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03:28:52

메릭 갈랜드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131230><tablealign=center><tablebgcolor=#131230>
파일:미국 국장 (원형).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C224,#db9e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31230,#d0cfed
연방 행정부 각료
파일:미국 부통령 문장.svg 파일:미국 국무부 휘장.svg 파일:미국 재무부 휘장.svg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
부통령 국무부 재무부 국방부
카멀라 해리스 토니 블링컨 재닛 옐런 로이드 오스틴
파일:미국 법무부 마크.svg 파일:미국 내무부 휘장.svg 파일:미국 농무부 휘장.svg 파일:미국 상무부 마크.svg
법무부 내무부 농무부 상무부
메릭 갈랜드 데브 할런드 톰 빌색 지나 레이먼도
파일:미국 노동부 휘장.svg 파일:미국 보건사회복지부 휘장.svg 파일:미국 주택도시개발부 휘장.svg 파일:미국 운수부 휘장.svg
노동부 보건사회복지부 주택도시개발부 운수부
마티 월시 하비에르 베세라 마르시아 퍼지 피트 부티지지
파일:미국 에너지부 휘장.svg 파일:미국 교육부 로고.svg 파일:미국 제대군인부 휘장.svg 파일:미국 국토안보부 마크.svg
에너지부 교육부 제대군인부 국토안보부
제니퍼 그랜홈 미겔 카르도나 데니스 맥도너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파일:미국 중앙정보국 문장.svg
CIA 국장
윌리엄 번스
각료급 고위인사
백악관 비서실장 무역대표부 대표 국가정보장 주유엔 미국대사
제프 자이언츠 캐서린 타이 에이브릴 헤인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관리예산처장 환경보호청장 중소기업청장 과학기술정책실장
샬란다 영 마이클 S. 리건 이사벨 구즈만 아라티 프라바카르
경제자문위원장 대통령 기후특사
세실리아 로우스 존 케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rowcolor=#FFC224,#DB9E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에드먼드 제닝스 랜돌프 윌리엄 브래드포드 찰스 리 레비 링컨 시니어
<rowcolor=#FFC224,#DB9E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존 브레킨리지 시저 어거스트 로드니 윌리엄 핑크니 리처드 러시
<rowcolor=#FFC224,#DB9E00>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윌리엄 워트 존 M. 베리엔 로저 토니 벤자민 프랭클린 버틀러
<rowcolor=#FFC224,#DB9E00>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펠릭스 그런디 헨리 D. 길핀 존 J. 크리텐던 휴 S. 레가르
<rowcolor=#FFC224,#DB9E00>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존 넬슨 존 A. 메이슨 네이던 클리포드 아이작 투시
<rowcolor=#FFC224,#DB9E00>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리버디 존슨 존 J. 크리텐던 케일럽 쿠싱 제레미아 S. 블랙
<rowcolor=#FFC224,#DB9E00>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에드윈 스탠튼 에드워드 베이츠 제임스 스피드 헨리 스텐베리
<rowcolor=#FFC224,#DB9E00>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윌리엄 M. 에버츠 에버니저 R. 호어 아모스 T. 아커만 조지 헨리 윌리엄스
<rowcolor=#FFC224,#DB9E00>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에드워즈 피에르폰트 알폰소 태프트 찰스 데번스 웨인 맥베이
<rowcolor=#FFC224,#DB9E00>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벤자민 H. 브레스터 어거스트 갈랜드 윌리엄 H. H. 밀러 리처드 올니
<rowcolor=#FFC224,#DB9E00>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저드슨 허몬 조셉 맥케나 존 W. 그릭스 필랜더 C. 녹스
<rowcolor=#FFC224,#DB9E00>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윌리엄 헨리 무디 찰스 보나파르트 조지 W. 위커샴 제임스 C. 맥레이놀즈
<rowcolor=#FFC224,#DB9E00>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토마스 와트 그레고리 A. 미첼 팔머 해리 M. 도허티 할런 F. 스톤
<rowcolor=#FFC224,#DB9E00>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존 G. 서전트 윌리엄 D. 미첼 호머 스틸 커밍스 프랭크 머피
<rowcolor=#FFC224,#DB9E00>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로버트 H. 잭슨 프랜시스 비들 톰 C. 클라크 J. 하워드 맥그래스
<rowcolor=#FFC224,#DB9E00>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임스 P. 맥그래너리 허버트 브로넬 주니어 윌리엄 P. 로저스 로버트 F. 케네디
<rowcolor=#FFC224,#DB9E00>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니콜라스 카젠바흐 램지 클라크 존 N. 미첼 리처드 클라인딘스트
<rowcolor=#FFC224,#DB9E00>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엘리엇 리처드슨 윌리엄 B. 색스비 에드워드 H. 레비 그리핀 벨
<rowcolor=#FFC224,#DB9E00>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6대
벤자민 시빌레티 윌리엄 프렌치 스미스 에드윈 미스 딕 손버그
<rowcolor=#FFC224,#DB9E00>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윌리엄 바 자넷 레노 존 애쉬크로프트 알베르토 곤잘레스
<rowcolor=#FFC224,#DB9E00> 제81대 제82대 제83대 제84대
미셸 무케이지 에릭 홀더 로레타 린치 제프 세션스
<rowcolor=#FFC224,#DB9E00> 85대(직무대행) 제86대 제87대
매튜 휘태커 윌리엄 바 메릭 갈랜드
}}} }}}}}}}}} ||

<colbgcolor=#0A214F><colcolor=#fff>
미합중국 제86대 법무장관
메릭 브라이언 갈랜드
Merrick Brian Garland
파일:Attorney_General_Merrick_Garland.jpg
출생 1952년 11월 13일 ([age(1952-11-13)]세)
일리노이 주 시카고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임기 제86대 법무장관
2021년 3월 11일 ~ 현직
서명
파일:메릭 갈랜드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A214F><colcolor=#fff> 가족 아버지 시릴 갈랜드
어머니 실리 호로비츠
4남매 중 막내 , 육촌 테리 브랜스태드
배우자 린 로즈먼 , 슬하 2명
학력 하버드 대학교 (사회학 / A.B.)
하버드 대학교 (법학 / J.D.)
경력 미국 워싱턴DC연방항소법원 판사
미국 워싱턴DC연방항소법원 법원장
}}}}}}}}}

1. 개요2. 생애
2.1. 연방대법관 취임 실패2.2. 제86대 법무장관 취임
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미합중국의 법조인. 제86대 연방 법무장관이다.

2. 생애

1995년 9월 6일 빌 클린턴 대통령의 결정으로 워싱턴 D.C. 연방항소법원 판사로 지명되었다. 일전에 로클럭으로 기용된 적이 있었는데, 그때 기용 결정을 내렸던 윌리엄 J. 브레넌 주니어 연방대법관이 클린턴 대통령에게 추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변호사협회(ABA) 역시 만장일치로 '적격' 의견을 부여하며 해당 결정에 지지 의사를 밝혔고, 이 덕에 무난하게 임명되어 직무를 시작할 것 같았다.

하지만 당시 야당인 공화당이 장악하고 있던 상원[1]은 이미 인사청문회까지 마쳤음에도 밥 돌 원내대표 주도 하에 뚜렷한 근거 제시 없이 차일피일 지명 표결을 지연시켰다. 이 당시 고의적인 표결 지연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훗날의 해석으로는 다가오는 1996년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후보가 승리할 경우 지명 대상자를 자신들과 비슷한 보수 성향 법조인으로 뒤집으려는 의도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게다가 표결 지연을 주도한 밥 돌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가 1996년 대선의 유력한 공화당 후보군이었으니(...).

그러나 1996년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로 나선 빌 클린턴 대통령이 밥 돌 공화당 후보를 누르고 무난히 재선에 성공하였고, 이전에 보류된 결정을 그대로 시행한 덕에 연방항소법원 판사로 재지명되었다. 게다가 클린턴 행정부가 재집권 초기의 국정 동력을 바탕으로 상원에 표결을 압박하기 시작, 결국 거부하거나 지연시킬 명분이 사라진 공화당이 표결에 동참하면서 찬성 77표, 반대 23표로 인준되어 무사히 임명될 수 있었다. 여담으로 이때 반대표를 던진 23인 중 한 명이 공화당의 미치 매코널이었다. 매코널과의 악연이 이때부터 시작된 셈.

1997년 3월 20일 워싱턴 D.C. 연방항소법원 판사로 공식 임기를 시작했고, 2013년 2월 12일에는 해당 법원의 수석판사가 되었다. 법관으로서는 상당히 온건하고 중도적인 성향을 보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2.1. 연방대법관 취임 실패

2009년 버락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여러 차례 연방대법관 후보로 거론되었고, 2010년에는 실제로 오바마 대통령과 대면하여 면접을 본 것으로 알려졌지만 결국 소니아 소토마요르엘레나 케이건이 차례로 지명되고 인준을 받으면서 차례가 밀렸다.

그러다 2016년 2월 13일 보수 성향인 앤터닌 스컬리아 연방대법관이 사망하면서 공석이 생기자, 드디어 오바마 대통령으로부터 연방대법관 후보로 지명되었다. 그런데 이때 공화당이 장악한 상원이 미치 매코널 원내대표의 주도 하에 그동안의 관례를 깨고, "다음 대선의 승자가 앤터닌 스컬리아 연방대법관의 후임자를 지명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오바마 대통령이 지명한 후보자에 대해 인사청문회를 열지 않겠다"고 선언해버리면서 일이 단단히 꼬여버렸다. 당시 매코널은 오바마 대통령과 집권 민주당 의원들을 비롯해 수많은 법학자와 정치학자들로부터 "상대 당이 지명한 후보여도 인준에 대승적으로 임하는 관례의 미덕을 당리당략으로 깨버렸다"는 비판을 받으면서도 자신의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결국 연방대법관 지명 안건이 무려 293일에 걸쳐 상원에서 인준 절차 개시도 못한 채 방치되다, 2016년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고 같이 치러진 총선에서 공화당이 상원 다수당 지위를 유지하면서 후임 연방대법관 후보자를 닐 고서치로 바꿔버린 탓에 끝내 연방대법관 취임 문턱에서 좌절하고 말았다. 매코널은 자신이 이끄는 상원 다수당을 통해 강경 보수 성향의 고서치를 무난히 인준해주어 그를 연방대법원으로 입성시켰다.

더 어이없는 일은 그로부터 4년 만에 벌어졌는데, 진보 성향의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연방대법관이 2020년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사망하여 공석이 생기자 매코널은 4년 전 일을 까맣게 잊은 것처럼 태세 전환을 시전, 대선 직전에 트럼프 행정부가 지명한 강경 보수 성향의 에이미 코니 배럿 판사를 연방대법관 후보자를 재빨리 인준해주는 누가 봐도 변론하지 못할 그야말로내로남불을 저질렀다.[2]

2.2. 제86대 법무장관 취임

2020년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의 조 바이든 후보가 승리해 대통령으로 취임한 뒤, 그의 결정에 따라 연방정부의 법무장관[3]으로 지명[4]되었다. 인생을 통틀어 세 번째로 맞이한 지명직 인준 절차에서 민주당이 다수당인 상원이 찬성 70표, 반대 30표로 지지해주면서 무사히 장관으로 취임할 수 있었다. 이 표결에서 매코널은 처음으로 찬성표를 던졌다고 한다.

자신의 연방대법원 입성을 막은 도널드 트럼프를 겨냥한 특검을 출범시키며 어느 정도는 억울함을 풀게 되었다. 잭 스미스 국제형사재판소 코소보 특별재판 수석검사를 임명해 트럼프 전 대통령의 기밀문서 유출 논란 및 2020년 대선 전복 시도, 1.6.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 선동 논란 등에 대해 수사하도록 지시했다.[5]

하지만 2023년 1월, 바이든 대통령에게도 트럼프와 유사한 기밀 문서 유출 논란이 터져 수사 중립성이 문제가 되자 추가로 로버트 K. 허를 특검에 임명해 해당 사건을 수사하도록 했다. 덕분에 미국 역사상 전무하게도 서로 다른 두 사건으로 인해 두 명의 특검을 동시에 운영하는 법무장관이 되었다. #

게다가 이걸로 끝나지 않고 바이든 대통령의 차남인 헌터 바이든의 불법 총기 소지 혐의까지 특검을 실시하며 미 역사상 최초로 대통령의 자녀가 기소되는 일까지 생기게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본인을 기소할 때까지만 해도 정치적 중립성을 위해 별 다른 말을 하진 않았지만 가족까지 건드리자 분노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30년 전 르윈스키 스캔들 당시의 법무부 장관처럼 정치적으로 옭아매지 않는 진정한 중립을 위해 3차례나 특검을 발동시키며 미국 대선 레이스가 혼돈에 빠지게 된 것.[6]

한편 갈랜드 취임 이후에는 미국 법무부에서 매우 적극적인 반독점법 소송을 임하고 있다. 애플, 구글, 라이브네이션 등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실제로 2024년 8월 5일, 워싱턴 D.C.의 연방 지방법원에서 구글이 검색 및 광고 시장을 독점하여 반독점법을 위반했다는 판결을 내렸다.

3.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4C9; border-right: 10px solid #0044C9;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직위 명단
부통령 <colbgcolor=#fff,#1f2024> 카멀라 해리스
국무장관 대니얼 베넷 스미스 (직무대행)토니 블링컨
재무장관 앤디 바우콜 (직무대행)재닛 옐런
국방장관 데이비드 노키스트 (직무대행)로이드 오스틴
법무장관 존 데머스 (직무대행)몬티 윌킨슨 (직무대행)메릭 갈랜드
내무장관 스콧 드 라 베가 (직무대행)데브 할런드
농무장관 케빈 시어 (직무대행)톰 빌색
상무장관 윈 코긴스 (직무대행)지나 레이먼도
노동장관 마티 월시줄리 수 (직무대행)
보건사회복지장관 노리스 코크란 (직무대행)하비에르 베세라
주택도시개발장관 매트 암몬 (직무대행)마르시아 퍼지아드리안 토드먼 (직무대행)
운수장관 라나 허들 (직무대행)피트 부티지지
에너지장관 데이비드 후이젠가 (직무대행)제니퍼 그랜홈
교육장관 필 로젠펠 (직무대행)미켈 카르도나
제대군인장관 닷 트란 (직무대행)제임스 맥도너
국토안보장관 데이비드 페코스케 (직무대행)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환경보호청장 샤를로트 베르트랑 (직무대행)제인 니시다 (직무대행)마이클 S. 리건
관리예산실장 롭 페어웨더 (직무대행)샬란다 영
국가정보장 로라 시아오 (직무대행)에이브릴 헤인스
중앙정보국장 데이비드 코헨 (직무대행)윌리엄 번스
무역대표부 대표 마리아 페이건 (직무대행)캐서린 타이
주유엔대사 리처드 M. 밀스 주니어 (직무대행)린다 토머스그린필드
경제자문위원장 세실리아 로우스재러드 번스타인
연방중소기업청장 타미 페리엘로 (직무대행)이사벨 구즈만
과학기술정책실장 케이 고이즈미 (직무대행)에릭 랜더프랜시스 콜린스 (직무대행)아라티 프라바카르
백악관 비서실장 론 클레인제프 자이언츠 }}}
}}}}}}}}}



[1] 당시 공화당 53석, 민주당 47석[2] 매코널의 이 내로남불로 임명된 코니 배럿은 2022년 로 대 웨이드 판결을 파기하는 데에 결정적인 한 표를 행사하며 민주당을 제대로 격분시켰고, 이는 2022년 미국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이 엄청난 선전을 하는 동력이 되기도 했다.[3] 미국의 법무장관은 검찰총장을 겸직한다. 미 연방에 속한 대다수의 주에서도 주정부 내 법무장관이 검찰총장을 겸하며, 이웃나라인 캐나다에서도 법무장관이 검찰총장을 겸한다.[4] 한국으로 치면 대법관이 되는 데 실패한 서울고등법원장이 법무부장관으로 지명된 셈이다.[5] 다만 장관 자리는 길어봤자 8년짜리인 데 반해, 연방대법관 자리는 종신직이라는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6] 다만 차남 헌터 바이든은 그야말로 핵폭탄 그 자체로 인생 자체가 사건사고로 점철되어 있다. 불법 자금과 탈세, 마약중독과 불법 총기 소지등 하나만 제대로 걸려도 장기 징역형을 피할 수 없는 것들이 있다는 소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