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카 리차즈의 역임 직책 | |||||
{{{#!folding ▼ | 아스톤 빌라 FC 주장 | ||||
론 플라르 (2012~2015) | ▶ | 마이카 리차즈 (2015~2016) | ▶ | 제임스 체스터 (2016~2017) |
Manchester City Football Club Ambassador | ||
<colbgcolor=#98c5e9> 이름 | 마이카 리차즈 Micah Richards | |
본명 | 마이카 링컨 리차즈[1] Micah Lincoln Richards | |
출생 | 1988년 6월 24일 ([age(1988-06-24)]세) | |
잉글랜드 웨스트 미들랜즈주 버밍엄 | ||
국적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잉글랜드| ]][[틀:국기| ]][[틀:국기| ]]) | [[세인트키츠 네비스|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키 180cm / 체중 82kg | |
직업 | 축구 선수 (라이트백, 센터백 / 은퇴)[2] 방송인 | |
소속 | <colbgcolor=#98c5e9> 유스 | 리즈 유나이티드 FC (1996~1998) 파슬리 셀틱 AFC (1998~2000) 올덤 애슬레틱 AFC (2000~2001) 맨체스터 시티 FC (2001~2005) |
프로 | 맨체스터 시티 FC (2005~2015) → ACF 피오렌티나 (2014~2015 / 임대) 아스톤 빌라 FC (2015~2019) | |
국가대표 | 13경기 1골 (잉글랜드 / 2006~2012) | |
SNS | | |
[clearfix]
1. 개요
잉글랜드의 前 축구 선수. 선수 시절 포지션은 수비수.맨체스터 시티 FC 유스 출신 선수로 어릴 때부터 잉글랜드 최고의 기대주였다. 2006년 잉글랜드 대표팀의 당시 최연소 데뷔 기록을 갈아치운 바 있지만, 취약적인 유리몸으로 인해 본인의 기량을 만개하지 못한 아쉬운 선수다.
국내에서는 Micah를 미카로 읽어서 미카 리차즈로 표기되는 경우도 제법 있다.
2. 클럽 경력
자세한 내용은 마이카 리차즈/클럽 경력 문서 참고하십시오.3. 국가대표 경력
마이카는 아버지가 세인트키츠 네비스의 수도 바스테르에서 1960년대에 잉글랜드로 이주한 사람이어서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외에 세인트키츠 네비스 축구 국가대표팀도 선택할 수 있었다.2006년 8월 잉글랜드 U-21 국가대표팀에 뽑혀 경기에 뛰던 마이카는 2006년 11월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과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친선경기에 출전하는 성인대표팀 명단에 발탁되어 이전에 부상을 입은 게리 네빌을 대신해 그 경기에서 풀타임을 뛰었다. 이 경기에 출전하면서 마이카는 리오 퍼디난드를 제치고 잉글랜드 성인대표팀 경기에 출전한 역대 최연소 수비수가 되었다.
하지만 파비오 카펠로 감독이 부임한 이후 대표팀에서 쫓겨났고, 그 이후 카펠로가 대표팀을 떠날 때까지 성인 국가대표팀에서 출전하지 못하고 U-21 국가대표팀에서 주로 출전했다.
하지만 2012년 여름, 2012 런던 올림픽/축구를 앞두고 결성된 영국 단일팀에 크레이그 벨라미, 라이언 긱스와 함께 와일드 카드로 선발되었다. 8강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세트피스 상황에서 정성룡과 충돌로 부상[3] 으로 크레이그 도슨과 교체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압도적인 신체능력을 바탕으로 공수 양면에서 상대를 찍어 누르는 플레이가 돋보이는 공격적인 풀백이었다.
리차즈의 신체능력은 동기간 리그에서 다섯손가락 안에 꼽히는 수준이었다. 단단한 상체근육을 바탕으로 한 강력한 몸싸움을 지녔고, 발도 빨랐다. 180cm의 키도 풀백 기준으로는 평균 이상의 키였기 때문에 측면에서 리차즈가 신체능력을 바탕으로 보여주는 파괴력은 어마어마했다. 피지컬로 상대를 찍어누르고 측면을 파고드는 공격적인 돌파 능력은 마치 한 마리의 황소를 연상케 할 정도. 수비에서도 이를 바탕으로 몸싸움을 통해 상대 공격수와 몸을 비비는 상황에서 상당한 우위를 점했으며, 점프력이 좋고 헤더를 잘 해서 수비 시는 물론이고 세트피스 상황에서 공중볼 옵션으로도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다만 수비 지능이 부족하고 공격적인 성향이 강해 뒷공간을 쉽게 허용한다거나 상대 윙포워드를 놓친다거나 하는 모습이 나오는 점은 약점이었다. 그래서 프로 초년생 시절에는 센터백으로 자주 나섰지만, 시간이 지나며 우측 풀백으로 정착했다.
폼이 절정이던 2011-12 시즌만 해도 리그 정상급 풀백이라는 평가까지 들을 정도로 성장했는데, 당시 리차즈의 나이는 고작 24세였다. 못해도 5년은 더 전성기를 누리며 맨시티와 잉글랜드 대표팀의 우측면을 든든히 맡아줄 선수로 기대받았지만, 그러나 그런 리차즈의 발목을 제대로 잡은 것은 바로 잦은 부상. 그것도 평범히 부상이 잦은 수준도 아니고 역대급 유리몸 소리를 들을 정도로 부상이 잦았다. 이로 인해 리차즈의 성장세는 완전히 꺾이고 그저 그런 선수로 전락하게 되는데, 자세한 내용은 다음 문단을 참조.
4.1. 잦은 부상과 폼 하락
리차즈는 가히 역사에 남을 만 한 유리몸이다. 장기 부상도 당하고, 단기 부상도 많은 정말 유리몸의 완전체 수준. 트랜스퍼마크트에 등재된 리차즈의 부상 이력이다.
부상 내역을 보면 무릎, 햄스트링, 복사뼈, 허벅지 등 다양한 부위에 걸쳐서 부상을 당했음을 알 수 있다. 심지어 여기 등재된 부상 이력은 이런저런 잔부상들 몇개는 기록조차 되지 않은 상태라는 점에서 얼마나 심한 유리몸인지 잘 알 수 있다. 부상 기록을 잘 보면 주전으로 맹활약하던 유망주 시절 부상으로 한동안 고생하다가 주전으로 도약한 뒤 2011-12 시즌까지는 거의 부상이 없으나, 2012-13 시즌에 당한 장기부상 이후로 다시금 완전히 유리몸으로 추락해버린 것을 볼 수 있다.
리차즈가 유리몸이 되어 부상으로 시달리는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리차즈의 최대 강점이라는 피지컬에 있는데, 근육량이 너무 많다보니 뼈와 인대가 근육을 버텨내지를 못하고 끊어지는 것. 때문에 신의 재능을 인간의 몸이 버티지 못했다는 말도 있다. 그렇다고 근육량을 줄이자니 이건 리차즈의 강점을 거의 포기하라는 이야기와 다름없다보니 아이러니에 빠지게 된다. 이와 비슷한 케이스로는 말라깽이에서 육체 개조수준으로 펌핑을 한 앤디 캐롤이나 타고난 근육 떡대 오구치 오니우, 그리고 2002 한일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수비진을 초토화 시켜버린 크리스티안 비에리가 있다. 그나마 몸 상태가 양호한 시즌이 많았던 비에리를 제외하면 전부 FC Hospital 고정 멤버(...). 타 종목에도 정상호라는 리차즈와 아주 유사한 유리몸 사례가 있다.[4]
이러한 잦은 부상은 리차즈의 폼이 망가지는데 제대로 일조하고 말았다. 커리어 하이를 찍은 2011-12 시즌에 단 24세에 불과했건만 바로 다음 시즌인 2012-13 시즌에 당한 무릎 부상이 치명적이었는데, 신체 능력에 많이 의존하는 플레이 스타일이던 리차즈에게 무릎 수술로 인한 신체 능력 감소는 치명타였다. 그래도 워낙 근육질의 몸이라 몸싸움은 여전히 준수했으나 스피드가 크게 감소하면서 예전과 같은 폭발적인 돌파를 볼 수 없게 되었고, 수비에서도 속도 감소로 인해 고전하면서 풀백 자리를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데뷔 초기 포지션인 센터백으로 돌아갔으나, 여기서는 리차즈의 고질적인 단점이던 수비 지능 문제가 발목을 잡으면서 당최 PL에서 써먹기 힘든 수비수가 되고 말았다.
아스톤 빌라 FC 이적 이후에는 팀 강등의 주범으로 찍힐 정도로 망가졌는데, 빌라 시절 리차즈의 나이는 20대 후반에서 이제 막 30대에 접어드는, 축구선수로서 신체능력과 경험이 어우러져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어야 할 나이였다. 결국 심각한 장기부상과 이로 인한 잦은 부상, 그 영향을 받은 폼 하락이 전성기는 물론 축구선수로서의 생명을 극도로 단축시키고 만 것. 리차즈가 빌라를 떠나고 결국 은퇴를 선택한 2019년 당시 리차즈의 나이는 고작 31세에 불과했다.
공교롭게도 리차즈 이후로도 맨시티에서는 리차즈와 비슷한 길을 걷는 수비수가 두 명이나 더 등장하게 된다. 센터백으로서 압도적인 피지컬은 매력적이었으나 수비 지능이 치명적으로 발목을 잡고, 부상으로 신체 능력마저 하락해 팀을 떠난 케이스로는 엘리아킴 망갈라가 있었고, 풀백으로서 압도적인 신체 능력을 활용해 폭발력을 보여줬으나 무릎 장기 부상 이후 폼이 망가진 케이스로는 뱅자맹 멘디가 있다.[5]
공교롭게도 리차즈 이후 첼시 FC 소속이자 똑같이 잉글랜드 국적의 라이트백 후배인 리스 제임스가 리차즈와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둘 다 신장에 비해 무거운 몸무게와 뛰어난 신체 능력을 가졌는데 제임스 역시 21시즌 햄스트링 파열 이후 부상 - 복귀 - 몇 경기 내 재부상 - 복귀 - 복귀 후 부상을 반복하고 있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맨체스터 시티 FC (2005~2015)
5.2. 개인 수상
- 프리미어 리그 이달의 선수: 2007년 8월
6. 여담
- 생활에서는 장난을 좋아하는 분위기메이커형으로 트위터를 읽으면 상당히 재밌다. 자신의 부상을 가지고 시티 직원들에게 장난친 적도 있다. #
- 국내 축구 게임계에서는 실제 활약상보다 꽤나 사랑받았던 선수. 한때 피파 온라인 2, 피파 온라인 3의 대표적인 가성비 수비수로 손꼽혔다. 12→13시즌 리차즈는 실제 폼과 카드 가격에 비해 몸싸움을 중시한 엔진으로 인해 성능이 무진장 좋았으며, 10시즌 마이콘, 07시즌 아비달 등과 함께 대표 풀백으로 손꼽혔다. 2013년 11월 패치 때 시즌 자릿수가 바뀌며 성능이 칼같이 깎일 것이라 예상했음에도 큰 너프를 받지 않아서 입지를 꽤 오랬동안 이어갔다. 허나 3월 업데이트 때 큰 너프를 받을 거란 예상이 나왔고, 결국 오버롤 3이 깎이는 대형 너프를 당했다. 그럼에도 워낙에 긴 시간동안 저렴한 가격과 사기적인 피지컬로 게임이 없어진 지금도 시대를 풍미한 '국민 수비수' 로 전 유저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 2007년 한 호텔 화장실에서 한 여성을 상대로 팀 동료들과 함께 스리섬을 즐기는 동영상이 유출되는 사건으로 인해 구설수에 올랐으며, 2010년에는 자신에 대한 허위 사실이 담긴 사진들이 인터넷에 유포되어 곤욕을 치른 바 있다. 또한 2009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한 나이트클럽에서 폭행 시비에 휘말리기도 했다.
- 2017년의 마지막 날에 영국의 한 일간지에서 모르간 슈나이덜린이 맨체스터의 한 볼링장에 다녀간 유명한 사람들 중 랭킹 2위에 올랐다며 기사를 냈는데 해당 사진에서 슈나이덜린보다도 높은 점수를 기록하고 있던 단 한 명의 사람이 바로 마이카 리차즈이다. 슈나이덜린은 189점, 마이카 리차즈는 197점의 점수를 기록했다.
- 상술되었듯이 은퇴 후에는 스카이 스포츠, CBS 등에서 축구 패널로 활동하고 있다. 유쾌한 성격은 여전해서 축구계 대표 웃음벨로 통하며 방송중에 호탕하게 큰 리액션을 보이는 것으로 유명하다. 기분 나쁠법한 말을 듣거나 무례한 행위를 당해도 웃어넘기는 분위기 메이커. 심지어는 로이 킨에게 허그 한 번 해달라고 앵기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방송에서의 별명은 'Big Meek', 즉 덩치큰 순둥이. 2020년부터는 미국 CBS의 챔피언스 리그 프리뷰쇼 패널로 출연 중인데, 여기서도 패널 중 유일하게 챔스 우승이 없다는 이유로 놀림을 당한다. 그도 그럴 것이 함께 출연 중인 패널이 티에리 앙리[6], 제이미 캐러거[7], 피터 슈마이켈[8]이다. CBS에서는 챔스 프리뷰쇼를 시작할 때마다 아예 그를 놀리는 멘트로 시작하는 것이 정례 행사다. 진행자가 "저와 같이 진행할 패널은 바르셀로나의 챔스 우승자 티에리 앙리, 리버풀의 챔스 우승자 제이미 캐러거, 그리고 챔스에서 5번 뛰어본 마이카 리차즈입니다."[9] 같이 소개하는 식이다. 그래서 친정팀이 트레블을 달성하는 모습을 바로 옆에서 목도하고 감격을 금하지 못했다.
- 20-21시즌 프리미어 리그 31R 토트넘 vs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전에서 전반 33분 스콧 맥토미니가 손흥민의 뺨을 때려서 손흥민이 쓰러지는 상황을 보고 "당황스럽다. 이런 플레이는 축구가 아니다"라고 손흥민을 비난했다.[10]
- 현역 시절 가장 적대적이었던 원정 경기장은 스토크 시티 FC의 홈구장 브리타니아 스타디움[11]이라고 한다.
- 스티븐 제라드를 매우 좋아하는 듯하다. 역대 프리미어 리그 미드필더 TOP 10에서 제라드를 1위로 뽑거나, 역대 잉글랜드 선수 TOP 10에서 앨런 시어러를 제치고 제라드를 1위로 놓는 등 상당한 제라드빠 성향을 보인다. 그렇기에 제라드 vs 램파드 논쟁에서도 당연히 제라드의 손을 들어준다.
- 럭비를 매우 잘했다고 한다. 그의 피지컬(신체능력)을 생각해보면 전혀 이상할 게 없는 일. 럭비선수가 될수도 있었지만 축구를 선택했다.
- 엄청난 유리몸이었던 선수답게 부상을 당한 경로도 다양한데 그중에는 침대에서 즐거운 일을 하다가 부상을 당한 적도 있다고 한다(...).
- 은퇴 후에도 유흥을 즐기는 것과 외모를 꾸미는 것에 매우 열성적이다. 여러 도시를 돌아다니며 나이트클럽에 놀러가는 것이 일상이라, 유흥관련 정보를 환히 꿰차고 있다는 것을, 본인 뿐만 아니라, 주변인물들이 인증하고 있다. 더불어 매주 머리 스타일링을 하는데 수십만원씩 쓴다고 한다. 방송 출연때문에 하는 것이 아니라서 본인 자비로 한다고...
- 24/25시즌 챔피언스리그 매치데이2 아스톤 빌라와 바이에른 뮌헨전 빌라의 결승골 장면에서 너무 터무니없는 사유를 들며 김민재를 콕 집어 억까 비판했다는 논란이 생겼다.[12][13]
[1] 현지인들의 발음. 이름 'Micah'는 '마이카' 외에 '미카'로 발음될 수 있어서 한때 '미카 리차즈'라는 표기가 쓰이기도 했으며, 실제로 같은 이름을 쓰는데 발음은 '미카'인 팀 후배가 있다.[2] 유스 시절에는 라이트 백과 센터백에서 모두 뛰었고, 1군 합류 후에는 주전 라이트백으로 자리잡았다가 2007년부터 2009년 초까지 센터백으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 때문에 리차즈의 전성기 포지션을 센터백으로 아는 사람도 많았지만 본디 주 포지션은 라이트백이었으며 하술할 플레이스타일 때문에 나중에는 라이트백에 정착해 포텐을 터뜨렸다. 그러나 몇 차례의 장기 부상 이후에는 기동력이 크게 떨어졌고 결국 빌라 이적 후에는 센터백으로 뛰었다.[3] 정성룡도 부상을 당해 이범영과 교체되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차즈가 부상을 입힌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2년 런던 올림픽 때 정성룡과의 충돌.물론 이때는 리차즈도 다쳤지만 다만 위에 나와있듯 플레이 스타일 자체가 워낙 저돌적이고 피지컬도 좋다 보니 리차즈와 충돌했을때 상대의 몸이 멀쩡하는게 쉽지 않긴 하다.[5] 다만 맨시티에서는 그 폭발력을 몇 경기 보여주지 못하고 부상으로 실려나간 멘디와 달리, 리차즈는 그래도 최정점의 폼을 한 시즌 이상 보여줬다. 게다가 유스 출신에 홈 그로운도 달려있던 리차즈와 달리 멘디는 거액의 이적료를 받고 와서 먹튀가 된거라 구단 입장에서 느끼는 손해는 차원이 다르다.[6] 2009년 바르셀로나 소속으로 챔피언스 리그 우승.[7] 2005년 리버풀 소속으로 챔피언스 리그 우승.[8] 1999년 맨유 소속으로 챔피언스 리그 우승.[9] 마이카에 대한 설명만 자주 바뀌지만 모두 놀리는 농담이다. "맨시티가 프리미어리그 우승할 때, 아구에로의 위대한 골을 벤치에서 바라볼 수 있었던..." 같은 식이다.[10] 그런데 그렇게 말한 리차즈는 경기장에서 쓰러지고 난 뒤 5분 후에 일어났다. 그렇게 전 팀 동료 네덤 오누오하에게 까발려지자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내 비밀을 말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11] 현 bet365 스타디움[12] 빌라 진영에서의 세트피스 상황이 종료되고 빠른 속도로 공격이 전개되었는데 제자리를 찾아가던 김민재가 공 위치를 확인하지 않았다며 U-10 팀에서나 나올 법한 실수라는 망언을 했다.[13] 만약 김민재의 복귀가 늦어서 뒷공간을 허용했다면 정당화된 비판이 되었겠지만, 골 장면을 본다면 김민재가 수비 복귀 시 마킹을 놓친 것도 아니고, 득점자인 존 듀란이 김민재의 마킹 상대도 아니었으며 애초에 실점의 가장 큰 원인은 판단 미스로 인해 무리하게 골대를 비우고 뛰쳐나온 마누엘 노이어에게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김민재를 콕 집어서 너무나 결과론적인 이야기로 실점에 100% 책임이 있는 것처럼 말을 한 것에는 현지 팬들조차 다소 무리가 있다는 의견이 대다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