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 옆면을 따라 분포 혹은 잎자루 등에 종양처럼 달려 있는 식물의 분비샘. 젖이나 꿀샘으로도 불린다.
이것의 존재 의의는 넥타르를 생성하여 개미 등에게 '이로운 존재'임을 각인시켜서 주변의 해충[1]들로부터 보호받기 위해서다. 대표적인 사례가 벚나무[2], 특이하게도 벌을 위한 샘과 개미를 위한 샘이 따로 있다.
벤자민 고무나무도 잎 뒷면 잎맥 중앙과 잎자루가 연결되는 부위에 흰 촛농이나 깍지벌레처럼 달려 있다.[3] 그리고 블루베리 역시 일액현상[4] 과정에서 당분이 섞인 물[5]을 잎 옆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출하는데, 이는 (품종과 환경 따라 케바케지만) 물과 햇빛을 주기적으로 공급받을수록 두드러진다.
[1] 이는 진딧물 등도 해당된다. 머리가 돌아가는 개미들이라면 같은 단물이라도 주는 양이 더 많은 쪽을 택하는 게 당연지사. 물론 종이나 환경 따라 다다익선이라고, 빨든 말든 단물만 얻고 방치하는 부류도 있다.[2] 체리 용으로 육종된 종도 마찬가지.[3] 차이점이 있다면 깍지벌레는 제멋대로 붙어 있고 이 밀샘은 딱 이 위치로 고정되어 있다. 게다가 눌러붙다 못해 하얀 덩어리가 될 정도로 거의 응고된 걸 손으로 문지르면 푸석푸석하며 부서진다.[4] 불필요한 잉여 수분을 배출하는 것. 때문에 이 현상이 전 방위적으로 있을수록 대사작용이 그만큼 활발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5] 때문에 어느 정도 마른 액을 만지면 끈적끈적할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