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71796 0%, #171796 30%, #171796 70%, #17179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트르피미로비치 왕조 | ||||
포르가 | 보르나 | 블라디슬라브 | 류도미슬 | ||
미슬라브 | 트르피미르 1세 | 도마고이 | 일리코 | ||
즈데슬라브 | 브라니미르 | 문치미르 | 토미슬라브 | ||
크로아티아 공작 · 크로아트 국왕 · 크로아티아 국왕 크로아티아 독립국 국왕 · 크로아티아 대통령 |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크로아티아 반 문치미르 Muncimir | ||
제호 | 문치미르 (Muncimir) | |
출생 | 미상 | |
사망 | 910년 (향년 불명) | |
재위 | 크로아티아 공국의 반 | |
892년 ~ 910년 |
[clearfix]
1. 개요
기록상에서 전해지는 크로아티아 공국의 10번째 반(Ban).2. 행적
892년에 크로아티아 당국이 발간한 헌장에 따르면, 문치미르는 트르피미르 1세의 아들이라고 한다. 전임 반 브라니미르는 트르피미르 가문 출신이 아니었기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브라니미르가 사망한 뒤 문치미르가 정변을 일으켜 권좌를 탈환했을 거라고 추정한다. 하지만 기록이 부족해 사실 여부는 알 수 없다. 헌장은 닌 교구와 스플리트 대교구가 트르피미르 1세갸 852년에 토지를 기부한 일을 놓고 벌인 분쟁을 다뤘다. 닌 교구는 트르피미르 1세가 말리 코자크(Mali Kozjak) 산의 경사면인 푸탈리에 세워진 성 유르자 교회에 기부했을 때 푸탈리의 재산을 영구적으로 넘긴 게 아니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문치미르는 닌 주교의 진술이 틀렸다는 결론을 내리고 아버지의 기부를 재확인했다.동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노스 7세는 <제국의 통치에 관하여>(De administrando imperio)에서 문치미르 통치 기간의 크로아티아 공국의 영역을 언급했다. 이에 따르면, 크로아티아 공국은 북쪽의 쿠파 강과 그보즈드강에서 남쪽의 세티나 강과 비오코보 강까지 뻗었으며, 네레트바 강에서는 훔 지역과 접했으며, 드리나 강까지 크로아티아 내륙으로 확장되었다고 한다. 또한 크로아티아 공국은 11개의 주로 나뉘었고, 3개 교구가 여기에 추가되었다고 한다. 또한 문치미르는 달마티아 해안가의 도시들로부터 경의를 받고 공물을 받았으며, 왕실 장관(iupanus palatinus), 철퇴 운반자(maccecharius iupanus), 신랑(cavallarius iupanus), 시종(camerarius iupanus), 잔 운반자(pincernarius iupanus)로 둘러싸였고, 자신만의 인장(annulo nostro)을 휴대했다고 한다.
한편, 문치미르는 남쪽의 라쉬카 공국에서 페타르 고이니코비치가 망명하자 그를 용숭하게 대접했으며, 나중에 라쉬카의 공작위를 회복할 수 있도록 원조했다. 896년 마자르족들이 판노니아 평원으로 이주해 오면서 판노니아 크로아티아 공국을 쳐 브라슬라브를 죽이면서 크로아티아와 국경을 접하게 되었다.
문치미르가 언제 사망했는지는 불확실하나, 스플리트 대주교 토마스가 쓴 13세기 연대기 <히스토리아 살로니타나(Historia Salonitana)>에서 뒤이어 반이 된 토미슬라브가 914년에 벌어진 사건에 언급된 것을 봤을 때 914년 이전에 사망했을 것이며, 910년경이었을 거라는 의견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토미슬라브가 그의 아들인지는 불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