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싱가포르 해군| 싱가포르 해군 (1967~현재) ]]''' Republic of Singapore Navy | Angkatan Laut Republik Singapura | ||
<colbgcolor=#EE2536> [[잠수함|''' 잠수함 ''']] | <colbgcolor=#EE2536> ''' SSK ''' | 인빈시블급 | 아처급 | 챌린저급 | |
'''[[초계정| 초계정 ]]''' | PB | 센티넬급M | 피어리스급 | 팡리마 | |
'''[[고속정| 고속정 ]]''' | ''' PCF ''' | 스위프트급 | 인디펜던스급(1970) | |
''' FIC ''' | FIC 145급 | CCL급 | SMC 2형 | SMC 1형 | ||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 시 울프급 | ||
원양초계함 (OPV) | {포츠담급} | ||
[[초계함|''' 초계함 ''']] | ''' PCG ''' | 인디펜던스급(2017) | 빅토리급 | |
[[호위함|''' 호위함 ''']] | ''' FFG ''' | {MRCV 사업} | 포미더블급 | |
'''[[상륙함| 상륙함 ]]''' | '''[[LHD| LHD ]]''' | {JMMS 사업} | |
'''[[상륙수송선거함| LPD ]]''' | 인듀어런스급(2000) | ||
'''[[전차상륙함| LST ]]''' | 프리저번스 | 케언 힐급 | 인듀어런스급(1971) | ||
'''[[소해함| 소해함 ]]''' | ''' MCMV ''' | 베독급 | |
''' MSC ''' | 주피터급 | ||
''' 지원함 ''' | [[구조함|''' 잠수함 구조함 ''']] | 스위프트 레스큐 | |
''' 무인정 ''' | ''' USV ''' | 프로텍터급 | 비너스 16 | 스파르탄 스카웃 | 피라냐 | |
훈련함 | 멘토 | ||
※ 갈색 글자: 퇴역 함정 ※윗첨자M: 개장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둘러보기 : | }}}}}}}}} |
|
Bedok-Class Mine Countermeasures Vessel |
1. 개요
싱가포르 해군의 소해함. 전부 싱가포르 해군 제6전대에 배속되어있다. 비전투함일지 몰라도 싱가포르의 해상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싱가포르 해협과 주변 해상 교통로가 항상 소해되어 원활한 국제무역이 가능하도록 보장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2. 제원
베독급 기뢰대응함 Bedok-Class Mine Countermeasures Vessel | |||
| |||
<colbgcolor=#eee> 함종 | <colbgcolor=#FFF>기뢰대응함 | ||
이전급 | 주피터급 소해함 | ||
다음급 | 미정 | ||
기준배수량 | 360톤 | ||
만재배수량 | 380톤 | ||
전장 | 47.5m | ||
전폭 | 9.6m | ||
흘수선 | 2.3m | ||
동력 | <colbgcolor=#eee> 방식 | CODAD | |
기관 | 사브-스카니아 DSI-14 디젤엔진 4기 (각 1,440BHP | 총 5,760BHP) | ||
추진 | 보이스-슈나이더 수직 사이클로이드식 프로펠러 샤프트 2기 | ||
속도 | 15노트 (28km/h) | ||
항속거리 | 12노트 순항시 3,700km | ||
승무원 | 승조원 33명 (장교 5명 + 수병 28명) | ||
전투체계 | 탈레스 TSM-2061 Mk.2 기뢰소해체계 | ||
''' 레이더 ''' | 항법 | 노르컨트롤 DB2000 I밴드 항법 레이더 1기 | |
소나 | 함체 | 탈레스 TSM-2022 Mk.3 기뢰탐색용 소나 | |
예인 | 탈레스 DUBM-44 측면주사 합성개구 기뢰탐색 소나 | ||
사통장치 | 사브 9LV100 광학 사격통제장치 | ||
대응장비 | 디코이 | BAE 쉴드 Mk.III 102mm 6연장 기만체 발사기 2문 | |
기타 | 탈레스 MATILDA[1] RWR | ||
무장 | RCWS | 라파엘 Mk.38 Mod 2 타이푼 RCWS 1문 ┗ M242 부시마스터 25mm 87구경장 기관포 | |
기타 | STK 50MG 12.7mm 중기관총 4정 | ||
소해 장비 | 기계식 소해장비 1조 자기 소해장비 1조 음향 소해장비 2조 | ||
탑재 무인정 | 소해용 무인잠수정 2대 • PAP-104 Mk.5 ROV (기존) • K-STER UUV (2009년 이후) |
3. 상세
싱가포르 해군은 1975년 미 해군의 블루버드급 소해함 2척을 수리하여 주피터급으로 재취역 시켰을 때 처음으로 소해 역량을 확보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 주피터급이 한계까지 운용되다 보니 다가오는 1993년에 퇴역[2]이 예정되어 있었다.소해함이 없는 상태에서 싱가포르 주변 해상에 기뢰가 깔린다면 엄청난 무역 손실을 초래하여 싱가포르 경제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으로 추산되었고, 이에 현대식 소해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래서 싱가포르 국방부는 협상을 거쳐 1991년에 스웨덴과 란드소르트급 기뢰대응함[3] 4척의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초도함인 RSS 베독은 스웨덴 칼스크로나바르베트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 나머지 세 척의 경우 선체는 스웨덴에서 제작되어 싱가포르로 이송되고 현지 기업인 STM이 최종 조립을 하였다.
베독급은 설계상 기뢰 대응에 중요한 여러 가지 기능들이 통합되어 있다. 당대 여느 소해함들이 그렇듯 낮은 음향/자기 피탐성을 위해 선체에 유리섬유 플라스틱(FRP/GRP)이 사용됐으며, 수중 폭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완충 역할을 하는 마운트가 함교 하부에 탑재되었다.
함체 소나는 잠수함의 경우 2km, 기뢰의 경우 500m 거리에서 탐지할 수 있다. 기뢰 식별은 일반적으로 200~300m 거리에서 가능하다. 그리고 2009~2014년 개량을 통해 견인식 합성개구 소나가 탑재되어 후방 고해상도 해저 탐색 능력이 추가되었다.
한번 기뢰가 탐지되면 주로 프랑스 ECA 그룹제 K-STER 무인 잠수정을 이용하여 기뢰를 원거리에서 해체하거나 기폭시킨다. 또한 함 특성상 NDU의 수중폭파단과 긴밀히 협력하고, 잠수부들을 위한 감압 챔버가 함 내에 설치되어 있다.
4. 동형함 목록
각 함은 싱가포르의 해안 지역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tablebordercolor=#CCC><tablealign=left><nopad> ||
싱가포르 해군
Republic of Singapore Navy
Republic of Singapore Navy
함번 | 함명 | 함생 | 건조사 | 비고 |
M105 | RSS 베독 RSS Bedok | 기공: 1991년 10월 17일 진수: 1993년 6월 24일 취역: 1995년 10월 7일 | 칼스크로나바르베트 | 현역 |
M106 | RSS 칼랑 RSS Kallang | 기공: 1992년 진수: 1994년 1월 29일 취역: 1995년 10월 7일 | STM | 현역 |
M107 | RSS 카통 RSS Katong | 기공: 1992년 진수: 1994년 4월 8일 취역: 1995년 10월 7일 | STM | 현역 |
M108 | RSS 펑골 RSS Punggol | 기공: 1992년 진수: 1994년 7월 16일 취역: 1995년 10월 7일 | STM | 현역 |
[1] Microwave Analysis, Threat Indication and Launch Direction Apparatus[2] 실제 퇴역은 1993년 3월 31일[3] 코스테르급 기뢰대응함의 개장 전 함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