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30 09:22:41

사량진 왜변

사량진왜변에서 넘어옴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대외 전쟁·정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colcolor=#ddd>전쟁·정벌교전세력
대마도 정벌 (제2차, 제3차) 1396, 1419왜구
파일:쓰시마 소 가문 문장.svg 소 가문
4군 6진 개척 1433 ~ 1437여진족
모련위 정벌 1461여진족
정건주위(세조) 1467여진족
정건주위(성종) 1479여진족
정니마군 1491여진족
정서북로구 1492여진족
삼포왜란 1510왜구
파일:쓰시마 소 가문 문장.svg 소 가문
사량진 왜변 1544왜구
을묘왜변 1555왜구
니탕개의 난 1583여진족
녹둔도 전투 1587 ~ 1588여진족
임진왜란 1592 ~ 1597파일:고시치노키리.svg 일본 (도요토미 정권)
정유재란 1597 ~ 1598파일:고시치노키리.svg 일본 (도요토미 정권)
제2차 당포 해전 1604파일:도쿠가와 가몬.svg 일본 (도쿠가와 정권)
사르후 전투 1619파일:청나라 국기.svg청나라
흥양 해전 1622파일:네덜란드 동인도 회사.png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정묘호란 1627파일:청나라 국기.svg청나라
병자호란 1637파일:청나라 국기.svg청나라
가도 정벌 1637모문룡 휘하 명군 잔당
송산 전투 1641명나라
나선정벌 1652 ~ 1658파일:루스 차르국 국기.svg 루스 차르국
제너럴 셔먼호 사건 1866파일:미국 국기(1867-1877).svg 미국
병인양요 1866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2제국
신미양요 1871파일:미국 국기(1867-1877).svg 미국
운요호 사건 1875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사량진 왜변
蛇梁鎭 倭變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 기간 1544년 (인종 원년) 4월
장소

경상남도 통영시 사량진
원인 대마도 정부의 왜구 약탈 방임
교전국 일본
(공세)
조선
(수세)
주요 인물
지휘관

[[왜구|
倭寇
]] 불명
지휘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불명
전력 배: 20척 규모 불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사상자: 11여 명
- 전사자: 1명
- 부상자: 10여 명 (민간인)
결과 일본의 승리
영향 가덕도에 진 설치

1. 개요2. 상세3. 결과(결말)

[clearfix]

1. 개요

1544년(중종 39년) 4월, 대마도왜구들이 조선의 사량진[1]을 약탈한 사건이다. 사량왜변(蛇梁倭變)이라 부르기도 한다.

2. 상세

조선 조정은 1510년 삼포왜란을 계기로 부산포(釜山浦) 등의 삼포를 완전히 폐지하였다가 이후 대마도주와 일본인들, 그리고 대마도주의 요청을 받은 무로마치 막부의 지속적인 간청 등으로 인해 1512년에 임신약조(壬申約條)를 맺고 교역은 재개하되 일본인들의 행동에 상당한 제약을 가하는 쪽으로 일본측과 서로 타협을 보게 된다.

하지만 이 임신약조는 대마도주와 일본인들 입장에서는 교역량의 축소로 굉장히 손해를 많이 보는 조약이었다. 이는 이후 세견선 파견수만 비교해보아도 알 수 있는 사실로 임신조약 이후 세견선의 파견 횟수를 그 이전과 비교해 보면 삼포왜란 이전의 210척에서 임신약조 이후 60척으로 세견선의 척수가 크게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만큼 일본인들에 대한 조선의 통제가 엄격해지고 교역규모 또한 크게 축소되었던 것이다. 당연히 이런 상황속에서 대마도주는 불만이 커져서 세견선을 다시금 예전 수준으로 늘려줄 것을 계속 요청하였으나 조선 조정은 5척을 증가시켜 30척으로 해주었을 뿐 나머지 요구는 임신약조에 의거해 일절 허락하지 않았다.

하지만 조선 조정의 이런 조치들에도 불구하고 일본인들은 불만이 매우 커서 일본인들과의 충돌은 그 후에도 여전히 계속되었다. 그렇게 일본인의 행패가 여전히 계속되던 중, 1544년 왜선 20여 척이 현재의 경상남도 통영시 원량면(遠梁面) 진리(鎭里)에 있던 '사량진'에 침입하여 사람과 말을 약탈해 가는 무력충돌이 일어나게 된다. 단, 이 사량진 왜변은 이전의 삼포왜란과는 달리 조직적인 성격이 적은 왜구의 소규모 침입이었던 탓에 피해규모는 꽤나 적은 편이었다.

3. 결과(결말)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대일 수교 조약
계해약조 임신약조 정미약조 기유약조 조일수호조규

안 그래도 조선 조정에서는 거듭되는 일본인들의 조약위반으로 골치를 앓고 있었는데 때 마침 터진 이 '사량진 왜변'을 계기로 기다렸다는듯이 임신조약을 완전히 폐기하고는 일본인의 조선 왕래를 아예 엄금하였다.[2] 그러나 무로마치 막부소이전(小貳殿)의 거듭된 통교재개 요청과 대마도주의 간청에 의해 3년 후인 명종 2년(1547년)에 정미약조(丁未約條)를 체결하고는 교역 재개를 다시금 허락하였다.

이 정미약조의 체결로 가까스로 교역은 재개되었으나 이전과 같은 평화로운 통교관계는 당연히 더 어려워졌고 사량진 왜변 이후에도 명종 말년까지 대소 30여 회의 왜구들의 침략이 계속 일어나게 된다. 그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컸던 것이 1555년(명종 10년) 왜구들이 왜선 70여 척을 동원하여 전라남도의 변장들을 살해하고 10개의 진을 함락시켰던 을묘왜변으로서 이 을묘왜변 이후 조선에서는 비변사(備邊司)를 설치하여 대일경계를 더욱 강화하게 된다.(정확히 말하자면 설치는 임신약조 이후다. 을묘왜변을 기점으로 비변사는 상설기구화되었다)


[1] 당시의 사량진은 오늘날 통영시 원량면 진리로서 오늘날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량면 사량도의 사량진과는 다른 곳이다.[2] 사량진 왜변이 일어난 후 조선 조정은 무로마치 막부오우치·소이전(小貳殿: 중세 북규슈의 호족으로 쇼니씨(小貳氏)로도 칭함)을 제외하고 대마도에 대해서는 일체의 통교를 단절하였다. 무로마치 막부야 실질적인 일본의 실권자 집단이고 딱히 조선과 마찰을 일으키지 않았고 오우치의 경우 자기 조상이 백제인이라고 말할 정도로 한반도 정권에 우호적이었으며 왜구와 연관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