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09:31:32

사우로르니토이데스

사우로르니토이데스
Saurornithoides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urornithoides_mongoliensis.jpg
학명 Saurornithoides mongoliensis
Osborn, 1924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미분류 석형류Sauropsida
용반목Saurischia
아목 수각아목Theropoda
†트로오돈과Troodontidae
아과 †트로오돈아과Troodontinae
사우로르니토이데스속Saurornithoides
[[생물 분류 단계#s-3.9|{{{#000 }}}]]
  • †사우로르니토이데스 몽골리엔시스 (S. mongoliensis)모식종
    Osborn, 1923
파일:Saurornithoides_restoration.png
복원도

1. 개요2. 연구사3. 등장 매체

1. 개요

중생대 백악기 후기의 아시아에서 살았던 수각류 공룡. 속명은 도마뱀을 뜻하는 '사우로스(σαῦρος, sauros)'와 새를 뜻하는 '오르니스(ὄρνις, ornis)', 그리고 모양을 뜻하는 '에이도스(εἶδος, eidos)'가 합쳐진 것으로 '새 모양의 도마뱀'이라는 뜻인데, 이 공룡의 두개골이 새의 그것과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2. 연구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urornithoides.jpg
두개골 화석 그림
트로오돈과 더불어 가장 잘 알려진 트로오돈과 공룡이며, 트로오돈의 화석이 제대로 발견되기 전까지는 트로오돈과를 대표하는 공룡이기도 했다. 이후 트로오돈의 골격 화석이 보고된 이후에도 비슷한 외양을 지닌 점을 토대로 트로오돈과 사우로르니토이데스가 같은 속으로 묶이기도 했다.[1] 트로오돈과 마찬가지로 지능이 매우 높았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모식종보다 더 크고 길다란 두개골을 가진 유니오르종(S. junior)도 있었지만 이 종은 2009년에 자나바자르(Zanabazar)라는 별개의 속으로 재명명되었다. 현재 화석은 미국 뉴욕 시의 미국 자연사박물관에 일그러진 두개골 표본이 소장 및 전시되고 있다.

3. 등장 매체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aurornithoidesPortrait.png


[1] 이 때문에 미국의 우주학자 칼 세이건도 자신의 저서인 에덴의 용에서 트로오돈을 사우로르니토이데스로 소개했다.[2] 다만 전작 Clash of the Dinosaurs에서 쓰인 데이노니쿠스의 모델링과 똑같은 모습인데, 이 둘은 각각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와 트로오돈과에 속한 전혀 다른 종이다.이미지[3] 사실 극중에 나온 모든 트로오돈과 공룡들이 사우로르니토이데스와 모델을 공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