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7 14:41:04

루 살로메

<colbgcolor=#000><colcolor=#fff>
루 안드레아스 살로메
Lou Andreas-Salomé
파일:Lou Andreas-Salomé1..jpg
출생 1861년 2월 12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 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상트페테르부르크
사망 1937년 1월 5일 (향년 75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나치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나치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괴팅겐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작가, 정신분석학자

1. 개요2. 생애3. 저작

1. 개요

독일의 작가이자 정신분석학자.

프리드리히 니체, 라이너 마리아 릴케, 지그문트 프로이트를 비롯한 당대 지식인들에게 영감을 준 여인으로 유명하다. 루 살로메는 그녀의 지성으로 당대 지식인들 사이에서 러시아에서 온 뮤즈라며 칭송을 받았으며, 작가로서도 많은 책을 저술했다. 또한, 프로이트를 만나기도 전인 1911년에 이미 여성 성의 심리학에 관한 글을 썼으며, 여성의 성에 관해서 정신분석을 한 최초의 여성 중 한 명이다.[1]

2. 생애

1861년 2월 12일 프랑스계 위그노 교도인 러시아 야전군 참모본부의 고급장교 구스타프 살로메와 북독일-덴마크계 상인의 딸인 루이스 윌리엄의 딸로 태어났다.

그녀의 저작 《자유로운 여자 이야기》에 따르면 첫사랑은 루터교 교회의 목사였던 하인리히 길로트로, 그로부터 철학, 형이상학, 논리학, 종교사를 배웠다. 후에 길로트가 그녀와 결혼할 것을 원했고, 결혼까지는 원치 않았던 그녀는 당시 여성을 받아주는 몇 안 되는 대학 중 하나였던 취리히 대학교에 진학하기로 결심,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떠나 대학에 입학했다.

취리히에서 공부하던 중, 원인불명의 질병으로 폐에 이상이 생겼다. 기후를 바꿔야 한다는 처방에 따라 1882년 1월 어머니와 함께 이탈리아 로마로 가서 젊은 철학자 파울 레에(Paul Rée)를 만나 사귀기 시작하며 철학과 신의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교감했다.

1882년 봄, 니체는 스위스 리바(Riva)에서 러시아 출신의 젊은 여성 지식인 루 안드레아스 살로메(Lou Andreas-Salomé) 를 만난다. 당시 니체는 그녀의 지성과 자유로운 정신에 깊은 감명을 받고 강한 지적·정신적 매력을 느낀다. 그는 살로메에게 자신이 “철학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유일한 여성”이라 표현할 정도로 큰 기대를 품었고, 곧 청혼도 했으나 거절당한다.

루는 니체의 철학에 관심을 보이며, 니체의 친구였던 철학자 파울 레에(Paul Rée) 와 함께 세 사람이 육체적 관계 없이 오로지 철학과 삶에 대해 논의하며 지내는 공동체 생활을 해보자는 제안을 한다.
니체는 이 제안을 처음에는 고려했지만, 곧 심한 불쾌감을 느끼고 관계를 단절한다. 특히 루가 자신에게 낭만적 사랑을 줄 마음이 없다는 사실에 큰 상처를 입었으며, 이후 세 사람의 관계는 완전히 멀어지게 된다.

루 살로메와 파울 레에는 이후 일시적으로 베를린에서 동거하며 사회학자, 문학가 등 다양한 지식인들과 교류했고, 루는 작가이자 지성인으로서 입지를 넓혀갔다.
레에는 이후에도 루에 대한 감정을 품고 있었으며, 1887년 무렵 청혼했지만 다시 거절당했다. 이 무렵 루는 오스트리아의 동양어학자 프리드리히 카를 안드레아스(F.K. Andreas) 와 교류하게 되었고, 1889년 그와 결혼한다.

루 살로메는 안드레아스와의 결혼 이후에도 문학과 심리학, 철학 활동을 계속했고, 훗날 프로이트와 교류하며 초기 정신분석 운동의 주요 인물 중 한 사람이 된다.
니체는 이후 루와 다시 연락하지 않았으며, 『즐거운 학문』 등 일부 작품에서 루와의 관계로부터 영향을 받은 정서적 흔적이 보인다.

1895년, 살로메는 15살 연하의 라이너 마리아 릴케를 만났으며 이후 3년간 연인 관계가 되었다. 원래 릴케의 이름은 르네 카를 빌헬름 요한 요세프 마리아 릴케였는데, 살로메의 주장에 따라 프랑스식 '르네'를 독일식 '라이너'로 바꾸고, 글씨체도 바꾸었다고 한다. 이 외에 살로메는 릴케에게 톨스토이 같은 문호들을 소개시켜주는 등 릴케의 문학에 큰 기여를 한다. 결별한 뒤에도 친구로서 연락을 이어갔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릴케와 헤어진 후 살로메는 1902년 의사였던 프리드리히 피넬스(Friedrich Pineles)와 연인 관계가 되었으며, 임신하기도 하였으나 낙태하였다. 살로메는 평생 아이를 낳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2]

1912년 바이마르에서 열린 제3차 정신분석학회에서 당시 그녀의 연인이었던 정신분석학자 폴 비에레로부터 정신분석학계의 대가 프로이트를 소개받아 죽을 때까지 친분을 유지했다. 이 시기 프로이트와 카를 융이 결별을 하는데 이것이 루 살로메에게 프로이트가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70세부터 노쇠로 인해 앓기 시작한 당뇨병으로 몸이 허약해져 병원에서 요양하기 시작한 살로메는 병원에서 '프로이트에 대한 나의 감사'를 집필하고 1937년 1월 5일 당뇨, 요통, 유방암 등으로 75세의 나이에 사망했다.

3. 저작

1885년 《하느님을 차지하려는 싸움》
1894년 《작품에 나타난 니체》
1895년 《Ruth(루트)》
1896년 《모르는 영혼에서》
1898년 《Fenitschka(페니취카)-어떤 방탕》
1899년 《인간의 아이들》
1901년 《마, 어떤 초상》
1902년 《중간지대에서》
1910년 《에로티시즘》
1917년 《소년에게 보낸 세 통의 편지》
1919년 《집》
1922년 《하느님 없는 시간. 그 밖의 동화》, 《악마와 그 할머니》
1923년 《Rodinka(로딘카)》
1928년 《하얀 길 위의 릴케》
1931년 《프로이트에 대한 나의 감사》


[1] 후대에 대중 매체에서 루 살로메를 페미니스트로 묘사하기도 하지만, 루 살로메는 현대적 의미에서 '페미니스트 '라고 불릴 수는 없다. 다만 그녀의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삶은 페미니스트들에게 좋은 롤모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대중 매체 등에서 마치 그녀가 페미니스트였다는 식의 묘사가 많은 편이다.[2] 말년에 남편인 안드레아스가 가정부와의 사이에서 낳은 사생아를 입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