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4 08:09:05

말 한마디에 천냥 빚을 갚는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외교 및 변호사 제외 예시 삭제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외교 및 변호사 제외 예시 삭제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1. 개요2. 예시

1. 개요

사례 1 사례 2
옛날 박씨 성을 가진 백정이 있었다. 하루는 한 양반이 백정을 찾아와 이렇게 말했다.
"네 이놈, 상길아. 여기 고기 한 근만 가져오너라."
백정은 고기 한 근을 썰어다 내어주었다.
잠시 후 다른 양반이 찾아와 말하였다.
"여보게 박 서방, 여기 고기 한 근 갖다 주게."
백정은 고기를 먼젓번 양반의 것보다 큼직하게 썰어 그 양반에게 내어주었다.
그것을 보고 첫 번째 양반은 벌컥 화를 냈다.
"예끼, 이 못난 놈아!! 어찌하여 저 양반의 것은 크고 내 것은 이리도 작단 말이더냐!!"
그러자 백정은 웃으면서 대답했다.
"대감께서 사 가신 고기는 상길이가 드린 것이고, 저 분이 사 가신 고기는 박 서방이 드린 것이옵니다. 어찌 같을 수가 있으리이까?"[1]
양반은 얼굴이 빨개져 아무 말도 하지 못하였다.
어느 시골 마을에 작은 성당이 있었다.
하루는 그 성당에서 잡일을 하는 아이가 큰 실수를 하여 주일 미사에서 쓰일 포도주 그릇을 바닥에 떨어뜨리고 말았다.
그것을 본 신부는 다짜고짜 아이의 뺨을 거칠게 후려갈기며 모진 저주의 말을 퍼부었다.
"멍청한 녀석, 어서 썩 물러가라!! 다시는 성당에 나오지 마!!"
이 소년이 훗날 장성하여 공산주의자가 되어 유고슬라비아에서 기독교를 탄압하니, 그가 바로 티토 대통령이다.[2][3]
또 다른 성당에서 잡일하는 소년이 똑같은 실수를 하였다. 하지만 그 성당의 신부는 화를 내기는커녕 울상인 소년의 머리를 따뜻하게 쓰다듬어 주며
"음, 너는 커서 훌륭한 신부가 되겠구나."
라고 위로하였다.
훗날 이 소년은 자라서 자신을 따뜻하게 보듬어준 신부님의 바람대로 훌륭한 성직자가 되었다고 한다.
말만 잘해도 있던 빚도 사라지는 등 이득을 볼 수 있다는 뜻의, 말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한국의 속담이다. 명심보감에 나오는 구시화지문 설시참신도(口是禍之門 舌是斬身刀, 입은 화를 부르는 문이고, 혀는 몸을 자르는 칼이다)와도 일맥상통한다.

천냥은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대략 5000만원~7000만원 정도다.

속담 자체는 말을 잘 해서 이득을 취한다는 의미이지만, 보통 말을 잘 못하거나 같은 말을 해도 상대의 기분을 나쁘게 만들어서 손해를 본다는 정반대의 의미로도[4] 자주 쓰인다.
사과문과도 관련이 있다.

2. 예시

  • 외교: 말 한 마디로 천냥 빚 따위가 아니라 국가의 이익과 안위 전체를 좌지우지할 수 있다.[5] 단어 하나하나도 신중하게 골라야 하고 번역/통역도 굉장히 정확해야 한다. 서희소손녕과 담판 하나 잘지어 인명피해 없이 거란이 철수하고 오히려 강동 6주를 얻는 등 이득을 본 사례와 단어, 문맥 하나가 바뀌면서 전쟁의 방아쇠가 되어 버린 엠스 전보 사건 같은 경우를 보자.
  • 변호사: 위의 외교와 마찬가지로 말 한 마디로 천냥 빚을 넘어서 유죄와 무죄를 가를 수 있는 중요한 책임을 가지고 있다.

[1] 이런게 가능할만한 까닭이 있는데 옛날에는 도량형이 지금처럼 정비되지 못했다. 오늘날이라면야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어서 똑같이 주문하면 똑같이 줄 수 있지만 옛날엔 도량형이 철저히 정비되지 못해 한 근이라도 사람에 따라서 달라진다.[2] 티토는 기독교를 대단히 탄압하였다. 허나 이것이 종교 자체에 대한 탄압이라기보다는 종교와 결탁한 민족주의 탄입이라는 시각도 있는데 그도 그럴게 티토의 나라였던 유고슬라비아는 다민족 국가이고 민족별로 종교가 다른 경우가 많아 자연스레 민족주의와 종교가 결탁하기 쉬웠다. 그렇기에 이슬람교 역시도 탄압했다.[3] 여담으로 이것은 실제로 일어난 일일 가능성이 높은데 다름아닌 티토 자신이 밝힌 이야기이다. 다만 티토 자신이 밝힌 내용으로는 신부의 제의를 빠르게 벗기지 못했다는 이유로 맞았다고 한다.[4] 이 경우는 "말 한마디에 천냥 빚을 진다"라는 식으로 원래의 표현을 비틀어서 쓰는 경우도 있다.[5] 물론 천냥이라 해서 딱 그 값어치의 금액을 뜻하는 게 아니라 그냥 관용적으로 많은 돈을 뜻하는 거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