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6:51:26

린하이펑

린하이펑 / 린 카이호
林海峰[1] / Rin Kaiho
파일:rinkaiho.jpg
직업 바둑기사
소속 일본기원
생년월일 1942년 5월 6일 ([age(1942-05-06)]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출신지 중화민국 장쑤성 상하이시
[2]
입단 1955년
단급 九단
누적우승경력 35회
가족 배우자 왕라이디(王來弟)(부인)
자녀 1남 2녀(3남매)
일본기원 린하이펑 소개 페이지

1. 개요2. 경력3. 기타4. 주요 기사들과의 상대 전적
4.1. 한국 기사

1. 개요

일본기원 소속 바둑 기사. 상하이 출신이지만(본적저장성.) 국적은 대만이다.[3] 한국, 일본에서는 한자를 그대로 읽은 임해봉, 린카이호로 알려져 있다.[4] 여권 영문 명칭도 일본어 발음처럼 Rin Kaiho로 되어 있다.[5]

젊었을 때 끈질긴 기풍으로 이중 허리라고 불렸으나, 장년 이후에는 전투적으로 바뀌었다. 동갑내기 라이벌인 오타케 히데오와 함께 죽림(竹林)이라고도 한다.

2. 경력

1952년 10세 때 대만을 방문한 우칭위안과 6점 접바둑을 둔 다음 그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일본으로 오게 된다. 1956년 12세에 입단했는데 이는 당시 최연소 기록으로 훗날 조치훈이 경신했다.

1965년 사카타 에이오 명인 겸 혼인보를 4-2로 이기고 23세에 당시 최연소 명인, 1968년 혼인보전에서 사카타 혼인보를 4-3으로 이기고 사카타에 이어 사상 2번째 명인 겸 혼인보가 된다.[6]

1988~89년 후지쯔배에서 결승까지 올라갔지만 다케미야 마사키에게 연달아 우승을 내주었고, 1990년 3회 대회에서 녜웨이핑을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1989~93년 천원전 5연패로 명예 천원이 된 것을 포함해 통산 35개의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2002년 5월 6일 1200승을 달성[7]했으며, 2015년 8월 조치훈에 이어 사상 2번째로 1400승을 달성했다.

3. 기타

1973년 이시다 요시오 도전자와의 명인전, 1983년 조치훈 혼인보와의 혼인보전에서 3연패 후 4연승으로 역전 우승했다. 일본 기전에서 3연패 후 4연승으로 뒤집은 기록은 6번 밖에 없는데 그 중 3번을 조치훈, 2번을 린하이펑이 달성했다.

1987년 가토 마사오 명인과의 명인전에서 0-2으로 뒤진 제3국, 1집반 정도 우세한 상황에서 두 수를 연거푸 두는 바람에 반칙패하며 도전에 실패했다.

1993년 고마쓰 히데키와의 본인방전에서 바둑에서 굉장히 드물게 나타나는 장생이 연출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같은 중국인이자 왕라이디 부인과 3남매(1남 2녀)를 두고 있다.

명인전 타이틀을 딴 직후 “바둑의 신(神)이 있다면 몇 점 정도로 버틸 수 있겠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3점 정도면 해볼 수 있지 않겠느냐”고 대답하여 화제가 된 바 있다.

이창호가 10대 때 "존경하는 기사가 누구냐"는 질문을 받고 곧바로 린하이펑이라 대답했으며, 린하이펑 본인도 세계 대회인 제3회 동양증권배 결승에서 이창호에게 패한 다음 의연한 모습으로 복기에 임해 팬들의 칭송을 받았다.[8]

소년탐정 김전일 혈류실 살인사건의 등장인물 카이호 마나부(海峰學)가 린하이펑(林海峰)한테서 이름을 따 왔다. 대한민국에 번역될 때는 한자가 나오지 않고 그냥 '카이호'라고만 적어서 모르는 사람이 있는 듯.

4. 주요 기사들과의 상대 전적

4.1. 한국 기사

  • 서봉수 九단 4:2
  • 양재호 九단 2:2
  • 유창혁 九단 1:3
  • 이세돌 九단 0:1
  • 이창호 九단 4:9
  • 조훈현 九단 1:7

[1] 한국어 독음은 임해봉.[2]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3] 중국이 국적 변경을 제안했지만 응하지 않았다고 한다. 대만의 외성인이니만큼 당연하다. 중화민국이 일본으로부터 타이완섬을 돌려받은 후 아버지의 근무지가 타이베이시로 정해져서 건너갔고 국부천대가 되자 눌러 앉게 된 것이다. 한편 그의 출생 전에 아버지는 외교관으로서 타이베이에 근무했다 귀임하였던 적도 있다(타이베이는 당시 일본령이었으므로 일종의 해외 근무다. 현재는 상상하기 어렵지만 타이베이에는 중화민국 영사관이 있었다.)[4] 90년대 한국의 바둑 방송에서는 임해봉, 섭위평, 마효춘, 진조덕, 오송생(한국기원 전 객원 기사)이라는 표기를 썼다. 특히 한중수교 이전에는 중국을 중공이라고 읽고 중국 이름, 지역명은 무조건 한국식 한자음이었다.[5] 조치훈 9단도 조치쿤, 류시훈 9단도 류시쿤으로 읽고 왕리청 9단은 오리세이, 장쉬 9단은 쵸우로 읽는다. 반면, 같은 대만 사람인 왕정치는 일본에서는 훈독으로 오 사다하루라고 읽는다.[6] 명인 겸 혼인보는 이후 이시다 요시오, 조치훈, 장쉬, 다카오 신지, 야마시타 게이고, 이야마 유타가 차지했다.[7] 2002년 4월 18일 제50기 일본 왕좌전 본선1회전에서 히코사카 나오토(彦坂直人) 9단 상대로 흑불계로 승리했다[8] 린하이펑은 이창호와 세계 대회 결승전을 치르기 전에 이창호는 자기 아들보다도 한 살 어리다며 부담감이 굉장히 많다고 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