이하는 것이 확실히 낫다. 이외에 마오카이, 헤카림 등으로 그나마 사람같은 플레이를 한다.

콩가루였던 WE에서 가장 인성이 좋은 플레이어인 모양. 이성은 감독도 여러 차례 칭찬했고 전반적인 관계자들 평판이 좋다. 실력 말고 인성에 대해서만(...) 탱커 이외의 탑챔프를 정말 못하기 때문에 갈아야 한다는 이야기도 많이 나오는 플레이어. 2015 NEST에서는 사이온 장인다운 플레이를 보여주며 우승에 공헌했으나 2016 시즌의 탑 메타가 탱커일지 아닐지는 까봐야 안다는 것이 문제.

은퇴이후엔 4AM이라는 팀으로 배틀그라운드에서 GODV와 함께 활약하다가 프로 은퇴를 선언했다.

6.6. Styz(스티즈, 쿼지량)

웨이샤오의 뒤를 이은 WE의 새로운 원딜러다. LGD 출신의 원딜러다. LGD시절에 계약관련 문제로 1년간 LPL 리그 출전정지를 당한 상태였다. 여담으로 좋아하는 선수가 Team M3의 원딜러 SmLZ다. 그러나 SmLZ는 현재 서브로 밀려나 있다(...) 그리고 본인도 실력을 보면 주전 자리가 위험하다 정말로 한국의 미스틱이 IEM에 출전.

SI에 게스트로 초대된 LPL 분석가가 최악이라고 깐 선수인데 코치인 훈이 무척 신뢰했다.훈 문서를 보면 알지만 훈이 개인기량을 보는 눈은 좀 펠레 기운이 있지

오죽하면 미스틱이 빠졌는데 NESO에 미드 서브인 Sukim이 대신 원딜로 나왔다. 말이 필요한지?

현재는 에이콘이 소속된 세인트 게이밍의 원딜러. 근데 WE 시절보단 조금 잘한다. 그것도 서폿이 보통 트롤러가 아닌데도.훈 재평가?

6.7. DaDa777(다다777, 팡홍리)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220px-OMG_Dada777_2014_WCS.jpg

OMG의 새 서포터였던 Cloud의 자리를 이은 새 서포터 담당으로[5] 주 챔피언은 쓰레쉬 중국 내 에선 던전 앤 파이터 네임드로 유명했다. 직업은 웨펀마스터 그러나 롤에서의 모습은 진짜 좋지 않은 편인데 국내외 전문가와 팬들을 막론하고 OMG의 구멍으로 가장 먼저 뽑는 선수가 이 선수일 정도로 진짜 못한다.그리고 정말로 유일한 구멍이었음이 8강서 밝혀졌다 4강서는 San도 못하긴 했는데 상대가 Uzi였다(...)

사실 절대적인 피지컬이 그렇게 나쁘다고 봐야 하는지는 애매한데, 다른 게임을 주로 하다 와서 그런지 롤에 대한 이해도가 여러 가지로 정말 별로다.라샤느님도 던파 네임드인데 뭔소리 심지어 갓판다 갓퀴를 능가한다던 텍갓도 카사딘 하나는 잘했다(...) 특히 주 챔프인 쓰레쉬로 선고를 맞추면 바로 신나서 생각없이 돌진하는 것이 매우 인상적이다(......) 중국 리그에서 강력한 라인전과 초반 교전,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스노우볼링에 강점이 있다고 평가받았던 OMG이지만, 이 선수를 기용하면서 그런 장점이 싸그리 사라졌다.뭐 원래도 Loveling을 정글로 보내면 봇이 약하고 서폿으로 보내면 정글이 RPG를 돌긴 했다

LPL 영문 캐스터 Froskurinn은 이 선수가 쓰레쉬 브라움도 잘 하지는 못하지만 나미는 정말 눈뜨고 볼 수 없을 정도라고 평가. 오죽하면 선발전에서 잔나를 픽하자 도저히 나미를 못해서 잔나를 고른다며 깠다.그리고 잔나는 한국의 어느 선수에 의해 재평가되는데... 그리고 다시 Cloud가 실드에게 3연잔나 관광을

시즌4 롤드컵 조별리그에서도 정말 한숨이 나오는 경기력을 선보여 OMG를 벼랑끝까지 몰았다. Cool과 Loveling, San이 전부 부진했는데도 이들보다 압도적인 존재감(...)을 발휘했을 정도. 더블리프트는 다다를 데리고 8강에 진출한 것만으로 San의 원딜 실력은 의심할 필요가 없다고 평가했다. 어느 한국 팬은 이번에 외국선수 아이디를 딱 두 개 외웠는데 Dada777과 Amazing이라고(...)[6] 그럼 나메이는???

결국 OMG가 특단의 조치를 내려 토너먼트부터 Cloud를 다시 주전으로 기용하기로 했다. 8강 진출 직후부터 Cloud가 San과 미리 호흡을 맞추고 있었다고.[7]그리고 캐스퍼 푸만두 사례를 언급하던 팬들은 빅통수를 맞았다[8]

그리고 벤치로 물러난 뒤에는 Fzzf와 Cloud에게 자신의 쓰레쉬 쓰로잉을 전파했다 절대 중국 서포터에게 쓰레쉬를 주어서는 안돼(...)

그리고 결국 한동안 1경기도 안나오다가 결국 WE로 이적했다라는 소식이 떴다. 닉네임은 SunnGoo라는 다소 희한한 닉으로 변경. 이스포츠피디아에 주전이라 되어 있으나 당연히그건 개소리고 아직은(...) 코난이 주전이고 다다가 서브다.아니면 그 쓰레쉬를 다시 봐야한다. 왜 코로처럼 각성할수도 있지(...)

그리고 WE 전 코치와 스피릿의 디스전에 끼어들어 갑자기 '그래 다 문제가 있었어, 그래도 시예랑 미스틱은 나름 잘하는 것 같아. 그리고 훈이 스크림 끝나고 선수들 데리고 대난투 하러가서 시끄러웠어.' 라며 알루카, 코난, 훈그리고 나머지 감독 및 매니지먼트을 한방에 다 까는 일타삼피를 달성했다.이니시를 3명한테 좀 걸어보라고

6.8. SukiM(스킴, 첸지얀)

misaya의 빈자리를 메운 WE의 새 미드 담당 신드라 장인이다.[9] Xiyang도 그렇고 Sukim도 그렇고 U도 그렇고 중국 신인 미드라이너는 신드라는 필수덕목인듯 싶다 그러나 Xiyang급 신드라는 아닌지 리그에서 픽은 거의 없는 편이였으나 플레이오프 vs EDG와의 1경기때 꺼내고 팀을 하드캐리하면서 이겼다. 3경기때도 꺼내고 팀이 유리했으나 WE가 대차게 운영으로 말아먹은건 빼자 EDG가 플레이오프에서 IG를 3대0으로 제압하고 우승을 차지한걸 생각하면 신드라를 못하는편은 아니였던듯

그러나 다음 시즌 정글러가 한국인으로 들어오면서 어쩔수없이 바꿨다고 한다.그러니까 성적이 안나왔지 그러나 또 정글러가 한국인이 들어오면서 한동안 주전을 먹긴 힘들어 보인다. 그리고 서브자리마저도 Xiye에게 밀렸다...

하지만 닌자가 그 다음 시즌에 임대로 쫓겨나서 일단 서브 지위는 유지 중이다. 문제는 시예가 수킴보다 잘한다(...)

그런데 NESO에는 미스틱이 빠져서 원딜로 출전했다.

6.9. Conan(코난, 커이)

파일:2017 Conan Summer1.png

Fzzf의 빈자리를 메운 WE의 새 서포터. 소나와 나미를 주로 다룬다.

초반에 영입되었을때 웨이샤오하고는 안맞는 스타일의 서포터라는 평이 지배적이였으나 EDG 창단과 미사야 은퇴로 리빌딩을 했을때 멤버 3명중 나머지 2명이 벤치로 가고 서포터 영입을 못했는지 혼자 남았고, 결국 본인도 벤치로 내려갔으나 Yuzhe가 팀을 나간후 다시 주전 서포터 자리를 차지했다.

안정적인 서포터이긴 하나 단지 그것뿐. 특별한 챔프폭이나 다른 슈퍼플레이를 보여주는 것도 아닌 그저 무난무난한 수준.

2018 서머 시즌 직전에 전력분석가로 재영입되었다.

6.10. 957(957, 커창위)

파일:WE 957 2019 Split 2.png
LPL 연간 어워드 선정
2017년 베스트 탑 라이너

2016 시즌 부터 합류한 탑 라이너다. WE.A였던 M3 분리 후 WE의 새 2팀으로 만들어졌던 WE.F 출신이다.

일단 입단 후에는 평타를 치는 편. 콘디빨로 마린을 상대로 좋은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물론 에이미가 정신차린 2라운드는(...) 다만 잘하는 탑솔러라고 보기는 좀 애매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탱커를 못잡으면 평균도 못하던 알루카보다는 좋은 탑솔러임이 확실하다.

그리고 갈수록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미스틱이 집중견제를 받아 흔들리던 WE를 다시 살려냈다고 평가받는다. 이 정도면 Snake의 Flandre, Newbee의 V와 더불어 중국 최상위 탑솔러라 불릴 수 있을 듯하다. 아니 탱커를 플레이할 때의 기량은 저 둘보다도 더 뛰어나서 중체탑이라고 부를 만하다. 다만 모스트가 마오카이고 나머지 주챔프도 탱 비중이 높은 챔프들이라 저 둘만큼의 캐리력이 있다고 보기는 좀 애매.

1년을 넘기며 점점 쌓여가고 있는 평가는 라인전과 한타 한정 중체탑. CS 벌리는 능력과 메카닉만큼은 V는 물론 플랑드레보다도 더 뛰어나다. 탱커로도 상대 찍어누르는 것을 보면 나진 암흑기의 영고라인 듀크가 떠오르는 수준. 그러나 이런 타입 자체가 극 공격적인 라인전 성향으로 인해 전성기 플레임이나 당시 듀크처럼 탑케어를 상당히 많이 요구하는 반면 아웃풋이 약간 아쉽다. 마린에게서 시작된 시즌 5 이후의 한국 캐리형 탑솔러들과 달리 케어해준 만큼 로밍이나 한타로 타 포지션과 팀에 되돌려주지를 못하는 느낌이 있다. 여러 모로 개개인의 기량도 뛰어나고 한타 호흡도 좋은데 왠지 롤드컵이 보장이 안되는 시즌 6 이후 WE의 상황과 본인 상황이 일치하는 선수.

2017 MSI에서 클레드로 굉장한 캐리력을 보여주며 지브, 오도암네 등을 누르고 비한국인 최고 탑솔러가 될 수 있다는 설레발이 나왔으나, 2017 롤드컵에서 쉔으로 점멸도발을 잘못 써서 텔포를 끊지 못하는 개그에 이어 초가스 포식 타겟을 잘못 찍는 2호 개그를 보여주고 이외의 경기에서도 8강 5세트 나르 캐리를 제외하면 거의 부진하였다. 사실상 코로와는 다른 의미의 중국산 거품 탑솔러가 되었다.어메이징제이처럼 1년 묵히면 잘할까... 어메이징제이 요즘 LPL에서 다시 망함.

이번 롤드컵으로 중국인 탑솔러들의 태생적 한계가 드러났는데, 바로 플레이 스타일과 실제 스탯간에 괴리가 그것이다. 전형적인 피지컬형 인파이터 임에도 불구하고 인파이팅 능력이 떨어진다. 위에 제시된 플레이 미스부터 시작해서 밸런스형 탑솔러로 평가 받는 큐베한테 라인전이 밀린다. 물론 큐베는 무력도 최상위권인 선수이다만 중국 탑솔러들이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피지컬, 전무한 운영능력을 가지고 플레이스타일만 공격적이다 보니 17롤드컵을 죽 쑨 것이다. 어쩌면 나이가 많은 고령 탑솔러라 실질적인 피지컬이 다른 리그와 비할 게 되지 못하는 것일수도 있다.

그러나 롤스타전에서는 비장의 무기 탑솔 애니를 들고 등장해 열세가 예상되었던 큐베와 Ziv 상대로 밴픽부터 라인전까지 게임을 훌륭하게 풀어내어 LPL의 예상을 깬 우승에 그야말로 지대한 공헌을 했다. 떨어지는 소프트웨어를 깜짝픽을 통한 상대 당황시키기 및 팀 게임 역할 단순화를 통해 잘 가렸을 때, 하드웨어만큼은 역시 뛰어남을 증명했다고 볼 수 있다. 2018년에 정석에서도 해외 탑솔러와 대등한 모습을 보일 수 있도록 성장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여전히 중국 탑솔의 거의 유일한 희망이라고 볼 수 있겠다.

다만 일단 던지기 전까지는 중체탑(...)으로 유명한 스네이크의 플랑드레에게 모든 측면에서 호구잡혀서 쯔타이-시예 극상성과 함께 WE의 스네이크전 부진에 톡톡히 한 몫을 하는 것을 보면, 이것을 극복할 때까지는 그 플랑드레의 상위호환인 한국 S급 탑솔러들 상대로 롤드컵/MSI에서 맞상대는 힘들 가능성이 높다. 전체적으로 한때 중국 탑솔 3대장으로 불리던 선수들 중 V는 연비도 좋고 고장도 잘 안나지만 배기량 자체가 2% 아쉬운 실속형 중형차량, 플랑드레가 연비도 좋고 배기량도 빵빵하지만 잔고장이 많은플랑드레의 쓰로잉은 잔고장이 아니라 차량 전복사고 급인건 함정 차량이라면 957은 고장도 별로 없고 사이즈도 받쳐주지만 연비가 애매하다고 볼 수 있다. 배기량에 비유할 수 있는 메카닉, 캐리력도 좋고 잔실수나 쓰로잉도 심각하지 않은 편이지만 판단력 자체가 떨어져서 연비에 비유되는 활약의 팀 단위 지원 대비 가성비나 순도가 떨어지는 부분을 개선해야 무결점 고급차량이나 마찬가지인한국 탑클래스 탑솔러들에게 꿀리지 않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2018년 '957은 포텐이 남았다, 시예는 성장하기 힘들지 않을까'라는 인식과 달리 시예가 시대의 흐름에 적응은 하는 사이 다소 뒤쳐지고 있다. 957 자체의 폼이 떨어졌다기보다는, 2017년까지 957과 플랑드레를 제외하면 LPL에 라인전 실력이 A급 이상인 탑솔러가 단 하나도 없어서 957이 워낙 힘으로만 해먹었던 것에 비해서 신인들의 폼이 상승하였고 그래서 957의 성장하지 못한 판단력이 부각된다고 볼 수 있다.

가장 비슷한 유형의 탑솔러로는 LCS NA의 콰스...는 해도 너무 나갔고 다르샨이나 LCS EU로 눈을 돌린다면 Team Vitality의 Cabochard 정도가 957과 많이 비슷하다. 다르샨이나 카보차드의 평가가 떨어지기 시작한 속도가 팀에 고통받는 여부와 별도로 957보다는 빨랐다는 점에서, 2018년에 탑솔 수준이 크게 증가하기 전까지는 LPL이 탑솔 흉가였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물론 다르샨보다는 957의 절대적 클래스가 조금이라도 높은 것 같기는 하지만, 개인 단위의 판단은 준수했으나 팀게임적 판단만 나빴던 카보차드가 야마토캐논 버프와 한국 전지훈련[10] 이후 과거의 잠재력을 완전히 개화하면서 957과 카보차드의 위상 차이는 역으로 매우 벌어졌다.

자신 못지 않게 팀게임 IQ가 애매하다는 한국인 Poss에 밀린걸 보면 개인 신상 문제인 것인지 아니면 노쇠화나 애초에 기량이 과대평가됐던 것인지... 2년 전 중체탑 후보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팀에서도 리그 전체에서도 존재감이 지워졌다. V도 이랬는데 외모만 닮은게 아니라 커리어 마무리도 닮았다...

2019년 12월 17일 Team WE와의 계약이 종료됐다. #

2020년 1월 7일 은퇴를 선언하였다. 이후 LPL 해설진에 합류하였다.

위에서 서술한 것만 보면 젊은 유망주가 16년부터 데뷔해 성적을 낸 거 같지만 실상은 1993년생으로, 생각보다 나이가 매우 많은 선수다. 그러한 선수가 오로지 피지컬로써 찍어 누르지만 뇌지컬이 모자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젊은 유망주처럼 평가된다는 건 2018년 이전까지 LPL의 궤멸적인 탑솔 풀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겠다.

다만 2살 아래 임팩트를 상대로 두뇌싸움에서 밀려도 메카닉을 살릴 수 있는 나르가 밴에서 풀리자 기어이 임팩트를 찍어눌렀고 탑 애니의 힘으로 2017 세체탑 큐베와 비한국인 세체탑 지브를 제압한 것만 봐도 국제대회에서도 많은 나이 및 중국 탑솔 수준 문제와 별도로 플레이스타일 자체는 사실이었다. 게다가 리그와 국제대회를 가리지 않고 나이 대비 늦은 프로데뷔와 애초에 애매한 게임지능 탓인지, 제한적인 조건 외에는 이 순수 무력을 충분히 살려내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위의 957에 대한 기대와 낙관, 이와 대비되는 실망도 역으로 16년이 무력의 정점, 무력이 살짝 꺾였지만 좋은 팀원들을 만나고 최소한의 팀게임 습득이 이루어진 17년이 커리어의 정점, 18년 이후 자연스런 노쇠화로 우르르 무너졌다고 보면 오히려 더 쉽게 납득이 된다. 15~17듀크의 하위호환으로 보면 이해가 쉽겠다.

6.11. Clever9(클레버9, 왕즈충)

파일:WE Clever9 2019 Split 2.png

2019년 12월 17일 Team WE에서 Team WE Academy로 이전됐다. #

6.12. Teacherma(티처마, 장천)

파일:WE_Teacherma_2021_Split_1.png

플렉스가 지난 시즌 부진을 이어가는 모습을 보이자 투입된 현지인 미드라이너. 일단 3연승 양학기간에 특별한 감상을 내리긴 어렵다.

그래도 이번 시즌 부진한 plex를 대신해 나와서 신인치고는 엄청난 활약을 해줘 Team WE가 포스트 시즌에 가는데 큰 기여를 했다. 시즌 후반부터 엄청난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럼블, 아우렐리올 솔, 갈리오 등 로밍형 챔프들을 잘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로밍형 미드 챔프 한정으로 세체미급의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하지만 로밍형 원툴로 봐도 될 정도로 나머지 챔프에 대한 능력은 아직까지는 보여주지는 못했다. 만약에 공격형이나 성장형 미드라이너 역할을 로밍형만큼 할 수 있다면 정말 세체미급의 잠재력을 가진 선수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재능은 확실하지만 그 재능의 범위가 정말 좁은 선수면서 다른 약점들이 아주 두드러지지는 않아도 잡다하게 많은 선수다 보니, 쉬운건 아니다. 당장 우승팀 미드에 걸맞는지 소소하게 논란이 되는 야가오의 데뷔시즌과 비교해도 티처마의 데뷔가 인상적이라 보긴 어렵다. 어쨌든 야가오는 라인전이 막강하지 못해서 그렇지 데뷔시즌부터 조이, 르블랑 등으로 해내는 변수 창출은 상당한 클래스였다.

이선수의 진짜 장점은 이니시, 한타를 보는 능력이다. 이 선수가 하는 이니시는 틈새를 잘 공략했다 수준을 넘어서 이런 각을 볼 수 있다고 궁금증을 자아내는 수준이다. 갈리오,트페, 럼블 등등의 챔프를 가지고 이니시를 하는 장면들을 보면 티처마만의 이니시각이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선호 챔프폭이 사실은 로밍형 챔프가 아니라 ap+범위형 스킬+cc기를 가진 챔프인데 어쩌다 우연히 로밍형 챔프랑 겹쳐서 로밍형 선수라고 착각을 했을 수 있다.

사실 팀의 원딜러인 주멍이 도저히 한타를 잘하는 원딜러라고 보기 어려운데, WE 팀의 한타는 흔히 원딜무쌍으로 불리는 극후반만 안가면 무지막지하게 세다.운영 못하고 라인전 더 나쁜 FPX? 그런 측면에 생각보다 마선생의 기여도가 높아서, 저질 라인전과 저질 챔프폭에도 불구하고 주전을 지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결국 기본기를 비교적 덜 요구하는 챔프들로도 지속딜 포지션이나 버스트딜 각을 이니시 각과는 매우 대조적으로 잘 못 보는 편이고, CS 수급은 LPL 주전 미드 중에는 거의 최하급이다 보니 팀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면서도 팀의 체급에 제한을 걸고 있다는 점을 부정할 수는 없다.

현실적으로 CJ 시절 스카이가 BDD로 넘어가는 징검다리로 여겨진 것처럼, WE가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서는 유망주 샹크스가 터져줘야 하고 티쳐마는 징검다리 역할을 해줄 가자미형 미드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

샹크스가 1군으로 올라오고 몰도 영입된 2021년에는 반쯤 은퇴상태로 개인방송을 하고 가끔 LPL 분석방송에 출연하고 있다.

샹크스가 뛰든 몰이 뛰든 2021년의 WE 3.0이 몰은 체급도 빼고 체급만 좋고 매우 띨빵한 모습을 보이면서 티처마가 재평가받고 있다. 16후히급 미드가 아니라 라인전 좀 더 약하고 챔프폭 좀 더 좁은 도인비에 가까운 전자두뇌형 미드라는 것. 실제로 순수 메카닉이 몰 정도만 됐어도 마선생님이 샹크스보다 팀에 더 크게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으나, 그 메카닉이 안타깝게도 워낙 별로라…

6.13. heal(힐, 펑쥔제)

파일:IG_Reheal_2020_Split_2.png

IG.Y 소속이었으며 2020 LPL 스프링에 1군으로 콜업되었다.

이전 닉네임이 SANDBOX Gaming의 미드라이너 FATE와 같다.

2021 스프링을 앞두고 RW에 입단하였다.

RW에서의 경기력은 최악이었다 결국 츄츄에게 주전을 뺏기고 스프링 시즌 이후 팀에서 방출되어 서머시즌은 V5에 취직은 성공했지만 거기서도 TT의 패치와 더불어 리그 최악의 서포터 기량을 선보였다 그후 2022시즌에 Royal Club에 간신히 취업에 성공했다. 전형적인 2군 여포 노망주 서폿이다.

이후 WE로 이적했다. 닉네임도 Reheal에서 heal로 변경했다.

6.14. View(뷰, 천위밍)

파일:SN_View_2021_Split_1.png

前 쑤닝의 유스 정글러. 소프엠의 서브로 소속되어있었으나 딱 1경기에만 출전 했을 뿐 소프엠을 밀어낼 정도의 재능은 아니기에 WE로 이적했다. WE에서도 원래 주전 정글러 베이샹의 서브 선수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베이샹의 시안시 격리 상황으로 인해 당분간 주전 자리를 낙점 받았다. 답이 없는 팀에서 그나마 샹크스와 함께 고군분투하는 선수.

6.15. Demon(데몬, 우위에웨이)

파일:WE_Demon_2023_Split_2.png

전패를 기록중인 팀의 특단으로 LDL에서 급하게 콜업된 선수답게 미숙한 모습이 돋보이는 선수이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파일:LPL_2020_white1.png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3 스프링 2013 서머 2014 스프링 2014 서머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OMGlogo300.png 파일:Positiv_Energy_oldlogo.png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Oh My God
Positive Energy
Edward Gaming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6 서머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파일:900px-LGD_Gaming_Org_logo.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RNG.png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Edward Gaming
LGD Gaming
Royal Never Give Up
Edward Gaming
2017 스프링 2017 서머 2018 스프링 2018 서머
파일:Team WE old.pn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RNG 로고 2017.svg
Team WE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020 서머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600px-FunPlus_Phoenix_oldlogo_square.png 파일:JD_Gaming.png 파일:TES 로고 2019.svg
Invictus Gaming
FunPlus Phoenix
JD Gaming
Top Esports
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스프링 2022 서머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Royal Never Give Up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JDG Intel Esports Club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2024 서머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d72b6> 파일:external/www.esl-one.com/IEM_v2014.pngIntel Extreme Masters
League of Legends 부문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Season V
- LoL Invitational
Season VI
- Cologne
Season VI
- Guangzhou
Season VI
- New York
파일:11270481_1596078760651428_8852551750357089228_o.png 파일:CLG Blue Logo.png 파일:Team_WE.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Fnaticlogo.png
myRevenge
Counter Logic Gaming Prime
World Elite
Fnatic
<rowcolor=#fff> Season VI
- Kiev
Season VI
- Sao Paulo
Season VI
- World Championship
Season VII
- Singapore
파일:/image/347/2014/08/05/2014080501450758543_20140805014612_1_99_20140805015102.jpg 파일:NoobDaNetLogo.jpg 파일:/image/347/2014/08/05/2014080501450758543_20140805014612_1_99_20140805015102.jp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Mymlogo.png
Moscow 5
Noob Da Net
Moscow 5
MeetYourMakers
<rowcolor=#fff> Season VII
- Cologne
Season VII
- Katowice
Season VII
- Sao Paulo
Season VII
- World Championship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attachment/gambit.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Mlogo.png 파일:CJ Entus BLAZE.png
SK telecom T1 #1
Gambit Gaming
Incredible Miracle
CJ Entus Blaze
<rowcolor=#fff> Season VIII
- Shanghai
Season VIII
- Cologne
Season VIII
- Singapore
Season VIII
- Sao Paulo
파일:Team_WE.png 파일:attachment/gambit.pn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Milleniumlogo_square.png
World Elite
Gambit Gaming
Invictus Gaming
Millenium
<rowcolor=#fff> Season VIII
- World Championship
Season IX
- Shenzhen
Season IX
- San Jose
Season IX
- Cologne
파일:attachment/Kt_rolster_bullets.png 파일:Team_WE.png 파일:Cloud9 아이콘.svg 파일:attachment/gambit.png
kt Rolster Bullets
World Elite
Cloud9
Gambit Gaming
<rowcolor=#fff> Season IX
- Taipei
Season IX
- World Championship
Season X
- San Jose
Season X
- Cologne
파일:Flash_wolves_logo.png 파일:TSM_Logo.png파일:TSM White Gradient Logo.png 파일:external/gambit-gaming.com/20150525131203-7110.png파일:origenoldlogo_white.png 파일:ESCEVER.png
yoe Flash Wolves
Team SoloMid
Origen
ESC Ever
<rowcolor=#fff> Season X
- World Championship
Season XI
- Oakland
Season XI
- Gyeonggi
IEM Season XI
- World Championship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Unicorns_Of_Love_Logo.png 파일:Samsung_Galaxy.png 파일:Flash_wolves_logo.png
SK telecom T1
Unicorns of Love
Samsung Galaxy
Flash Wolves
}}}}}}}}} ||



[1] 2017 WE, RNG, EDG, OMG[2] 2018 RNG, EDG, RW, IG[3] 탑을 훔치는 광전사 라는 뜻이 얼추 되는걸로 봐선 백도어하는 광전사라는 뜻으로 추측된다.[4] Vici Gaming이 아니다[5] 근데 말이 새 서포터 담당이라지만 시즌3 롤드컵때에도 OMG의 벤치에 있었을 정도로 경력 자체는 오래되었다. PE로 이적했다가 OMG로 복귀했다고도 한다.[6] 그러나 단순히 임팩트만 비교해서 그렇다는 것이지 종합적으로 보면 어메이징에게 많이 실례다. 어메이징은 정글러로의 본분에 충실하나 인상적인 컨트롤 미스가 나올 뿐이고 다다는 라인전 와딩 모조리 못하면서 쓰로잉까지 하는 것이라서(...)[7] 아예 조별리그에서도 스크림은 다다가 참여했지만, San은 듀오랭크를 클라우드와 돌렸다는 이야기도 있다.다다는 대체 정체가 뭐냐[8] 오히려 몇몇 커뮤니티에서 좆문가 취급 받는김몬테를 비롯한 해외 쪽 의견을 들어보면 대체로 Cloud의 출전여부가 승패를 바꿀 것이라 추측했다.[9] 그리고 그 모습을 보여주듯이 사실상 데뷔전이였던 데마시아 컵 에서 신드라의 밴픽률이 100%였다[10] 현 세체탑 후보 중 하나인 기인의 아프리카와 제휴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1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