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송 Lacebark pine | ||
| ||
학명 | Pinus bungeana Zucc. ex Endl. | |
분류 | ||
<colbgcolor=#d7ffce,#0f4a02> 계 | 식물계(Plantae) | |
분류군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 |
겉씨식물군(Gymnospermae) | ||
문 | 구과식물문 (Pinophyta) | |
강 | 구과식물강 (Pinopsida) | |
목 | 구과목(Pinales) | |
과 | 소나무과(Pinaceae) | |
속 | 소나무속(Pinus) | |
종 | 백송(P. bungeana) |
1. 개요
중국 중북부[1] 지역이 원산지로, 한국에 있는 백송은 중국을 왕래하는 사신들이 묘목을 가져다 심었거나, 씨앗을 가져와 심은 것으로 보인다. 백송은 우리나라에 들어온 지 오래되었으나 번식력이 매우 약해서 그 수가 적다. 단, 원산지인 중국에서는 아름드리나무로 자란 거목을 흔히 볼 수 있다.2. 상세
백송은 침엽상록 큰키나무로, 잎이 3개씩 뭉쳐난다. 나무껍질의 색깔은 어릴 때는 회녹색이다가 나무가 자라면서 나무껍질이 계속 벗겨지면서 점점 회백색으로 변해간다. 그리하여 나이가 많이 들면, 껍질이 마치 페인트를 칠한 것처럼 흰색이 되는 것이다.중국에서 보통 정원수로 이용되지만, 현지인들이 가끔 건축재료로 목재를 쓰거나 종자를 먹거나, 기름을 짜는 데 쓰기도 한다.
한국에 들어온 시기는 약 600년 전 중국을 왕래하던 사신 등에 의해 처음 심겨진 것으로 추측된다. 다 자란 백송은 하얀색 줄기가 눈에 띄는 데다가, 희귀하며 생장이 느리고 옮겨심기가 어려워서 예전부터 귀하게 여겨 왔다. 실제로 한국에서 크게 자란 백송 개체는 거의 전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거나 된 적 있는 백송은 아래와 같다.
구분 | (구)지정번호 | 명칭 | 지정일 | 주소 |
개체 | | | | |
| | | ||
| | | ||
| | | ||
8호 | 서울 재동 백송[6] | 1962년 12월 7일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5 (재동, 헌법재판소) | |
9호 | 서울 조계사 백송[7] | 1962년 12월 7일 |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55 (수송동) | |
| | | ||
60호 | 고양 송포 백송[9] | 1962년 12월 7일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 1000-8 | |
| | | ||
| | | ||
106호 | 예산 용궁리 백송[12] | 1962년 12월 7일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산73-28번지 | |
253호 | 이천 신대리 백송[13] | 1976년 6월 28일 |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신대리 산32번지 외 7필 |
3. 여담
가장 나이가 많은 백송은 역시나 원산지인 중국에 있다. 계대사에는 천년을 넘게 살았다는 백송이 있는데, 그 줄기의 모습이 9마리의 용처럼 보인다고 해서 "구룡송"이라고 불리며, 나이가 제일 많고 크기도 제일 크다는 의미에서 "백송지왕"으로도 불린다.
[1] 황하의 중상류 지역.[2] 태풍피해로 고사함에 따라 1993.03.24 지정해제[3] 보존가치 상실로 1965.10.12 지정해제[4] 고사하여 2003.07.04 지정해제[5] 가치상실로 1962.12.03 지정해제[6] 우리나라에서 가장 깨끗한 흰색을 보여주는 백송. 두 갈래로 갈라진 줄기가 인상적이다. 헌법재판소 영내에서 자라고 있다. 헌법재판소 안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주제의 강연회 이름을 '백송 아카데미', 헌재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만든 봉사단체를 백송한마음 봉사단이라고 이름 붙일 정도로,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헌법재판소 근무자들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는 상징과도 같은 나무.[7] 수형도 괜찮고 흰색도 깔끔하지만, 자연적이기보다는 정원수로서 관리된 느낌이 많이 든다.[8] 가치상실로 1973.08.14 지정해제[9] 수형은 괜찮지만 나이에 비해 하얗지가 않다.[10] 미수복 지역에 위치함으로 인해 지정해제[11] 복토로 인한 양분 차단으로 인해 고사함에 따라 2005.08.19 지정해제[12] 추사 김정희가 심었다는 백송이다. 원래 세 갈래로 갈라져 있었는데 두 가지는 죽고 한 가지만 살아남아서 빈약한 모습이 아쉽다.[13] 백송치고는 16m 정도로 높게 자라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백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