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16:55:44

곤복

면복에서 넘어옴

1. 개요2. 면복
2.1. 한국사에서2.2. 여담2.3. 같이보기
3. 곤룡포의 한 종류

1. 개요

전근대 중국 황제의 의복, 고대의 가장 고귀한 의복 중 하나이다. 중국 뿐 아니라 조선 등 중국의 영향을 받은 동아시아 국가들에서도 도입된 복식이다.

곤복()은 중국 왕조에서 군주가 즉위식, 책봉식, 종묘제례 등 국가 행사시에 착용하던 복장으로, 면류관과 세트로 착용한다. 항상 면류관과 함께 착용하기 때문에 면류관의 면 자와 곤복의 복 자를 합쳐 면복이라고도 부른다.
황제만의 의복이라는 오해가 있지만 그 밑의 왕과 고관들도 입었다. 조복보다도 격식이 높은 최상위 복식이다.

중국 왕조 중 명나라는 곤복이라 부른 곤룡포가 있다.

파일:cj57301.jpg

세부 명칭

파일:d83b9621777f348fb1a284be1d637fae.jpg

명대 곤복

2. 면복

파일:414ad6a.jpg

원래 면류관과 마찬가지로 고대 중국에서는 황제의 일상 복장이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커져 면류관이 복두관이나 익선관에 일상용 왕관의 자리를 내준 것처럼 곤복도 곤룡포에 일상복 자리를 내주고 의례용으로 변했다. 군대로 말하자면 장군들이 입는 예복처럼 변한 것이다.

곤복은 한 벌의 옷이 아니고 여러 벌의 옷이 세트로 겹쳐진 구조를 하고 있다.[1] 옷에는 군주권을 상징하는 문양이 들어 있는데, 명나라 황제는 12가지 문양이 그려진 12장복을, 황태자와 친왕은 9가지 문양이 그려진 9장복을, 친왕세자는 7가지 문양이 그려진 7장복을 입었다.

12가지 문양은 다음과 같다.
  • 일(日) - 해.
  • 월(月) - 달.
  • 성신(星晨) - 별자리.
  • 용(龍) - 전설의 동물이자 군주의 상징인 용.
  • 산(山) - 높은 산.
  • 화(火) - 불꽃.
  • 화충(華蟲) - 꿩.
  • 종이(宗彛) - 동물이 그려진 옛 술잔.
  • 조(藻) - 해초.
  • 분미(粉米) - 쌀알.
  • 보(黼) - 왕권을 상징하는 부월.
  • 불(黻) - '己'자 두 개를 서로 반대로 하여 왕권을 상징하는 문양.

의(衣, 여기서는 상의)는 문양을 그리고 상(裳, 치마라는 의미지만 여기서는 하의)에 문양을 수놓는데 이는 음양오행설에 따른 것이다. 의는 양 속성이므로 양 속성인 그림을 그리고 상은 음 속성이므로 음 속성인 수를 놓은 것인데 아마도 그림은 주로 남성이 맡았고 수는 주로 여성이 놓기 때문에 그림을 양, 자수를 음으로 본 것으로 보인다.

2.1. 한국사에서

최초로 중국식 면복을 도입한 국가는 고려이다. 정확히 어떤 군주 대에 도입됐는지는 사료 부족으로 알 수 없다.

고려사 의복지엔 제10대 군주인 정종 대부터 송나라, 요나라가 면복을 보내준 기록이 있다. 보통 문양 3개를 뺀 9장복이었고 가끔 태자의 면복도 하사됐다. 보내준 면복을 고려가 실제로 착용했는지는 미지인데 송나라, 요나라에서 보내준 물건은 송나라, 요나라의 사신이 왔을 때만 사용하고 평상시엔 자국의 문물을 쓰는 것이 상례였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2]

고려 15대 군주인 숙종 대엔 오등작에 분봉된 왕자에게 '9장의 의복'을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제후로 봉한 것을 비유한건지 정말 9장복을 주었다는 건지는 알 수 없다. 고려가 직접 상정한 기록으로는 제17대 군주인 인종이 '9류면 7장복'을 입은 것이 최초다.

18대 의종은 다음과 같이 상정했다. 의(衣)엔 산(山), 용(龍), 화충(華蟲), 화(火), 종이(宗彛)를 그리고[3] 상(裳)엔 조(藻), 분미(粉米), 보(黼), 불(黻)을 수놓았다. 여기다 9류 12옥 면류관[4]까지 합쳐 '9류면 9장복'을 입는다고 기록했다. 또한 7장, 5장, 3장복을 제정했다.

31대 공민왕은 원 간섭기로 인해 폐지된 이전의 체제를 복구했는데, 이 때 '12류면 12장복'을 제정했다. 하지만 얼마 못가 명나라가 보내준 '9류면 9장복'을 입게 된다. 옷에 붙은 문양은 의종 대와 같다.
파일:attachment/hwomyung123.jpg
7장복을 입은 효명세자 어진. 반쯤 불탔지만 소매에 그려진 화, 화충, 종이 문양을 확인할 수 있다.
면복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조선왕조 대부터다. 조선의 군주는 일, 월, 성신 3개를 뺀 9장복을, 왕세자는 일, 월, 성신, 용, 산을 뺀 7장복을 입었다.
파일:external/www.royalark.net/korea-Yi%20Ku.jpg
회은황태손 이구.
대한제국이 성립된 후에는 곤룡포의 경우처럼 황제의 복식인 12장복을 도입하였고 황태자가 9장복으로 승격되었다.

2.2. 여담

  • 명나라 정통제토목보의 변으로 몽골에 사로잡혀 갔다 돌아와 복위한 후 황제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그때까지 몸 앞뒤와 어깨의 용 장식 외에는 다른 문양이 없던 곤룡포에도 면복처럼 12가지 문양을 새기게 했다. 비슷한 경우로 청나라의 곤룡포 또한 강희제 치세부터 황제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무늬가 화려해졌다.
  • 잘 알려지 있지 않지만 일본도 비교적 최근까지 입었다.링크

파일:20200125190713.jpg

에도시대 즉위식에 입었던 12장복의 복제품

2.3. 같이보기

3. 곤룡포의 한 종류

파일:external/ww3.sinaimg.cn/0065zVshgw1fav9td09owj30fa0a3ju3.jpg 파일:external/ww4.sinaimg.cn/0065zVshgw1fav9tfkc8mj30sg0gkdit.jpg 파일:external/ww1.sinaimg.cn/0065zVshgw1fav9tduupuj30d0089q51.jpg 명나라 만력제의 무덤인 정릉에서 출토된 곤복 복제품 3착.[5][6]

명나라 황제 용포의 한 종류로 곤복으로 불린다. 발굴 될 당시, 옷에 제작날짜와 곤복이라는 명칭이 적힌 종이가 부착되거나 글자가 새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면류관을 쓸 때 입는 현색(玄色: 검은색)의 곤복과 구분하기 위해, 옷의 특징인 12개의 용보(龍補: 둥근 용흉배)와 12장 무늬가 들어갔다하여 '12단용(團龍:둥근 용) 12장 곤복'으로도 불린다. 이를 줄여 '12장 곤복'으로도 부르며, 그냥 곤복으로 부를 경우에는 현색 곤복을 곤면[7]으로 불러 차이를 두기도 한다.

정확한 등장 시점과 구체적인 사용에 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것이 없으나 정통제어진에서부터 보이기 때문에 그 무렵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제왕의 최고 등급 관복인 곤면(현색 곤복)에 들어가는 12장 무늬가 있어 그와 동등한 최상위의 용포였을 것으로 보여진다. 우리나라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명황제의 곤복 사용을 간접적으로 엿볼 수 있는 기록들이 보인다. 성종중종 실록[8][9]의 기사에서는 '명 황제가 하늘에 제사지낼 때 황색의 용포를 입는다'며 명나라에 다녀왔던 신하들의 말을 전하고 있다. 원래 하늘에 제사 지낼 때에는 면류관을 쓰고, 현색의 곤복을 입어야 하는데 황색을 입었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이 때는 정통제 시기가 지난, 즉 12장 곤복이 등장한 이후다. 모든 대신들은 제복(祭服)을 입는 이 엄중한 국가 의례 때 입을 수 있는 황색 용포는 무엇일까? 바로 현색 곤복과 똑같은 12장 문양이 들어가는 12장 곤복 밖에 없을 것이다. 때문에 관련 학계에서는 12장 곤복이 등장하면서 현색 곤복을 일정부분 대체하여 착용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어진을 그린다거나 큰 의례 때가 아닌 평시에는 기본적으로 용보가 4개인 용포라던가 직신(直身), 어깨와 가슴에 구름처럼 모양을 낸 운견(雲肩)과 팔쪽의 긴 통수(通袖) 및 용포 아랫단에 가로로 길게 만든 슬란(스란;膝襴,膝欄)무늬에 각각 용 문양을 더한 화려한 옷 등을 입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붉은색과 청색 및 녹색 그리고 황색, 자색 등 다채로운 색감을 썼다. 실제로 만력제가 교육을 받거나, 업무 활동 등을 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는 회화자료들에서 이러한 용포들을 입고 있으며, 정릉에서도 12장 곤복이 겨우 5착인 것에 비해 다른 용포들은 압도적으로 많이 출토되었다.
파일:external/ww2.sinaimg.cn/0065zVshgw1favdwu2w1cj308q0aqmyj.jpg 파일:external/ww4.sinaimg.cn/0065zVshgw1favdwvlpysj307u0aoabc.jpg 파일:만력 5년.png 파일:external/ww1.sinaimg.cn/0065zVshgw1favdx0jnxhj30d50gjtc7.jpg
황포(黃袍) 차림으로 일강(日講) 듣는 중인 만력제_1585년. 운견통수용란포(雲肩通袖龍襴袍) 차림으로 경연(經筵) 중인 만력제_1583년. 운견통수용란포 차림으로 어문청정(禦門聽政) 중인 만력제_1577년. 4단용포 차림으로 알릉(謁陵)하고 돌아오는 만력제.
파일:만력13년.png
청포(靑袍) 차림으로 천단(天壇)에 기우(祈雨) 지내러 가는 중인 만력제_1585년 4월 16일.

명나라 시대에는 용보가 4개인 용포를 제외하고, 거기에서 더 늘어나 8개인 용포와 12장 곤복 그리고 운견과 슬란무늬를 화려하게 수놓은 용포 등을 길복(吉服)으로 통칭하여 부르기도 하였다.[10]
파일:external/ww4.sinaimg.cn/0065zVshgw1favgaet1kij30o70ebgmo.jpg 파일:external/ww3.sinaimg.cn/0065zVshgw1favgagr2gvj30go09xwey.jpg
만력제의 무덤에서 출토 된 류황색 4단용 원령포 유물. 황색 4단용 원령포 이미지화.[11]
파일:external/ww4.sinaimg.cn/0065zVshgw1favgae0pmdj30ge0argn0.jpg 파일:직신.jpg
대홍색 8단용 원령포 복제품. 청색 4단용 직신(직령) 유물.
파일:만력용포01.jpg
대홍색 운견통수용란 친습포 복제품.

[1] 방심곡령은 제례 때에만 착용하던 것이다.[2] 군주의 도장 역시 송나라, 요나라에서 보내왔지만 고려는 자체적으로 국새를 만들어 썼다.[3] 일, 월, 성신이 빠졌다.[4] 총 9줄을 느려뜨리고 각 줄에 12개의 옥을 끼웠다. 옥은 푸른색, 하얀색, 빨간색을 썼다.[5] 총 5착(황색1, 홍색4)의 곤복이 출토되었으며, 홍색 중 하나를 만력제가 입고있었다. 입고있던 것은 다른 하나를 포함하여 복제되지 못했다.[6] 기본적으로 12장 문양과 용보 12개를 색실을 이용하여 짜넣거나 수를 놓았으며 만()자와 복을 상징하는 박쥐, 여의(如意) 및 수(壽)자 문양을 넣은 것들도 있다.[7] 곤면은 곤복+면류관을 뜻하는 것으로 어차피 현색 곤복을 입을 때 면류관을 쓰기 때문에 뭉뜽그려 부르는 것임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엄밀히 따지자면 곤복 자체만을 곤면으로 부르면 안되는 것이다.[8] 성종실록 19년 윤1월 28일 기사[9] 중종실록 23년 3월 25일 기사[10] 청나라 시대에는 길복이라는 관복이 따로 있기 때문에 용보가 많다거나 화려하다고 아무 옷이나 길복으로 불러서는 안된다.[11] 옆의 유물과 같은 용포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