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01:31:38

린(메이플스토리)

메이플 린에서 넘어옴

파일:메이플스토리 로고_오리지널.png

직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color: #000; min-width:40%; min-height:2em"{{{#!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color: #000; min-width:40%; min-height:2em"
서비스 현황
한국 글로벌 중국 일본 대만 SEA
불가 가능 가능 가능 가능 불가
파일:린 선택창 일러.png
<colbgcolor=#feffe6,#333333><colcolor=#379cb5,#ffffff> 프로필
성별 여성
이명 숲의 아이
종족 인간
직업 계열 마법사
업데이트 일자 CMS: 2024년 2월 21일
TMS: 2024년 2월 21일
GMS: 2024년 5월 1일
JMS: 2024년 5월 22일
성우 카와구치 리나(女)[A]
미야자키 마사야(男)[A]
파일:일본 국기.svg
(女)
(男)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장나이원(張乃文)(女)
왕스웨이(汪世瑋)(男)
파일:대만 국기.svg
주 무기 기억의 지팡이
보조 무기 방패, 잎사귀
주 스탯 INT
표기
GMS Lynn
JMS リン
CMS
TMS [ruby(琳,ruby=lín)][ruby(恩,ruby=ēn)](임은 / 린엔)
전직이펙트
파일:전직이펙트_린.gif
1. 개요2. 설명3. 기본 외형
3.1. 스탠딩 일러스트3.2. 게임 내 사용 도트
4. 스토리 캐릭터로서
4.1. 스토리 및 퀘스트4.2. 성격4.3. 인물 관계4.4. 홈 타운: 영원의 숲
5. 실제 게임 캐릭터로서
5.1. 역사5.2. 성능
5.2.1. 스킬 목록5.2.2. 운용
5.2.2.1. 사냥5.2.2.2. 보스
5.2.3. 스펙
5.3. 평가
5.3.1. 장점5.3.2. 단점5.3.3. 기타
5.4. 육성 가이드
6. 그 외 매체에서7. 여담

[clearfix]

1. 개요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직업. 비스트테이머가 삭제되면서 신규 직업으로 추가되었다.

2. 설명

대만/중국 서버(TMS/CMS)에서 NEW AGE 패치로 공개된 해외 오리지널 신직업. 묵현과 같은 강호지역 캐릭터라는 추측이 있었고, 2024년 1월 30일 공개된 정보에서 강호 지역의 캐릭터로 확정되었다.

린이 환생하는 숲의 주인 가이아(사슴)를 위해 대지의 수호신인 판(곰)[3], 창공의 수호신 페니(매), 생명의 수호신 파이안(늑대)과 함께 고대 악신 휴프노스에 맞서 싸운다.

3. 기본 외형

파일:린_캐릭선택_남자.png 파일:린_캐릭선택_여자.png
남성 여성
<colbgcolor=#feffe6,#333333> 성형
헤어
장비
전신
신발

남성캐릭터로 고를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원본 인게임 여성 도트에서 헤어나 의상 등 거의 변경 사항이 없어서 남캐 외형이 여자와 다를 바 없다는 인상이 지배적이다.[4]

심지어 후술할 스탠딩 일러스트와 전용 스킬 컷신 등에도 이런 사항이 적용되어서 출시되자마자 아크, 아델 같은 사례처럼 반대 성별이 오히려 다른 의미로 유명세를 탔다.

3.1. 스탠딩 일러스트

파일:메이플 린(남) 스탠딩.png
파일:메이플 린(여) 스탠딩.png
남성 여성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메이플 린(여) 스탠딩 표정1.png
파일:메이플 린(여) 스탠딩 표정2.png
파일:메이플 린(여) 스탠딩 표정3.png
파일:메이플 린(여) 스탠딩 표정4.png
파일:메이플 린(여) 스탠딩 표정5.png
파일:메이플 린(여) 스탠딩 표정6.png
파일:메이플 린(여) 스탠딩 표정7.png
파일:메이플 린(여) 스탠딩 표정8.png
}}} }}} }}} ||

3.2. 게임 내 사용 도트

4. 스토리 캐릭터로서

4.1. 스토리 및 퀘스트

4.2. 성격

4.3. 인물 관계

  • 가이아: 연둣빛 털을 가진 사슴 모습을 한 영원의 숲의 주인. 오랜 시간동안 자신의 힘이 숲을 순환하도록 도와줄 한 아이를 오랫동안 기다리고 있었지만, 여태 그런 존재를 찾지 못해 쇠약해져가는 상태다. 성우는 모토요시 유키코.
  • 판(논): 연갈색 빛의 털을 가진 곰 모습의 대지의 수호자. 어릴 때의 린과 몇 번 마주쳐 린이 이름을 물었지만, 모종의 이유로 이름을 알려주지 못하고 도망친 적이 있다. 지금은 린과 동행 중이다. 성우는 아오야마 미코토(靑山尊).
  • 페니: 영원의 숲 절벽에서 만난 파란 매 모습의 창공의 수호자. 린이 귀엽다고 하자, 칭찬인 건 알겠지만, 너무 무례하지 않냐고 한 적이 있다. 판과 마찬가지로 린과 동행 중. 성우는 시모니시 레이(下西礼).
  • 파이안: 초록색 털을 가진 늑대의 모습을 한 생명의 수호자. 린이 어릴 때부터 몇 번 슬쩍 지켜본 적이 있다. 다른 수호자들과는 달리, 린에게 호의적이지 않았지만[스포일러], 현재는 마음 속 앙금을 풀고 린과 동행 중이다. 성우는 무로이 카이토.

4.4. 홈 타운: 영원의 숲

5. 실제 게임 캐릭터로서

XXX 패치 이후 기준
공격력 방어력 기동성 난이도

5.1. 역사

2023년 12월에 있었던 대만 메이플스토리(TMS) 쇼케이스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대만과 중국 메이플스토리에 24년 2월 21일 가장 먼저 업데이트 되고, 글로벌 메이플스토리(GMS)는 5월 1일, 일본 메이플스토리(JMS)는 5월 22일 업데이트된다.

5.2. 성능

5.2.1. 스킬 목록


5.2.2. 운용


5.2.2.1. 사냥
2차 스킬인 페니의 '쪼기'와 3차 스킬 파이안의 '암습'을 활성화시킨 다음, 판의 스매시 스킬을 이용해 사냥한다. 혹여 스매시의 딜이 부족하더라도 파이안의 암습이 발동되어 처리해주니 몬스터가 스매쉬로 원킬이 안 나도 문제는 없다.
5.2.2.2. 보스

5.2.3. 스펙

5.3. 평가

평딜에 특화된 서포터. 기본 스펙도 출중한데 운용 난이도는 전직업을 통틀어 가장 간단하고 쉬운데다가 화력과 유틸도 모두 뛰어나 파티 플레이에서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다. 다만 약한 극딜과 무적기의 부재 등 단점도 명확한 직업.

5.3.1. 장점

  • 출중한 기본 스펙과 준수한 평딜
    린은 단순히 주력기를 난사하는 것만으로도 최종 데미지가 15%까지 중첩되는 버프가 3개까지 있어서 서포터 직업임에도 준수한 화력을 보인다. 2초마다 자동 발동되거나 적을 타격하면 자동으로 공격하는 추가타 형식의 스킬도 보유해 스매쉬 단 하나만 사용해도 강력한 화력을 보인다. 또한, 기본 크리티컬 확률이 전 직업 1위로 레벨 2의 링크 스킬을 포함해서 기본 크리티컬 확률이 무려 85%에 육박한다. 쓸만한 샤프 아이즈로 10%를 추가 수급하고 나서 나머지 5%만 올리면 끝이다.
  • 매우 쉬운 육성
    린은 사냥에서 더블 점프를 사용하며 주력기인 스매쉬를 난사하면 끝이다. 다른 스킬이 있어도 자동 사출 스킬이나 설치기가 전부라 피로도 낮은 사냥에 탁월하다.
  • 단순한 스킬 구조
    복잡하고 귀찮은 스킬 연계나 셋업을 요하는 직업도 아니라 구조가 매우 단순하다. 특히 스매쉬의 범위와 퍼뎀이 1차 전직 시점부터 강력해 출중한 기본 스펙과 시너지를 일으켜 레벨 200까지의 육성이 손쉽다. 이는 메이플을 처음 접하는 뉴비나 계정을 새로 만드는 유저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오며 화력도 준수해 보스돌이 용도로도 나쁘지 않다.
  • 우수한 파티 유틸
    여타 서포터 직업과 비교해도 전혀 꿇리지 않는 우수한 파티 유틸을 보유하고 있다.
  • 쉬운 코어 강화
    린의 V 매트릭스 강화 코어 대상 스킬은 고작 6개로 전 직업을 통틀어 제일 적다. 6개의 스킬 모두 강화가 필요하지만 이렇다 보니 강화 코어가 나오기만 해도 유효하다. 이 덕분에 코어 강화 부담은 적다 못해 거의 없는 수준이다.
  • 기동성
    기동성이 매우 뛰어나다. 더블 점프를 사용하는 마법사 직업군으로서, 윗점 뿐만 아니라 대각선 이동기, 돌진기마저 보유하고 있다.[6]
  • 출중한 성능의 육성 보너스
    링크 스킬의 효과는 보스 데미지, 크리티컬 확률 10% 증가와 최대 HP, MP 5% 증가, 유니온 공격대원 효과는 SS랭크 기준 방무 5%로, 상당히 유용하기에 필수 육성 직업으로 손꼽힌다. 앞서 언급된 쉽고 빠른 육성은 덤.

5.3.2. 단점

  • 바인드와 무적기의 부재
    비스트테이머 시절에는 있었지만, 린으로 변경되고 모조리 사라졌다. 바인드는 에르다 노바로 대체가 되지만, 무적기는 보스전에서 핵심 유틸로 기능함에도 린에게는 무적기는커녕 뎀감 스킬조차 없다. 그마저도 마법사 직업군 공용 스킬 에테리얼 폼은 사용해도 무적이 아니라서 더더욱 치명적인 단점으로 작용한다.
  • 집중 시스템의 구조상 단일에게 국한되는 유틸과 솔플 시 불이익
  • 빈약한 극딜

5.3.3. 기타

  • 긴 스토리 컷씬
    최근의 신직업 특성상 스토리 컷씬이 상당히 긴데 무조건 끝까지 봐야만 한다. 월드맵 텔레포트를 쓸 수도 없어서 당연히 초반 탈출은 불가능하다. 초반에 2차 전직까지는 어떻게든 견뎌내도 3차 전직에서는 특정 몬스터 30마리를 잡고 중앙에 있는 숨겨진 포탈을 직접 찾아야 하는 귀찮음이 있으며, 4차 전직부터는 꽤나 오랜 시간 소요되는 컷씬 포함의 스토리를 보고 있어야 한다. 레벨을 올리는 시간과는 비교도 안 되게 오래 걸리므로 육성 시간 단축에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5.4. 육성 가이드

5.4.1. 어빌리티

공속 제한이 다른 GMS를 제외하면 대체로 첫 줄에 보스 기준 패시브 1레벨 증가, 사냥 기준 재사용 미적용 어빌리티가 선호되는 추세다. 다음은 린에게 유효한 옵션을 전부 기재한다.
  • 공격 속도 1단계 증가 (레전드리 고정)
    GMS 한정으로 공속이 최대 10단계인데, 린은 쓸윈부와 익스그린을 써서 2단계를 추가해도 풀공속이 안 된다. 그래서 GMS는 주로 첫 줄에 뽑는다.[7] 반면 8단계로 제한된 다른 서버에서 이 옵션은 가치를 잃는다.
  • 패시브 스킬 레벨 1 증가(레전드리 고정)
    린의 경우 최종데미지 3% 데미지 2% 마력 4 증가를 추가로 얻는다. 최종데미지가 늘어나니 린에게 있어 도움이 된다. 라라, 카인 등과 같은 맥락이지만, 예외적으로 드롭률을 올려주는 자연의 섭리 강화는 4차 스킬임에도 영향받지 않는다. GMS는 모두 유효하므로 취향껏 고르자.
  • N% 확률로 재사용 대기시간 미적용 (레전드리 최대 20%, 유니크 최대 10%)
    린은 포효와 쪼기를 제외한 모든 스킬에 재사용 대기시간이 존재한다. 사냥에서는 패시브보다 효율이 잘 나온다.
  • 보스 공격 시 데미지 증가(유니크 최대 10%)
    통칭 보공. 직업을 불문하고 무난하게 쓰일 수 있는 옵션이지만, 패시브 레벨 1 증가의 효율이 더 높아 우선 순위는 밀린다.
  • 상태이상에 걸린 적 공격 시 추가 데미지(유니크 최대 8%)
    통칭 상추뎀. 포식자의 일격 스킬이 상태이상을 유발시켜 상추뎀 효과를 항시 받는다. 데미지를 극한으로 올리려면 보공과 함께 쓴다.
  • 아이템 드롭률/메소 획득량 증가(유니크 최대 15%)
    만국공통 광부용 옵션.

6. 그 외 매체에서

7. 여담

  • 용의전인을 대체하면서 나온 묵현과 마찬가지로 비스트테이머를 대체하는 직업이다. 마찬가지로 비스트테이머가 린으로 재탄생하게 되면서, 외형은 물론, 스킬도 판이하게 달라졌다. 별도의 모드가 사라졌으며 서포트 효과로는 생존에 더욱 치중하게 되고, 파티원을 지정해 체력을 지속적으로 회복시켜주는 등 사실상 서포터 직업으로 설계된 듯하다.
  • 마비노기 영웅전의 여성 캐릭터인 린(Lynn)과 이름이 같다. 둘 다 어린 인상에 중화권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출시한 직업인 것이 포인트.
  • 플레임위자드, 키네시스, 라라와 함께 텔레포트 대신 더블 점프를 사용하는 마법사이다.
  • 용의 전인이 묵현으로 변경됐을 때와 같이 이전에 생성했던 비스트테이머 캐릭터로 운영자에게 말을 걸면 린으로 바꿔준다.
  • 기존에 있던 5차 스킬 코어는 전부 조각으로 바뀌었으며[8] 솔 에르다 30개와 조각 1000개를 지급한다.[9] 솔 에르다 관련 보상은 6차 전에도 수령이 가능하다.
  • 비스트테이머와 라라를 섞은 듯한 모습이며 강호 출신의 직업 중 유일하게 일본과 글로벌 서버에 등장한다. 다만 동남아 쪽은 소식이 없고, 한국은 여전히 언급도 없는 걸로 봐선 가망이 없다.[10] 단, 일본과 글로벌 서버는 린이 먼저 추가되어서 강호 지역이라는 표기가 없고, 메이플 월드의 어딘가라고만 표기되어있다. 심지어 GMS 기준 린은 "숲의 아이" 라고만 표기하고 있다. 그럼에도 강호 직업군 공용 스킬은 건재하며 이미 린의 홈타운인 영원의 숲이 공식적으로 강호 지역임이 밝혀진 상황에서 묵현도 나중에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 비스트테이머는 특이한 스킬셋으로 200레벨을 달성해도 모든 스킬을 마스터할 수 없었지만, 린으로 변경된 뒤 모두 마스터할 수 있게 되었다. 스토리도 전면 개편되고 헬레나를 만나는 장면이 추가되어 연합의 의지 스킬을 얻을 수 있다.
  • 비스트테이머 때와 정반대로 스토리는 심각하게 암울하고 절망적인 분위기가 흐른다. 컷씬에서도 린이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A] 출처[A] [3] JMS에서는 논(ノン)[4] 인게임 도트도 자세히 살펴보면 남캐도 장발임을 알 수 있다.[스포일러] 그 이유는 3대 린이 배신을 하며 위해를 입히고 도망갔기 때문. 4대 린도 결국 숲을 떠나버렸으니, 인간에 대한 신뢰를 잃은 상황이었다.[6] KMS에서 돌진기가 있는 마법사 계열 직업은 배틀메이지가 유일하다.[7] 이건 린 외에도 자력 풀공속이 안 되는 직업들이 필수로 뽑는다. 대표적으로 칸나.[8] 스인미와 크오솔만 남아있다.[9] NEW AGE 업데이트 당시 비스트테이머만 6차 스킬이 안 나와서 솔 에르다나 조각을 얻기는커녕 6차 전직 자체가 불가능했다.[10] 하야토와 칸나야 왜색 문제, 묵현은 대놓고 중화권 국가를 노리고 나왔기 때문에 출시를 못 하더라도, 린은 특정 국가의 모습이 부각되거나 영향받지 않았음에도 소식이 없어 어째서 국내 서버에 출시할 생각을 안 하는지 의문을 품는 한국 유저들이 많다. 하지만 강원기 체제 때부터 해외 서버 직업은 출시 계획이 없다고 발언한 만큼, 김창섭 체제에서도 해외 직업이 나올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