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13:11:07

미국 수어



수어
Sign language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미국 수어 · 니카라과 수어 · 한국 수어 · 멕시코 수어 · 영국 수어 · 네덜란드 수어 · 독일 수어 · 수도원 수어}}}}}}}}}
미국 수어
American Sign language, ASL
<colcolor=#fff><colbgcolor=#6F186F> 유형 수어
계통 프랑스수어족
프랑스수어파
서부프랑스수어군
미국 수어
주요 사용 지역 미국
캐나다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언어
코드
<colcolor=#fff><colbgcolor=#6F186F> ISO 639-2 -
ISO 639-3 ase

1. 개요2. 역사3. 분류4. 기타5. 예시

[clearfix]

1. 개요

American Sign Language, ASL

프랑스수어족에 속한 수어로 미국, 캐나다, 아프리카 등에서 쓰인다. 세계적인 규모로 봤을때, 가장 많이 쓰이는 수어 중 하나다.

2. 역사

17세기 경에 고대 프랑스 수어에서 파생된 수어로, 1952년까지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마서즈비니아드 섬에서 쓰였던 마서즈비니아드 수어(Martha's Vineyard Sign Language)의 영향을 받은 크리올어다. 마서즈비니아드 수어는 17세기 경까지 영국켄트 주에서 쓰였던 고대 켄트 수어의 후손 언어인데, 1620년에 플리머스 식민지가 건설된 후에 고대 켄트 수어의 화자들이 당시 영국령이던 뉴잉글랜드에 유입되면서 형성되었다. 미국 수어는 18세기 중반에 고대 프랑스 수어에 기반하여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실시될 때 마서즈비니아드 수어를 기층언어로 하여 형성된 크리올어이며, 때문에 미국이 위치한 북아메리카프랑스가 지리적으로 매우 멀리 떨어져있다는 점과 합쳐져서 다른 프랑스수어족 소속 수어들과는 전혀 다른 발전 과정을 거쳤다.

1817년에 미국 최초의 청각장애인 학교인 미국청각장애인학교가 코네티컷 주의 하트포드에 설립되면서 미국 수어로 된 공교육이 본격적으로 실시되었는데, 이후로 19세기 말에 미국의 언어학자이자 공학자인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1]이 미국 내 청각장애인에 대한 공교육을 지원하는 운동을 전개하면서, 미국 수어가 본격적으로 미국 전역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 이때 미국의 국력이 열강의 반열에 들 정도로 크게 신장하면서 미국식 공교육 커리큘럼이 전세계 여러나라에 전파되었는데, 이로 인해 미국 수어가 전세계로 널리 전파되면서 많은 하위 방언들로 분화되었다.

3. 분류

미국 수어는 프랑스수어족의 프랑스수어파 서부프랑스수어군[2]에 속하는데, 1991년에 캐나다의 언어학자인 앙리 위트만이 발표한 논문[3]에 의하면 다음의 하위 방언으로 나뉜다.

그리고 동일 논문에서 에스키모 수어가 미국 수어의 방언이라는 가설이 제안되었으나, 이 언어는 이누이트 수어의 방언이라는 설이 더 우세하다[6].

미국 수어의 방언은 미국 밖에서도 대거 발견되는데, 이는 미국이 초강대국으로서 가지는 독보적인 국제적 위상으로 인해, 미국의 청각장애인 교육의 커리큘럼을 타국에서 지속적으로 벤치마킹했던 결과다. 그래서 미국 수어는 대부분의 방언이 19세기에서 20세기 중에 분화되었다.

4. 기타

미국 수어 위키백과의 시범판이 만들어지고 있는 중이다.[7] # 만약 이 시범판이 정식 위키백과로 승격된다면, 최초로 수어로 된 버전의 위키백과가 탄생하게 된다.

5. 예시

미국 수어로 말하는 세계 인권 선언 전문

[1] 전화기의 최초 발명자라고 잘못 알려진 그 벨 맞다. 왜 최초 발명자가 아니라고 하는지는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문서를 참고하길 바란다.[2] 프랑스 수어네덜란드 수어, 브라질 수어 등이 여기에 속한다.[3] Wittmann, Henri (1991). "Classification linguistique des langues signées non vocalement." Revue québécoise de linguistique théorique et appliquée 10:1.215–88.[4] 1960년경부터 쓰였다고 추정되는데, 이 언어가 미국 수어에서 직접 분화되었는지, 말레이시아 수어의 하위 방언인지는 불분명하다. 참고로 말레이시아 수어는 미국 수어의 방언인데, 2008년에 말레이시아 정부가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공교육을 체계화하면서 처음으로 문법과 어휘의 표준화가 이루어졌다.[5] 1987년경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6] 참고로 이누이트 수어고립어에 속한다.[7] 이런 위키의 시범판을 만드는 위키미디어 재단 산하의 프로젝트가 바로 위키미디어 인큐베이터다. 실제 정식 위키로 승격시킬지의 여부는 위키미디어 재단을 총괄하는 메타 위키에서 논의해서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