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캠퍼스 정보 | |||||
인문캠퍼스 | 자연캠퍼스 | |||||
대학 정보 | ||||||
학부 | 대학원 | 연구소 | ||||
이념과 상징 | 역사 | 총장 | ||||
중앙도서관 ( 인문 / 자연 ) | 박물관 | 명지학원 | ||||
학생 정보 | ||||||
학사 제도 | 동아리 | 학내 언론 | ||||
학생정보시스템 (MSI) | 총학생회 | 학교생활 (주변상권) | ||||
학생 커뮤니티 | 교통 | 기숙사 | ||||
기타 정보 | ||||||
부속 기관 | 사건 사고 | 출신 인물 | ||||
명지전문대학 | 입시 | 산학협력단 | ||||
미래교육원 | 체육부 | 미래정책센터 |
1. 개요
명지대학교 미래정책센터 홈페이지명지대학교의 일반연구소 중 하나다.
2. 상세
2019년 5월 1일, 명지대학교가 본교의 사회과학대 정치외교학과 윤종빈 교수를 소장으로 설립한 연구소다. 한국사회의 ‘소통과 통합’을 위한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구체적 정책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3. 단기목표
- A SHORT-RANGE OBJECTIVE
4. 장기 목표
- LONG-TERM OBJECTIVE
5. 연혁 및 주요활동
5.1. 2019년
2019년 8월 |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SSK) 대형연구센터 선정 |
2019년 9월 | 미래정책센터 설립 및 출범 |
2019년 10월 | 1차년도 제1차 월례발표회 |
2019년 11월 | 대형단계 1차년도 제2차 월례발표회 제1차 '융합-네트워크 콜로키움' 제1차 시민교육프로그램 ‘빅데이터 특강: 빅데이터와 사회 변화' |
2019년 12월 | 대형단계 1차년도 제3차 월례발표회 제2차 '융합-네트워크 콜로키움' 제1차 해외전문가초청간담회 |
5.2. 2020년
2020년 1월 | 대형단계 1차년도 제4차 월례발표회 제3차 '융합-네트워크 콜로키움' 제1차 전문가초청간담회 |
2020년 2월 | 대형단계 1차년도 제5차 월례발표회 제4차 '융합-네트워크 콜로키움' |
2020년 3월 | 대형단계 1차년도 제6차 월례발표회 |
6. 주요인원
- 센터장 윤종빈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부센터장 정회옥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6.1. 연구교수
- 김기태 (명지대 미래정책센터 연구교수)
- 박지영 (명지대 미래정책센터 연구교수)
- 정수현 (명지대 미래정책센터 연구교수)
6.2. 연구위원
- 김하나 (단국대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문신일 (명지대 디지털미디어학과 교수)
- 박경미 (충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유성진 (이화여대 스크랜튼학부 교수)
- 신정섭 (숭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장승진 (국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정동준 (인하대 사회교육과 교수)
- 한의석 (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한정훈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6.3. 미래정치연구 편집장
- 장훈 (중앙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하세헌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