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6 00:20:21

북창화력발전소

{{{#!wiki style="color: 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발전소
수력발전소
<colbgcolor=#cccccc,#333333> 강원도 안변청년발전소
량강도 백두산영웅청년발전소
자강도 강계청년수력발전소 · 독로강발전소 · 운봉수력발전소 · 위원발전소 · 희천발전소
평안남도 대동강발전소
평안북도 수풍수력발전소 · 태천수력발전종합기업소 · 태평만발전소
함경남도 금야강발전소 · 단천발전소 · 부전강수력발전소 · 장진강발전소 · 허천강발전소
함경북도 3.17발전소 · 부령수력발전소 · 어랑천발전소
화력발전소
평양시 동평양화력발전소 · 평양화력발전련합기업소
라선시 웅기화력발전소
평안남도 북창화력발전련합기업소 · 순천화력발전소
평안북도 청천강화력발전소
함경남도 함흥화력발전소
함경북도 청진화력발전소
평양시 미림갑문 · 봉화갑문
평성시 성천갑문
남포시 서해갑문
순천시 순천갑문
강원도 임남댐
함경북도 팔향댐
황해북도 황강댐
평안북도 수풍댐 · 태천댐
상·하수도
평양시 평천오수정화장
}}}}}}}}}


파일:북한 국기.svg 평안남도발전소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D1C27,#222222><tablebgcolor=#ED1C27,#222222> 파일:북한 국장_White.svg북창화력발전소
北倉火力發電所

Pukchang Power Station
}}} ||
파일:북창화력발전기업소.png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설립 1971년
발전 발전기 16대[1]
설비용량 1,600MW
사용연료 무연탄
주소

파일:북한 국장.svg 북창화력발전련합기업소
(평안남도 북창군 북창읍)
1. 개요2. 특징

1. 개요

북한화력 발전소. '북창화력발전련합기업소'라는 일종의 발전 회사에 해당되는 기업소에 의해 운영된다. 이름을 그대로 해석하면 알 수 있다시피 발전소 자체가 '기업소'가 아니고 기업소는 그저 운영 회사일 뿐이다. 평안남도 북창군 북창읍에 있다.

2. 특징

파일:20220725_mdh_power-plant-2.jpg
북한 최대 규모의 화력 발전소로서, 설비용량은 1,600MW급이다. 1960년 12월에 소련의 지원을 받아서 세워졌는데, 1961년 3월부터 착공되어 1971년 1단계공사 60만㎾ 설비가 완공되고, 1976년 2단계공사 60만㎾, 1984년 11월 3단계공사 40만㎾의 설비가 완공되었다.

열악한 북한의 전력 사정상 이 정도의 발전소라도 감지덕지인데, 문제는 이 발전소도 서서히 노후화가 되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 1990년대 이후 사회주의권이 붕괴하고 북한 경제도 덩달아 휘청거리는 바람에 설비 유지관리가 힘겨운 게 문제. 기사(미국의소리) 2018년에 발전 설비를 증설했으나 구체적인 설비용량을 공개하지 않았다. 기사(서울평양뉴스) 2019년 급기야 노후화로 인해 가동이 정지되었다. 기사(경향신문)

사용 연료인 무연탄은 평남 북부 탄전에서 가져오며 소재지인 북창군에도 크고 작은 30여 개 탄광이 있어 연료공급이 용이하다. 어쨌든 북한 최대 규모의 화력발전소인지라 평양시에서 평양화력발전소동평양화력발전소에서 전력이 부족할 때 북창화력발전소의 도움을 톡톡히 받고 있다.


[1] 100MW급 복수식 발전기 '16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