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름 | Rich Strike | |
출생 | 2019년 4월 25일 ([age(2019-01-01)]세) | |
성별 | 수컷 | |
털색 | 밤색(Chestnut) | |
아비 | 킨 아이스(Keen Ice) | |
어미 | 골드 스트라이크(Gold Strike) | |
외조부 | 스마트 스트라이크 | |
생산자 | 캘류멧 팜 | |
마주 | 캘류멧 팜 → RED TR-레이싱 | |
조교사 | 조 샤프 (켄터키) → 에릭 리드 (켄터키) → 윌리엄 I. 못 (뉴욕)[1] | |
성적 | 14전 2승 [2-1-3-8] | |
총상금 | 2,526,809달러 | |
주요 우승 | G1 | 켄터키 더비(2022) |
레이팅 | WBRR | I120-M120 (2022) |
상세 정보 |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경주마, 2022년 148회 켄터키 더비[2]에서 역대 2번째로 높은 역배 퍼포먼스로 우승을 한 말이다.[3] 성적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켄터키 더비 전까지 미승리전 1승이 고작이었고, 켄터키 더비 출주 조건도 맞추지 못했으나 원래 출전하기로 했던 말이 부상으로 인해 출주 취소되자 대타로 출전했던 것이 대박을 쳤다. 게다가 후방에서 마군을 몸으로 뚫고 역전승을 거두는 충격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다만 켄터키 더비는 견제를 전혀 받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종의 뽀록이었는지(...) 다음 경주 벨몬트 스테이크스에서는 게시판에도 들지 못했다.2. 혈통
1대 | 2대 | 3대 |
<colbgcolor=#fff3e4,#331c00>킨 아이스 Keen Ice 2012 | <colbgcolor=#ffffe4,#323300>컬린 Curlin 2004 | 스마트 스트라이크 Smart Strike |
셰리프스 데퓨티 Sherriff's Deputy | ||
메도막 Medomak 2007 | 어썸 어게인 Awesome Again | |
위스캐싯 Wiscasset | ||
골드 스트라이크 Gold Strike 2002 | 스마트 스트라이크 Smart Strike 1992 | 미스터 프로스펙터 Mr. Prospector |
클래시 엔 스마트 Classy 'n Smart | ||
브래시 골드 Brassy Gold 1996 | 딕실랜드 브래스 Dixieland Brass | |
패닝 포 골드 Panning for Gold | ||
* 스마트 스트라이크 3×2 37.5% * 미스터 프로스펙터=서치 포 골드(Search for Gold) 4×3×4 25.0% * 데퓨티 미니스터(Deputy Minister) 4×4 12.5% | ||
주요 반형제[4] | |
심지어는 스마트 스트라이크가 미스터 프로스펙터의 자마다보니 미스터 프로스펙터=서치 포 골드 4×3×4라는 매우 괴랄한 인브리드까지 나왔다. 유럽에서 전래된, "황금의 혈량"이라 불리는 3×4 18.75% 이론을 신봉하는 일본 경마계 같은 곳에선 심히 기겁할 조합.[5]
반형제 라나몬(Llanarmon)은 캐나다에서 생산/조교되었고, 2013년 나탈마 스테이크스(GII)에서 우승했다.
3. 커리어
2022년 켄터키 더비 영상 |
4. 여담
- 켄터키 더비 직후 유도마를 살벌하게 쫓으며 계속 입질을 시도했다. 기수는 다리와 팔을 강하게 물렸지만 현재 괜찮은 상태라고 알렸다. 일각에선 리치 스트라이크에게 교벽이 있는 게 아니냐며 만약 경기 중에 또 다시 다른 말을 물어뜯으려 한다면 돌발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 에릭 리드 조교사는 2016년 벼락으로 인한 완전 전소로 10마리 넘는 경주마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고 또 중상과 G1에서 인연이 없던 조교사에게 첫 더비마를 안겨준 보배이다.
5. 경주 성적
- 거리 단위(미국, 캐나다) - f: 펄롱(1/8 마일, 약 201m)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529a><rowbgcolor=#00529a><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width=3%> 경주일 || 경마장 ||
(2위마) ||
경기명
||<width=3%> 등급 || 트랙
||<width=3%> 배당[6] ||<width=3%> 인기 || 순위 || 기수 || 1위마(2위마) ||
<rowcolor=#fff> 2021년 (2세) | |||||||||
8.15 | 엘리스 | 메이든 | 잔디 8f | 4.70 | 3 | 10위 | 리카르도 산타나 후니오르 | 콜 미 구스토 | |
9.17 | 처칠 다운스 | 메이든 | 더트 8f | 10.30 | 4 | 1위 | 애덤 베스키자 | (룬샷) | |
10.9 | 킨랜드 | 조건전 | 더트 8f | 3.70 | 3 | 3위 | 쥘리앙 르파루 | 스포트 페퍼 | |
12.26 | 페어그라운즈 | 건 러너 스테이크스 | 더트 8.5f | 46.20 | 7 | 5위 | 소니 레온 | 에피센터 | |
<rowcolor=#fff> 2022년 (3세) | |||||||||
1.22 | 터프웨이 | 레오나투스 스테이크스 | 올웨더 8f | 8.40 | 5 | 3위 | 소니 레온 | 이레이즈 | |
3.5 | 터프웨이 | 존 바탈리아 메모리얼 스테이크스 | 올웨더 8.5f | 20.60 | 9 | 4위 | 티즈 더 봄 | ||
4.2 | 터프웨이 | 제프 루비 스테이크스 | GIII | 올웨더 9f | 26.20 | 10 | 3위 | 티즈 더 봄 | |
5.7 | 처칠 다운스 | 켄터키 더비 | GI | 더트 10f | 80.80 | 20 | 1위 | (에피센터) | |
6.11 | 벨몬트 | 벨몬트 스테이크스 | GI | 더트 12f | 4.10 | 3 | 6위 | 모 도니골 | |
8.27 | 새러토가 | 트래버스 스테이크스 | GI | 더트 10f | 10.90 | 6 | 4위 | 에피센터 | |
10.1 | 처칠 다운스 | 루카스 클래식 스테이크스 | GII | 더트 9f | 4.86 | 4 | 2위 | 핫 로드 찰리 | |
11.5 | 킨랜드 | 브리더스컵 클래식 | GI | 더트 10f | 24.61 | 6 | 4위 | 플라이트라인 | |
11.25 | 처칠 다운스 | 클라크 스테이크스 | GI | 더트 9f | 2.44 | 2 | 6위 | 프록시 | |
<rowcolor=#fff> 2023년 (4세) | |||||||||
5.5 | 처칠 다운스 | 알리시바 스테이크스 | GII | 더트 8.5f | 9.72 | 5 | 5위 | 소니 레온 | 스마일 해피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C39758; font-size: .7em;" 1875 아리스티디스 | 1876 베이그런트 | 1877 바덴바덴 | 1878 데이 스타 | 1879 로드 머피 |
1880 폰소 | 1881 힌두 | 1882 아폴로 | 1883 리오나터스 | 1884 뷰캐넌 | 1885 조 코튼 | 1886 벤 알리 | 1887 몬트로즈 | 1888 맥베스 | 1889 스포캔 | |
1890 라일리 | 1891 킹맨 | 1892 아즈라 | 1893 룩아웃 | 1894 챈트 | 1895 핼마 | 1896 벤 브러시 | 1897 타이푼 | 1898 플로딧 | 1899 마누엘 | |
1900 루테넌트 깁슨 | 1901 히스 에미넌스 | 1902 앨런어데일 | 1903 저지 하임스 | 1904 엘우드 | 1905 애자일 | 1906 서 휴온 | 1907 핑크 스타 | 1908 스톤 스트리트 | 1909 윈터그린 | |
1910 도나우 | 1911 머리디언 | 1912 워스 | 1913 도너레일 | 1914 올드 로즈버드 | 1915 리그렛암컷 | 1916 조지 스미스 | 1917 오마르 하이얌 | 1918 익스터미네이터 | 1919 서 바튼 | |
1920 폴 존스 | 1921 비헤이브 유어셀프 | 1922 모빅 | 1923 제브 | 1924 블랙 골드 | 1925 플라잉 에버니 | 1926 버블링 오버 | 1927 위스커리 | 1928 레이 카운트 | 1929 클라이드 밴 두슨 | |
1930 갤런트 폭스 | 1931 트웬티 그랜드 | 1932 버구 킹 | 1933 브로커스 팁 | 1934 캐벌케이드 | 1935 오마하 | 1936 볼드 벤처 | 1937 워 애드머럴 | 1938 로린 | 1939 존스타운 | |
1940 갤러해디언 | 1941 월러웨이 | 1942 셧 아웃 | 1943 카운트 플리트 | 1944 펜시브 | 1945 후프 주니어 | 1946 어썰트 | 1947 제트 파일럿 | 1948 사이테이션 | 1949 판더 | |
1950 미들그라운드 | 1951 카운트 터프 | 1952 힐 게일 | 1953 다크 스타 | 1954 디터민 | 1955 스왑스 | 1956 니들스 | 1957 아이언 리지 | 1958 팀 탬 | 1959 토미 리 | |
1960 비니션 웨이 | 1961 캐리 백 | 1962 디사이디들리 | 1963 샤토게이 | 1964 노던 댄서 | 1965 럭키 데버네어 | 1966 카우아이 킹 | 1967 프라우드 클래리언 | 1968 포워드 패스 | 1969 마제스틱 프린스 | |
1970 더스트 커멘더 | 1971 1972 리바 리지 | |
그레이드제 도입, GI 지정 후 | |
1973 세크리테리엇 | 1974 캐너네이드 | 1975 풀리시 플레저 | 1976 볼드 포브스 | 1977 시애틀 슬루 | 1978 어펌드 | 1979 스펙태큘러 비드 | |
1980 제뉴인 리스크암컷 | 1981 플레전트 콜로니 | 1982 가토 델 솔 | 1983 서니스 헤일로 | 1984 스웨일 | 1985 스펜드 어 벅 | 1986 퍼디난드 | 1987 알리시바 | 1988 위닝 컬러스암컷 | 1989 선데이 사일런스 | |
1990 언브라이들드 | 1991 스트라이크 더 골드 | 1992 릴 이 티 | 1993 시 히어로 | 1994 고 포 진 | 1995 썬더 걸치 | 1996 그라인스톤 | 1997 실버 참 | 1998 리얼 콰이어트 | 1999 카리스마틱 | |
2000 후사이치 페가수스 | 2001 모나코스 | 2002 워 엠블럼 | 2003 퍼니 사이드 | 2004 스마티 존스 | 2005 자코모 | 2006 바바로 | 2007 스트리트 센스 | 2008 빅 브라운 | 2009 마인 댓 버드 | |
2010 슈퍼 세이버 | 2011 애니멀 킹덤 | 2012 아일 해브 어나더 | 2013 오브 | 2014 캘리포니아 크롬 | 2015 아메리칸 패로아 | 2016 나이퀴스트 | 2017 올웨이스 드리밍 | 2018 저스티파이 | 2019 컨트리 하우스 | |
2020 오센틱 | 2021 만달룬 | 2022 리치 스트라이크 | 2023 메이지 | 2024 미스틱 댄 |
[1] 못 조교사가 담당할 때는 출전하지 않았다.[2] 여담으로 해당 경기에는 그 해 UAE 더비 우승마이자 스페셜 위크의 친손주인 크라운 프라이드도 출주했다, 다만 강선행으로 뛴 게 체력에 무리가 되었는지 13착에 그쳤다.[3] 원래 켄터키 더비 역대 배율 2위는 2009년 켄터키 더비 우승마였던 마인 댓 버드(50.60-1 odds)였는데, 리치 스트라이크는 그보다 더 높은 80-1 odds의 배율로 우승한 것. 공교롭게도 리치 스트라이크와 마인 댓 버드는 모두 스마트 스트라이크의 외손자다.[4] 중상마만 서술.[5] 노던 댄서 2×4의 람타라 같은 과도한 인브리드에 투자했다가 처절하게 망한 사례가 있으니 더욱 그럴 것이다, 물론 현대 영국은 그런 거 없다(…).[6] 서양권의 배당 표기는 동아시아와 달리 원금을 제외하므로 값이 1만큼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