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11:04:25

미하일 샤이도로프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미하일 샤이도로프
Михаил Шайдоров | Mikhail Shaidorov
파일:샤이도로프.jpg
출생 2004년 6월 25일 ([age(2004-06-25)]세)
알마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카자흐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카자흐스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0cm
종목 피겨 스케이팅
코치 알렉세이 우르마노프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ISU 공인 최고점수3. 커리어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카자흐스탄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선수이다.

2. ISU 공인 최고점수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 95.50(2024 CS 데니스 텐 메모리얼 챌린지)
프리 192.70(2025 세계선수권)
총점 287.47(2025 세계선수권)

3. 커리어

세계선수권
은메달 2025 보스턴남자 싱글
사대륙선수권
금메달 2025 서울남자 싱글
아시안 게임
동메달 2025 하얼빈남자 싱글
주니어 세계선수권
은메달 2022 탈린남자 싱글

국제대회:시니어
대회 17–18 18–19 19–20 20–21 21–22 22–23 23–24 24–25
세계선수권 32nd WD 14th 14th 2nd
사대륙선수권 5th 5th 6th 1st
GP 파이널 5th
GP 컵 오브 차이나 3rd 2nd
GP 스케이트 캐나다 5th
GP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 WD
GP 그랑프리 드 프랑스 WD 4th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WD
CS 핀란디아 트로피 8th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WD 4th 2nd WD
CS 데니스 텐 메모리얼 챌린지 9th 1st
아시안 게임 3rd
세계대학경기대회 4th 4th
소피아 트로피 3rd
국제대회:주니어
주니어 세계선수권 22nd 2nd
JGP 폴란드 2nd
보스포러스 컵 2nd J
에그나 스프링 트로피 4th J
산타클로스 컵 9th J
국내대회
카자흐스탄선수권 3rd J 1st 1st 1st 1st 1st WD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J=주니어

4. 여담

  • 2025 사대륙선수권 경기가 끝나고 기자회견에서 '한국을 떠나기 전 가보고 싶은 곳이 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롯데월드라고 답했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1999 핼리팩스 파일:일본 국기.svg 혼다 다케시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2000 오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
3회 2001 솔트레이크 시티 파일:중국 국기.svg 리청장 4회 2002 전주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프리 버틀
5회 2003 베이징 파일:일본 국기.svg 혼다 다케시 6회 2004 해밀턴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프리 버틀
7회 2005 강릉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 라이사첵 8회 2006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일본 국기.svg 오다 노부나리
9회 2007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 라이사첵 10회 2008 고양 파일:일본 국기.svg 다카하시 다이스케
11회 2009 밴쿠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12회 2010 전주 파일:미국 국기.svg 아담 리폰
13회 2011 타이페이 파일:일본 국기.svg 다카하시 다이스케 14회 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15회 2013 오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케빈 레이놀즈 16회 2014 타이페이 파일:일본 국기.svg 무라 타카히토
17회 2015 서울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데니스 텐 18회 2016 타이페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19회 2017 강릉 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 20회 2018 타이페이 파일:중국 국기.svg 진보양
21회 2019 애너하임 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 22회 2020 서울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23회 2021 시드니 취소COVID-19 24회 2022 탈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차준환
25회 2023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일본 국기.svg 미우라 카오 26회 2024 상하이 파일:일본 국기.svg 카기야마 유마
27회 2025 서울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미하일 샤이도로프 28회 2026 베이징 파일: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카자흐스탄선수권 남자 싱글 챔피언
파일:카자흐스탄 빙상 연맹.png
니키타 만코
(2018)
미하일 샤이도로프
(2019~2023)
디아스 지렌바예프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