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 (의학부) | 학사 제도 | 학교 생활 | 유학생 입시 |
캠퍼스 및 부속시설 |
PKU Disciplines: Season One • Health Science Episode |
[clearfix]
1. 개요
베이징대학 의학부 본관 |
본 학부의 정식 명칭은 베이징대학 의학부(北京大学医学部)[1]다. 북경대 및 중국대학 시스템에 무지한 경우 오해할 수 있는데 의학부라는 곳에 학석박 과정이 포함되는 것이다. 한국에서 말하는 학부가 아니다. 단과대학을 학부라고 하는 것이다. 즉, 베이징대학 소속 의과대학. 영어로는 Peking University Health Science Center를 줄여서 PKUHSC 부르며 중문 약칭은 베이이(北医; 북의)이다.[2]
2. 역사
- 1912년 국립북경의학전문학교(国立北京医学专门学校)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중국 최초의 중국정부 힘으로 설립된 서방의학 전문 국립의대였다. 당시 교직원 9명, 학생 72명을 모집하였다.
- 1923년 국립베이징의과대학교(国立北京医科大学校)로 개칭.
- 1927년 베이징의 모든 대학이 전부 국립경사대학교(国立京师大学校)라는 이름으로 합병되면서 경사대학교의 과(科) 중 하나가 되면서 국립경사대학교의과(国立京师大学校医科)로 개칭. 이후 1928년 경사대학교가 국립북평대학(国立北平大学)로 개명하면서 의과 역시 북평대학의학원(北平大学医学院)으로 개칭.
- 1938년 교육부의 지침에 따라 기존 북경대학과 북평대학이 합쳐 국립북경대학(国立北京大学)이 탄생되며 의학원은 6개 학원(学院)의 하나에 들어가게 된다.
- 1946년 북경대학이 베이징으로 돌아오면서 베이징대학 의학원이 된다.
- 1952년 마오쩌둥에 의해 대학개편이 단행되면서 베이징의학원(北京医学院)이라는 이름으로 베이징대학에서 분리,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게 된다.
- 1985년 베이징의과대학(北京医科大学)으로 개칭.
- 2000년 베이징대학과 합병되었으며 동년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3. 메인 캠퍼스와의 관계
"베이징대학"이라고 한다면 대부분 미명호와 보야탑이 있는 메인 캠퍼스가 먼저 떠오르긴 하지만, 그래도 의대 등 다른 캠퍼스와 메인 캠퍼스를 확실히 분리해서 호칭해야할땐 메인 캠퍼스를 본부(本部)라고 부른다. 의대생과 북경대를 주제로 대화를 할때 큰 확률로 이 본부라는 단어가 등장한다.캠퍼스[3]가 다른건 물론 수강신청, 유학생 모집, 방학 배정 등 행정체계가 완전히 본부와 별개로 돌아간다. 이때문에 같은 학교임에도 다른학교같다는 착각이 생기기 쉽다. 또한 의대의 가오카오 컷트라인은 본부보다 훨씬 낮지만[4], 그렇다고 본부 학생이 의대 학생을 차별하거나 그런 현상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그냥 "의학부는 북경대의 학과 중 일부"의 분위기.
메인 캠퍼스와 의대 캠퍼스를 연결하는 셔틀버스가 매일(방학 제외) 있다. 본부 캠퍼스에서 복수전공을 수강하거나, 본부에 위치한 생명공학과 실험실에서 실험을 하거나, 행사를 참여하기 위해 본부에 온 의대생들이 많아 수요가 매우 높다.
4. 학과
5. 연계 병원
2017년 기준 6개의 직속 부속병원 (直属附属医院), 4개의 합작 부속병원 (共建附属医院) 그리고 14개의 실습병원 (教学医院)과 연계 되어있다.베이징대학 의학부 직속 부속병원 | |||||
베이징대학 제1병원 (北京大学第一医院) | 베이징대학 인민병원 (北京大学人民医院) | ||||
베이징대학 구강병원 (北京大学口腔医院) | 베이징대학 종양병원 (北京大学肿瘤医院) | ||||
베이징대학 제3병원 (北京大学第三医院) | 베이징대학 제6병원 (北京大学第六医院) | ||||
베이징대학 의학부 합작 부속병원 | |||||
베이징대학 서우강병원 (北京大学首钢医院) | 베이징대학 선전병원 (北京大学深圳医院) | ||||
베이징대학 국제병원 (北京大学国际医院) | 베이징대학 빈하이병원 (北京大学滨海医院) | ||||
베이징대학 의학부 실습병원 | |||||
베이징 지수이탄병원 (北京积水潭医院) | 위생부 베이징병원 (卫生部北京医院) | 베이징 스지탄병원 (北京世纪坛医院) | |||
베이징 항천중심병원 (北京航天中心医院) | 위생부 중일우호병원 (卫生部中日友好医院)) | 베이징 디탄병원 (北京地坛医院) | |||
민항 종합병원 (民航总医院) | 수도 소아과학 연구소 (首都儿科研究所) | 베이징 후이룽관병원 (北京回龙观医院) | |||
베이징 런허병원 (北京仁和医院) | 전략지원부대특색 메디컬센터 (战略支援部队特色医学中心) | 해방군 종합병원 제5메디컬센터 (解放军总医院第五医学中心) | |||
베이징 징메이그룹 종합병원 (北京京煤集团总医院) | 베이징중의약과학 시위안병원 (北京中医科学西苑医院) |
이외에도 베이징대학과 함께 PKU Founder Group(方正集团)의 계열사인 북대의료그룹(北大医疗产业集团)[5]에도 지분을 갖고 있다. 북대의료그룹은 상기 소개하였던 베이징대학 국제병원을 주축으로 이를 포함한 7개의 병원과 2개의 진료소를 보유하고 있다.
북대의료그룹 소유병원 | |||||
베이징대학 국제병원 (北京大学国际医院) | 북대의료 루중병원 (北大医疗鲁中医院) | ||||
북대의료 루안병원 (北大医疗潞安医院) | 북대의료 쯔보병원 (北大医疗淄博医院) | ||||
북대의료 해양석유병원 (北大医疗海洋石油医院) | 북대의료 주저우 카이더병원 (北大医疗株洲恺德心血管病医院) | 북대의료 재활병원 (北大医疗康复医院) |
6. 캠퍼스
자세한 내용은 베이징대학/캠퍼스 및 부속시설 문서 참고하십시오.7. 출신 인물
- 투유유 : 1951년에서 1955년까지 베이징대학 의학원(北京大学医学院)[6] 약학과를 다녔다. 말라리아 치료제를 연구해 2015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 중난산 : 1960년 당시 베이징의학원(北京医学院, 현 베이징대학 의학부) 을 졸업하였다. 지금은 중국에서 '사스의 영웅'으로 불리며 전염병 전문가로서 코로나 바이러스 당시 중국 공정원 원사, 국가위생건강위원회 고위 전문가팀 팀장, 국가호흡기계통 질병 임상의학 연구센터 주임을 맡고 있었다.
8. 갤러리
해부동 (Anatomy Building) |
[1] 북경대학 의학부[2] 북경대 교내에서는 의학부(医学部)라고 부르기도 한다.[3] 의학부 학생들은 1학년 예과 과정을 메인 캠퍼스에서 마친 다음, 2학년부터 본과 과정을 의학부 캠퍼스에서 시작한다.[4]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라 의사의 돈벌이가 나빠서 의사의 위상도 거의 땅바닥을 치는 수준이기 때문에 중국의 수석들은 대부분 경영학과나 이공계열 등을 선택하고 극소수만 의대를 선택한다. 자본주의 선진국인 대한민국, 미국의 의사, 의과대학 위상과 상당히 대조되는 부분이다.[5] 베이다이랴오찬예지퇀[6] 그가 입학한 이듬해 베이징의학원(北京医学院)으로 독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