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19:11:13
유희왕 의 장착 마법 카드이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반목의 추종자, 일어판명칭=<ruby>反目<rp>(</rp><rt>はんもく</rt><rp>)</rp></ruby>の<ruby>従者<rp>(</rp><rt>じゅうしゃ</rt><rp>)</rp></ruby>, 영어판명칭=Vengeful Servant, 효과1=장착 몬스터의 컨트롤이 옮겨졌을 때\, 상대 플레이어에게 장착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준다.)]유희왕 5D's 포츈 컵 편 16화에서 이자요이 아키 가 질 드 랜스보 와의 듀얼 중 사용한 카드로, 장미의 각인 을 장착해 빼앗은 마스크드 나이트 LV3 에게 장착해 컨트롤을 옮길 때마다 1500 데미지를 줬다. 일러스트에 나온 몬스터는 커맨드 나이트 이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반목의 추종자, 일어판명칭=<ruby>反目<rp>(</rp><rt>はんもく</rt><rp>)</rp></ruby>の<ruby>従者<rp>(</rp><rt>じゅうしゃ</rt><rp>)</rp></ruby>, 영어판명칭=Vengeful Servant, 효과1=①: 장착 몬스터의 컨트롤이 옮겨질 때마다 발동한다. 장착 몬스터의 컨트롤러에게 장착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준다.)]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
러시듀얼@ 무조건 상대에게만 데미지를 줬던 원작과는 달리 바뀐 컨트롤을 얻는 플레이어에게 데미지를 주도록 바뀌었다.
이 카드는 자신 몬스터의 컨트롤이 상대에게 넘어가야 데미지를 줄 수 있어서 사용하기 까다롭다. 상대 필드에
용암 마신 라바 골렘 이나
파괴수 등을 소환하고
장미의 각인 등으로 일시적으로 빼앗은 뒤 반목의 추종자를 장착하면 상대에게 큰 데미지를 줄 수 있지만 비효율적이다.
미캉코 카드가
2022년 에 출시되면서 카드의 컨트롤을 자유자재로 옮길 수 있게 되자
이런 방식 으로
무한 루프 상황 을 만들 수 있게 됐다. 론도의 효과로 컨트롤을 빼앗고, 미캉코를 치우면 다시 돌려주면서 계속 컨트롤을 바꿀 수 있는 것이다.
이 카드는 장착 마법이기에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 와의 궁합도 좋다.
유희왕 듀얼링크스 에서는 이 카드를 활용한 선턴킬
타키온 덱이 등장하고, 해당 선턴킬 루트를 금지할 목적으로 다른 파츠와 함께 1제한을 받았다.
수록 시리즈 2008-11-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MS-JP046 | クリムゾン・クライシス [ CRIMSON CRISIS ] 2009-03-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MS-EN046 | CRIMSON CRISIS 2009-05-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MS-KR046 | 심홍의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