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05:25:30

부산지방국세청


파일:국세청 흰색 MI.svg
산하 지방국세청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부산지방국세청
釜山地方國稅廳 | NTS Busan Regional Office
[ 부산지방국세청 BI ▼ ]
파일:부산지방국세청.png
파일:부산지방국세청.jpg
<colbgcolor=#003764><colcolor=#fff> 소재지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제로 12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관할구역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청장 이동운
상급기관 국세청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
2.1. 역대 지방국세청장
3. 조직4.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4.1. 버스4.2. 지하철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부산, 울산, 경남, 제주의 세무관련 직책을 맡는 기관이다.

2. 연혁

  • 1950. 4.부산사세청 발족
  • 1966. 3.부산지방국세청 개청(부산 경남 경북 관할), 24개 세무서, 부산시 중구 보수동 1가 50-4
  • 1968. 5.대구청 신설로 관할구역 조정(경북 이관)
  • 1972. 2.광주청에서 제주도 편입
  • 1999. 9.세무서 통폐합(22개 세무서를 15개 세무서로)
  • 2004. 4.조직개편(동울산세무서 신설로 16개 세무서)
  • 2010. 5.현 청사로 이전
  • 2012. 4.1급청 승격
  • 2017. 4.조직개편(해운대세무서 신설로 17개 세무서)
  • 2018. 4.조직개편(양산세무서 신설로 18개 세무서)

2.1. 역대 지방국세청장

3. 조직

3.1. 청 본부

  • 성실납세지원국[A]
  • 징세송무국[A]
  • 조사1국[A]
  • 조사2국[A]

3.2. 산하 세무서

부산지방국세청 산하 세무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0px
부산광역시
금정세무서동래세무서북부산세무서해운대세무서
수영세무서부산진세무서중부산세무서서부산세무서
부산강서세무서
울산광역시
동울산세무서울산세무서
경상남도
거창세무서창원세무서양산세무서김해세무서
진주세무서마산세무서통영세무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세무서
}}}}}}}}} ||

3.2.1. 부산광역시

3.2.2. 울산광역시

3.2.3. 제주특별자치도

3.2.4. 경상남도

4.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4.1. 버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2. 지하철

5. 관련 문서


[A]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 공무원[A] [A] [A] [5] 부산 금정구, 기장군[6] 부산 동래구, 연제구[7] 부산 부산진구, 동구[8] 부산 사상구, 북구[9] 부산 서구, 사하구[10] 부산 수영구, 남구[11] 부산 영도구, 중구[12] 부산 해운대구[13] 부산 강서구[14] 울산 중구, 동구, 북구, 울주군 언양읍·범서읍·두동면·두서면·상북면·삼남면·삼동면[15] 남구, 울주군 온산읍·온양읍·청량면·웅촌면·서생면[16] 제주특별자치도 전역[17] 경남 거창군, 함양군, 합천군[18] 경남 김해시, 밀양시[19]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함안군, 의령군, 창녕군[20] 경남 양산시[21] 2018년 부로 금정세무서에서 분리[22] 경남 진주시, 사천시, 산청군, 하동군, 남해군[23] 경남 창원시 성산구, 의창구, 진해구[24] 경남 통영시, 거제시, 고성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