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15:15:59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2024년 4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1. 개요2. 변경점3. 금제 이후
3.1. 전망3.2. 경과
3.2.1. 일본3.2.2. 한국3.2.3. 총평
4. 목록
4.1. 금지 카드4.2. 제한 카드4.3. 준제한 카드

유희왕 러시 듀얼의 연도별 리미트 레귤레이션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1월 4월 7월 10월 1월 4월 7월 10월 1월 4월 7월 10월 1월 4월 7월 10월

1. 개요

2024년 4월부터 적용되는 유희왕 러시 듀얼의 리미트 레귤레이션 개정 변경 리스트. 2024년 03월 17일 21시에 공개되었다.

2. 변경점

붉은색으로 표기된 카드는 제재 단계가 강화된 카드이고, 초록색으로 표기된 카드는 제재 단계가 완화된 카드다.
  • 제한 카드로는 흑요의 마도병이 선정되었다.
    • 흑요의 마도병은 일본 환경 기준으로 23년 10월 환경 이후로 지속적으로 1티어권에서 석권하고 있던 상황이라 해당덱의 키 파츠인 마도병을 제한하는 결과가 나오게 되었다. 24년 1월 금제때 캣트로와 초이스를 제한하는 걸로 묘지의 마법수에 비례해 타점이 증가하는 마도병의 고점을 낮추는 금제를 진행하였지만, 그와 별개로 흑마술사의 보석을 두 번 사용하는걸로 마도병을 두 마리 꺼내두는걸로 4000이 넘어가는 타점들로 필드를 잡아오는걸로 게임을 거의 끝내는 형태로 진행되다 보니 제한으로 올라간것으로 추정된다.
  • 준제한 카드로는 엑스큐티 릴리우스, 마도창 그레이스 스피어, 레전드 매지션, 트라이앵글 X 스파크, 레전드 스트라이크가 선정되었다.
    • 엑스큐티 릴리우스의 경우 본래 사용처였던 엑스큐티가 환경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주지 않아서 제한을 해제한 느낌이지만, 로얄데먼즈에서 무모의 칼드삭과 연계하여 필드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릴리우스의 디메리트도 헤비메탈이나 프로그레시브의 소환용 코스트로 사용하면 문제가 없기 때문에 티어권이라 할 수 있는 로얄데먼즈가 더 강해질 여지를 만들었다고 예상된다.
    • 마도창의 경우 마도병의 저격으로 고타점의 마도병이 관통으로 한번에 게임을 끝낼 수 있는 상황의 문제로 제한을 보낸걸로 추정하였는데, 해당 마도병이 제한을 간걸로 마도창이 준제한으로 내려온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구성망어등의 마도기사족을 직접 저격하는 함정들의 존재로 원더퓨전이 환경에 다시 들어올지는 애매한 상황이지만, 칠보신-양재선셋리버스를 이용해 확실하게 턴을 받아온 뒤, 원더퓨전 + 마도창이라는 고타점 화력의 죽창의 안정성이 늘어나 원더 퓨전이 환경에 나올 가능성을 만들어 주었다. 비슷하게 가이아쪽도 마도기사족 퓨전몬스터가 존재하던 상황이라 고타점의 죽창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트라이앵글 X 스파크의 경우 환경에 해피가 보이게되고, PM을 이용해 상대의 필드를 부수면서 함정 발동 불가의 고타점으로 게임을 끝낼 수 있는 상황을 만들 수 있어 준제한으로 올라온것으로 추정된다.
    • 레전드 매지션/스트라이크의 경우 사실상 환경권의 모든덱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라 과도한 범용성의 문제로 준제한으로 올라온것으로 추정된다. 레전드 매지션의 경우 레전드 몬스터 회수를 제외하고도, 묘지에 원하는 파츠를 선택적으로 보낼 수 있다는 점. 레전드 스트라이크의 경우 레전드 매지션을 소생시킨뒤 마함을 파괴하는것 뿐만 아니라 업화의 결계상 때 처럼 강한 레벨 4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수단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게 문제시 된걸로 추정된다.

3. 금제 이후

3.1. 전망

직접적으로 제한을 받은 마도병의 경우 1티어에서는 확실하게 내려올것으로 보인다. 다만 기믹을 담당하는 파츠인 마도서 기각 및 흑마술사의 보석은 살아있는 상황이라 덱 회전을 높여서 마도병을 세우는 형태의 플레이는 가능하기 때문에 완전히 티어 아웃이 될지는 확인해볼 필요는 있다고보고 있다.

비밀수사관, 비수관의 경우 레전매/레전스 파츠의 준제한으로 덱 압축 및 마함 견제가 힘들어 지긴 했지만, 여타 덱들도 해당 콤보의 사용 확률이 낮아지고, 강력한 공격반응 함정을 쓰던 비수관으로서는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장단이 있다고 보인다.
이전 분기에서도 1티어의 자리에 유지를 하고 있었고, 사실상 데미지를 받은게 크게 없는 상황이라 1티어는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로얄데먼즈 역시 비수관과 동일하게 레전매/레전스 파츠의 준제한의 영향이 있지만, 필드 싸움을 유리하게 해주면서 상급 로얄데먼즈의 효과 조건을 위한 탄환으로 쓸 수 있는 릴리우스의 준제한으로 비수관과 같이 1티어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프라임의 경우 드워프를 이용한 피어스 자이언트로의 퓨전 콤보가 상당히 강력할것이라는 평가가 있었지만, 환경에 암속성으로만 이루어진 마도병이 많이 존재하여서 힘을 크게 발휘하지 못한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4월 이후로는 마도병의 수가 줄어들고, 비수관 및 로얄데먼즈가 환경에 남아있어 이들을 저격하는 포지션으로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1.5 티어 정도의 포지션에 있던 해피의 경우 스파크의 준제한의 영향이 있긴하지만, 강력한 해피의 함정들이 레전드 스트라이크에 의해서 파괴되는 확률이 다소 줄어들다 보니 직전 분기와 다소 비슷한 위치를 점거할 것으로 추정된다.

셀레브로즈의 경우 금제에서의 영향은 크게 없었던 1.5 티어 정도의 덱이라 향후 지원 여부에 따라서는 티어권 변동의 경계선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의 경우 한동안은 비수관이 1티어권을 확실하게 지키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유로는 마도병의 경우 하이그레이드 컬렉션흑마도의 수행자를 기존 마도병의 자리를 대체하는 형태일 가능성이 높고, 로얄데먼즈의 경우 동봉인 무모의 컬드색의 수록 타이밍에 따라 티어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3.2. 경과

3.2.1. 일본

오버러시 팩 2마그넷 워리어가 환경권에서 압도적인 입상수를 보여주며, 1티어권을 장기집권하고 있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기존에 종족적 지원이 전혀 없었던 암석족이었지만, 마그넷 워리어와 같이 나온 암석족 카드들이 상당한 고성능을 보여주고있다.
간편하면서 빠른 속도로 전개되는 고타점 퓨전 몬스터와 전용 드로 부스트 카드인 마그넷 썬더챠지의 파워와 덱의 대다수 파츠가 오버러시 팩 2에서 나오다 보니 접근성도 높아 입상 비율이 높은것으로 추정된다.

그 아래로는 빛파충류, 셀레브로즈, 해피, 로얄데먼즈등이 자주 올라오며, 엑스큐티와 원더퓨전이 급격하게 올라오고 있는 상황이다.

청정의 사희를 기반으로 돌아가는 빛파충류의 경우 아니마지카 위치나 기타 빛 속성 파워 하급등을 넣으면서 기존의 비밀수사관 하급 몬스터들의 조건 달성이 어려워 졌지만, 그만큼 안정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셀레브로즈의 경우 덱 자체는 하이그레이드 컬렉션에서 받은 지원 기반 이후로 변경점이 크게 없지만, 덱 자체의 빠른 필드 장악능력과 고화력을 이용한 한방형 덱이고, 선셋리버스로 인한 파괴내성 환경에 영향과 상관 없이 타점으로 필드를 가지고 오다보니 버티면서 한방을 넣기 수월하여 환경권에 보이는 듯 하다.

해피의 경우 스파크가 준제한이 되긴 했지만, PM에 의한 몬스터 파괴, 스플랜디드 슬래시에 의한 덱 바운스 등으로 타점으로 이기기 힘든 몬스터들을 치울 수단이 있다보니 순간 화력은 부족해도 지속적으로 데미지를 밀어 넣을 수 있는 것으로 환경권에 안착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로얄데먼즈의 경우 릴리우스의 준제한으로 중반 라인이 강화되긴 했지만, 선셋리버스나 샤이니 쉐이디처럼 소환 반응 함정들도 늘어나 로얄데먼즈의 상급 몬스터들의 효과를 발휘 못하는 상황이 연출되면서 환경에서의 1티어에서 내려온듯 하다.

엑스큐티의 경우 릴리우스의 제한 해제로 어태커가 복귀 하였고,함정 기반으로 움직이던 엑스큐티에게 함정을 지키기 좋은 선셋리버스의 등장으로 안정성이 늘어나게 되었다. 이전의 아프사라스L처럼 7/8랩이 아닌 9/10 레벨 기반인 덱들이 환경에 많이 포진하는것이 아니면 엑스큐티는 항상 2티어 이상에 안착할 것으로 추정된다.

원더 퓨전의 경우 마도창 그레이스 스피어의 제한 해제도 있지만, 원더 퓨전을 발동 할 시간을 벌어줄 함정들 및 칠보신-양재의 등장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직전 분기의 마지막 즈음에 등장한 선셋리버스를 필두로 함정카드의 파워들이 상당히 많이 올라오고, 칠보신으로 함정의 발동의 안정성이 매우 높아졌다.


갤럭시컵에서 비밀수사관이 최다 입상률을 보여주며 압도적인 1티어의 자리를 지켰고, 그 아래로는 셀레브로즈, 사이코쇼커, 엑스큐티, 원더 퓨전 등등이 보이며 비슷한 입상률을 보여주었다.
이외의 비공인 대회등에서는 마그넷이 높은 입상률을 보여주었는데, 비공인에서는 단판 환경도 많고, 마그넷으로 입문하는 케이스도 많다보니 갤럭시컵과 다르게 입상이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24년도 7월 금제에서 비밀수사관의 미스캐스트와 미스테이크가 셀레브로즈의 워록이 제한을 가는 결과가 나오게 된것으로 추정된다.

3.2.2. 한국

국내의 경우 4~7월달 동안 공인으로 '드래곤즈 듀얼 토너먼트'를 진행하게 되어 사실상 4월 금제 환경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이 크게 제약되게 되었다.
국내 러시 듀얼의 사정상 대부분 공인 위주로 굴러가는 환경 문제로 드래곤즈 토너먼트가 진행하는 동안에는 사실상 비공인들도 적극적으로 진행을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의 드래곤즈 듀얼 토너먼트 기간동안 공인 대회는 정지 했지만, 그래도 비공인 대회들이 어느정도 굴러가는 상황인지라 어느정도 정규 환경의 게임을 할 수 있었지만, 국내는 저런 상황은 힘들다고 보고 있다.

5월 이후로 '스텔라컵'의 개최를 예고하여 향후 환경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첫공지와 다르게 스텔라컵의 경우 6월 중순에 시작을 하게 되었고, 첫주 진행 이후 7월 금지제한이 발표되게 되었다.
첫주차의 결과로서 일본과 동일하게 비밀수사관이 가장 좋은 성적을 보여주었다.
그 이후로는 해피와 엑스큐티가 높은 입상률을 보여주었는데, 작년의 공인의 대세픽이었던 해피와 많은 수의 유저 입문을 만든 엑스큐티의 유저들이 숙련도로 높은 성적을 냈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남은 기간동안의 스텔라컵에서는 제제를 받아 성적이 입증된 비밀수사관의 비율이 더 높아질것으로 예상된다.

3.2.3. 총평

4. 목록

4.1. 금지 카드

종류유희왕 러시 듀얼변경점
효과 몬스터업화의 결계상

4.2. 제한 카드

종류유희왕 러시 듀얼변경점
효과 몬스터초밥천사 드래곤롤
일반 마법마법돌의 채굴
효과 몬스터네크메이드 나나
효과 몬스터화뢰신 썬더볼드
일반 마법그랜드 익스트림
효과 몬스터창구기사 시에라
일반 마법캣트로와 초이스
효과 몬스터흑요의 마도병무제한→제한(2024년 4월)

4.3. 준제한 카드

종류유희왕 러시 듀얼변경점
효과 몬스터프로그레스 폿터
일반 마법세븐즈 원더 퓨전
효과 몬스터엑스큐티 릴리우스제한→준제한(2024년 4월)
장착 마법마도창 그레이스 스피어제한→준제한(2024년 4월)
효과 몬스터레전드 매지션무제한→준제한(2024년 4월)
일반 마법트라이앵글 X 스파크무제한→준제한(2024년 4월)
일반 마법레전드 스트라이크무제한→준제한(2024년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