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02:02:30

블러


1. 텍스트를 흐리게 하는 이미지 필터
1.1. 나무위키에서
2. 카메라에서 흔들린 이미지를 얻은 것3. 영상 제작 업체 블러 스튜디오4. 레이싱 게임 블러5. 영국의 4인조 밴드
5.1. 이들이 발매한 동명의 앨범
6. 클라크 켄트의 가명7. 트랜스포머 시리즈의 등장 로봇8. 조니 올랜도의 노래9.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출신 트위치 스트리머10.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Bloodlust의 줄임말

1. 텍스트를 흐리게 하는 이미지 필터

Blur

주변부의 이미지를 뭉개서 뽀얗게 만드는데 소위 뽀샵질할 때 많이 쓰인다.[1] 특정 방향으로 블러를 주면 움직이는 듯한 효과가 생긴다. 이를 모션블러라 하며, 사물의 역동성을 줄 때 사용하기도 한다. 모자이크를 위해서도 많이 쓰인다.

반대 효과를 '샤픈(Sharpen)'이라 하는데 이것만큼 잘 쓰인다.

게임에서는 비정규 해상도의 자글자글한 외곽선을 가리기 위해서 이용 되는데 이해해야할 시각으로 받아들인 정보에 직접적으로 효과를 주기 때문에 불쾌감을 만드는 데 한 몫 한다.

자세한 원리는 사물이 움직일경우 움직인 범위만큼 사람의 눈에 잔상이 남는데 프레임 단위로 재생되는 모니터에서는 사물이 움직이 간격에 아무것도 없으므로 잔상을 주지 못 한다. 따라서 화상의 일부를 이동방향으로 그려넣음으로서 잔상을 만들어 움직인다고 받아들이게 만드는 것이다. 단점으로는 모션블러가 워낙 무거운 후처리다보니 간략화된 후처리를 쓰는데[2] 전혀 효과가 없거나 눈과 머리만 지끈거리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빠르고 거친 움직임을 자연스럽고 쉽게 인식하게 만들어주지만 블러 떡칠을 넘어 잘못 덧씌운 지경까지 가면 차라리 없는 게 더 나을 만큼 끔찍한 결과물만 남는다.

1.1. 나무위키에서

파일:Qjfanstj.jpg
나무위키에서는 스포일러가 우려되는 문서의 분류를 블러 처리한다.[3] 간혹 제명된 인물의 분류에도 블러가 처리되어 있는 경향이 있는데, 원칙상으로 제명된 인물에는 취소선이면 몰라도 블러 처리에 대한 규정은 없기 때문에 실수로라도 제명된 인물의 분류에 블러 처리를 하는 일이 없도록 하자.

[[분류:XXX#blur]]
로 분류에 흐림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나무위키는 Internet Explorer를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 문법을 사용해도 문서를 읽을 때 스포일러가 담긴 분류가 그대로 노출된다. 그렇기 때문에 스포일러 방지를 위해서 가급적이면 Chrome 등의 다른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2. 카메라에서 흔들린 이미지를 얻은 것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러(사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영상 제작 업체 블러 스튜디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러 스튜디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레이싱 게임 블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러(게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영국의 4인조 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러(밴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이들이 발매한 동명의 앨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lur(음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클라크 켄트의 가명

DC 코믹스 사의 슈퍼맨 시리즈를 원작으로 둔 미국드라마 '스몰빌'에서 등장하는 클라크 켄트의 가명.

7. 트랜스포머 시리즈의 등장 로봇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러(트랜스포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조니 올랜도의 노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lur(조니 올랜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출신 트위치 스트리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감블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Bloodlust의 줄임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loodlus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대개 두 가지 용도다. 하나는 얼굴의 잡티나 주름 따위를 뭉게거나, 합성한 티를 줄이거나.[2] 정석적으로 중간프레임을 렌더하여 계산할경우 간격에 3장만 끼워넣어도 4배나 무거워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메쉬 가장자리만 픽셀을 복사하여 간격에 붙여넣는 방식을 쓴다. 그런데 또 이렇게만 하면 생기는 잔상의 간격과 프레임이 달라 위화감이 생기다보니 예측지점이나 잔상에도 블러를 넣곤 하는데 이 경우 실제 잔상과 거리가 많이 생긴다.[3] 좀 남용되는 감이 있긴 한데, 정작 스포일러인 부분은 안 하는 경우가 좀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