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18:25:46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寶物
}}}

파일: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jpg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보물 제644호

1. 개요

白磁 靑畵松竹人物文 立壺. 조선 중기, 16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한국의 청화백자.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644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

높이 47.1㎝, 입지름 15.2㎝, 밑지름 16.7㎝.

1500년대 후반에 만들어진 한국의 청화백자로, 대략 중종~선조조 사이에 번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인 문양의 배치와 화풍은 조선 중기 화단을 풍미하였던 절파화풍(浙派畵風)을 반영하고 있고, 특히 16세기 후반 조선시대 화단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던 이경윤(李慶胤)의 작품들과 매우 비슷하여 1500년대 후반에 만들어진 것이 확실시된다.

만들어진 장소는 경기도 광주에서 운영되던 왕실 분원(分院)이다.

3. 외부 링크

4. 보물 제644호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白磁 靑畵松竹人物文 立壺)는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높이 47㎝, 아가리 지름 15.4㎝, 밑지름 16.7㎝의 청화백자 항아리로, 목은 짧고 어깨가 올라가서 긴장감이 느껴지는 그릇 모양을 하고 있다.

밑 부분은 좁게 내려가다가 굽에서 나팔모양으로 퍼졌는데, 이러한 모양은 짧게 수직으로 내려가는 굽을 가진 초기 청화백자에서 흔히 보이는 형태이다. 목 윗부분에는 가로줄 하나를 그린 다음 그 밑에 구름을 그려 넣었고, 굽 부분에도 가로로 한 줄을 그렸다.

그릇의 몸통 전면에는 소나무 한 그루와 대나무 몇 그루를 그렸다. 소나무 밑에는 책상에 팔을 괴고 있는 인물을, 대나무 밑에는 거문고를 든 동자를 거느린 한 선비가 거닐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구도나, 인물의 배치 및 묘사가 16세기 후반의 화풍과 매우 유사하여, 이 항아리의 제작시기는 대체로 16세기 후반 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릇을 구우면서 굽이 두꺼워 터진 곳이 있고, 아가리 부분과 굽 부분에 약간 수리를 한 흔적이 있으나, 보기 드문 조선 전기의 걸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