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08:49:50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새크리파이스(유희왕/카드군)
,
,
,
,
,

1. 개요

유희왕의 하급 융합 몬스터 카드.

2. 설명

2.1. 원작

유희왕 DM의 분기별 보스 몬스터
듀얼리스트 킹덤 배틀 시티 본선 노아 배틀 시티 결선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 천계왕 시나토 라의 익신룡
F·G·D[1] 엑조디아 네크로스
도마 KC 그랑프리 왕의 기억
사신 게 왈큐레 브륜힐데[2] -[3]
[ 각주 ]

[1] 애니에서 킹덤 편의 연장선상으로 추가된 애니 오리지널인 '듀얼 퀘스트'의 보스 몬스터이다.[2] KC 그랑프리 편 보스인 지크 로이드는 주인공인 유우기가 아닌 라이벌인 카이바에게 쓰러졌으며, 유우기를 고전시킨 '해당 분기 라스트 듀얼의 보스 카드'는 슈트롬베르크의 황금성이라는 필드 마법 카드였다.[3] 최종 보스인 대사신 조크 네크로파데스는 몬스터는 아니다.

파일:ThousandEyesRestrict-JP-Manga-DM-NC-color.png

새크리파이스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이 융합한 형태.

원작 듀얼리스트 킹덤 편의 최종 보스 페가수스 J. 크로포드의 히든 카드로, 어둠의 유우기와의 2차전에 해당하는 듀얼리스트 킹덤 결승 듀얼 중 새크리파이스를 융합 소재로 삼아 탄생시켰다. 나머지 융합 소재인 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의 영향으로 새크리파이스의 전신에 눈 1000개가 추가된, 대단히 끔찍한 외모를 하고 있다.[1]

본래 새크리파이스가 지니고 있던 몬스터 장착 효과는 대상이 2개로 되어서 갖고 있는데다가, 설정상 저 몸에 달린 1000개의 눈에서 강렬한 사기(邪氣)가 뿜어져나오기 때문에 필드 위의 모든 몬스터들은 움직일 수조차 없다고 한다. 때문에 이 카드를 제외한 다른 카드는 공격은커녕 표시 형식조차 변경할 수 없게 되는 것.

때문에 유우기의 비장의 카드였던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를 이 효과로 완전히 무력화시키며 유우기를 패배시키기 직전까지 갔지만, 크리보증식시킨 뒤 모든 눈에 달라붙어 자폭해 1000개의 눈을 모두 파괴해서 몬스터 락 효과를 제거하면서 패배한다. 이때 크리보를 흡수해서 공격력이 300밖에 안되었고 기존 새크리파이스의 효과인 장착 몬스터가 파괴될시 공격 시전자에게 데미지를 주는 효과가 아예 사라졌다.[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SBS 방영판에서는 천개의 눈을 가진 새크리파이스로 번역되었다. 효과명은 '천개의 눈의 저주'[3]. 효과명은 '다크 아이즈 매직'[4]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도마 편에서는 페가수스 J. 크로포드쿠자크 마이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재등장. 해피의 애완 드래곤을 흡수했으나, 마이가 사용한 해피 레이디 -봉황의 진-에 의해 처참하게 녹아내리고 주인의 패배에 기여했다.[5]

유희왕 ARC-V 126화에서는 아카바 레오가 리얼 솔리드 비전에 관한 이야기를 꺼내던 중의 회상 장면에서 카메오로 등장.

2.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파일:ThousandeyesRest-DM3-JP-VG.png
한글판 명칭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サウザンド・アイズ・サクリファイス
영어판 명칭 Thousand-Eyes Restrict
효과 몬스터
레벨 소환마족 종족 공격력 수비력
1 신마족 마법사족 0 0
상대의 필드에 있는 최강 몬스터를 파워업한 상태로 빼앗는다. (DM3, DM4)
적의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빼앗아, 2레벨 파워업하는 효과를 가졌다. (DM7, DM8)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 등장.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과 수비력을 1000 포인트 올리고 컨트롤을 빼앗는 매우 흉악한 효과로 나오는데, OCG처럼 장착이 아니라 대상 몬스터를 빼앗아 변신하는 것으로 취급된다. 또한 융합 몬스터 개념이 따로 없는 본 시리즈에서는 그냥 메인 덱 몬스터가 되었다. 인게임에서는 페가수스 J. 크로포드를 비롯한 후반부 보스 캐릭터가 빈번히 사용하기도 한다.

코스트가 높긴 하지만 주인공 플레이어도 일반적으로 쓸 수 있는 덕분에 번개를 능가하는 일발역전의 카드로 기능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유우기 덱, 카이바 덱, 죠노우치 덱 버전에 따라 덱에 탑재할 수 있는 카드가 다른데, 이 카드는 어떤 버전에서도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취급된다. 따라서 새크리파이스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을 융합하는 것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환술사 다크 아이즈와 다른 몬스터 2장을 꺼내고, 환술의 의식으로 제물로 바쳐 새크리파이스를 꺼낸 뒤 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과 융합시켜서 암흑의 성의 효과로 한 번 뒷면 표시로 되돌려야 한다. 효과를 발동하기 전까지는 그냥 공격력 / 수비력 모두 0인 약골 몬스터이기 때문에 암흑 수면으로의 초대의 효과로 상대 몬스터를 잠재우는 등의 대책이 필요해진다. 더욱이 환술의 의식은 카이바 덱으로밖에 쓸 수 없기 때문에 '환상의 콤보'라고도 불렸다. 그 반면 페가수스를 비롯한 후반 CPU들은 그냥 덱에 투입해놓고 소환해서 빈번히 써댄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는 제한 카드로 지정되어있지만, 나머지 시리즈에서는 무제한 카드이므로 더더욱 흉악하다.

2.3.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유희왕 OCG의 1 ~ 3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강철의 습격자 마법의 지배자
푸른 눈의 백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 새크리파이스
파라오의 사도 악몽의 미궁 어둠의 유산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제물봉인 가면 라스트 배틀!
왕가의 수호자 매지션의 힘 암흑의 위협
지옥시인 헬포에머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 엑조디아 네크로스
혼돈의 지배 천공의 성역
혼돈의 흑마술사 대천사 제라토
4기 부스터팩 커버 카드 →

파일:サウザンド・アイズ・サクリファイス(DR02).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일어판명칭=サウザンド・アイズ・サクリファイス,
영어판명칭=Thousand-Eyes Restrict,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마법사족,
소재="새크리파이스" + "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이 카드 이외의 필드의 몬스터는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없으며\, 공격할 수 없다.,
효과2=②: 1턴에 1번\,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1장만 장착 가능).,
효과3=③: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이 카드의 효과로 장착한 몬스터 각각의 수치가 되고\,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장착한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모습을 드러내세요. 유일무이한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페가수스 J. 크로포드,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파라오의 사도에서 커버 카드를 맡으며 OCG화 되었다. 옛날에 나온 카드 치고는 효과가 굉장히 많고 심지어 강력하기까지 하다.

원작의 1. 표시 형식 변경 불가능 및 공격 봉쇄 효과, 2. 상대 몬스터 흡수 효과, 3. 전투 데미지 반사 효과 중 1,2번 효과만 OCG화 되었다. 당시에는 카드 프레임 디자인이 효과 칸이 굉장히 좁게 만들어졌고, 이로 인한 용량의 한계로 전투 데미지 반사 효과가 빠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효과는 원작과 마찬가지로 매우 강력하다.

융합 소재가 한정적이지만, 발매 당시 마도 사이언티스트, 돌연변이로 우회적인 소환이 가능하기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성스러운 마술사로 돌연변이를 회수해 곧바로 소환하거나, 쓰쿠요미와 조합해 매 턴 상대의 몬스터를 확실히 제거하는 콤보가 유명했다.

OCG에서 2005년 9월 제한 카드, 2006년 9월 금지 카드가 되었다. 10년이 지난 2016년에 이르러서 4월 제한, 7월 준제한, 10월 무제한으로 풀려났다.

오랜 제제 시간 동안 인스턴트 퓨전을 비롯해 궁합이 좋은 다양한 카드가 발매되었고, 무제한으로 풀려난 뒤 2017년에는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2에서 카드군으로 지정되며 지원을 받았다.

금지 카드가 된 뒤 고요우 가디언과 함께 소환제한-엑스트라넷에서 탈옥 시도를 했으나 한 차례 실패하고, 이후 인베이전 오브 베놈에 수록되는 함정 카드인 서몬 게이트에서 금지 카드인 구신 노덴,[6] No.16 쇼크 마스터, 고요우 가디언,[7] Em 히구루미에게 손수건을 흔들면서 유유히 금지라는 이름의 감옥에서 석방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인상적인 활약상 만큼이나 OCG에서는 다양한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최초의 레벨 1 융합 몬스터', '최초로 의식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애니메이션 출신 융합 몬스터 중 최초의 융합/효과 몬스터', '융합 몬스터 최초로 금지된 카드', '최초의 정규 부스터 팩 커버 융합 몬스터'[8], '최초의 얼티미트 레어' 등등.

유희왕 태그 포스 스페셜에서는 페가수스가 금제를 무시하고 이 녀석을 쓰는데, 인스턴트 퓨전으로 소환하는 플레이를 선보인다.

2.3.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00-12-14 |
[[일본|]][[틀:국기|]][[틀:국기|]] TB-34 | Thousand Eyes Bible - 千眼の魔術書 -
2002-03-21 |
[[일본|]][[틀:국기|]][[틀:국기|]] PE-40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ペガサス・J・クロフォード編 -
2002-12-12 |
[[일본|]][[틀:국기|]][[틀:국기|]] DL3-030 | DUELIST LEGACY Volume 3
2004-06-24 |
[[일본|]][[틀:국기|]][[틀:국기|]] BE1-JP195 | BEGINNER'S EDITION 1
2011-05-14 |
[[일본|]][[틀:국기|]][[틀:국기|]] BE01-JP167 | BEGINNER'S EDITION 1 [ 2011 ]
2016-06-04 |
[[일본|]][[틀:국기|]][[틀:국기|]] DP17-JP045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王の記憶編 -
2017-11-11 |
[[일본|]][[틀:국기|]][[틀:국기|]] DP19-JP000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2 -
2020-12-19 |
[[일본|]][[틀:국기|]][[틀:국기|]] PGB1-JP029 | PRISMATIC GOD BOX SPECIAL PACK
2022-04-29 |
[[일본|]][[틀:국기|]][[틀:국기|]] DR02-JPC31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ROUND2- (サクリファイス)
2002-10-20 |
[[미국|]][[틀:국기|]][[틀:국기|]] PSV-084 | PHARAOH'S SERVANT
2003-01-?? |
[[미국|]][[틀:국기|]][[틀:국기|]] DL1-001 | DUELIST LEAGUE SERIES 1
2004-10-12 |
[[미국|]][[틀:국기|]][[틀:국기|]] DB1-EN195 | DARK BEGINNING 1
2009-07-28 |
[[미국|]][[틀:국기|]][[틀:국기|]] RP02-EN021 | RETRO PACK 2
2016-09-16 |
[[미국|]][[틀:국기|]][[틀:국기|]] DPRP-EN046 | DUELIST PACK - RIVALS OF THE PHARAOH -
2018-02-23 |
[[미국|]][[틀:국기|]][[틀:국기|]] LED2-EN005 | LEGENDARY DUELISTS: ANCIENT MILLENNIUM
2020-05-15 |
[[미국|]][[틀:국기|]][[틀:국기|]] SS04-ENB30 | SPEED DUEL STARTER DECKS: MATCH OF THE MILLENNIUM
2020-07-03 |
[[미국|]][[틀:국기|]][[틀:국기|]] LDS1-EN050 | LEGENDARY DUELISTS: SEASON 1
2004-06-19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PSV-K084 | 파라오의 사도
2006-04-11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BP1-KR195 | 비기너즈 팩 Vol.1
2016-08-22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DP17-KR045 | 듀얼리스트 팩 - 파라오의 기억 편 -
2018-02-08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DP19-KR005 |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2 -

2.4. 기타


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카드 일러스트에서는 저 몸에 덕지덕지 붙은 1000개의 눈들 대부분이 얌전히 감겨있거나 살짝 뜨고 있는 정도에 불과하지만, 부스터 팩 광고에서는 1000개의 눈을 한꺼번에 부릅뜨면서 패기를 발산한다. 게다가 천년 주박을 사용할 때나 크리보를 흡수할 때 가운데에 달린 머리통이 꼿꼿히 선채로 위아래로 움직인다.

또한 유희왕 역대 최종 보스의 에이스 몬스터들 중 유일하게 금지까지 갔던 카드다. 유독 이 카드만 이렇게 됐던 원인을 정리해보자면
  • 효과는 둘째치고 소환이 너무 쉽다. 사실 원작에서도 적과 아군을 불문하고 강력한 몬스터일수록 그만큼 소환 난이도가 상승하거나 상당한 자체적인 디메리트 효과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얘는 소환도 무지 쉬운데다 디메리트 효과는 자신의 다른 몬스터도 공격과 표시 형식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것 뿐이다.[9] 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편법을 썼을 경우의 이야기고, 정규 융합으로 가면 나름대로 수고스럽기에 초기에는 쓰기 힘든 카드였다. 이 카드가 금지먹은 건 저 편법이 가능해지는 카드들 때문이다.
  • 대부분 최종 보스들의 카드들은 제아무리 날고 기는 사기 효과라도 OCG화만 되면 얄짤없이 너프를 먹인다. 소환 난이도를 대폭 올리거나, 강력한 효과를 일부 삭제해서 약화시키거나, 아니면 효과 자체를 아예 다른 것으로 뜯어고치거나, 이 3개를 한꺼번에 먹여서 그냥 고자로 만들거나. 하지만 잘 보면 이 카드만큼은 그런거 없이 원작의 소환 조건과 효과를 거의 그대로 내보냈다는 걸 알 수 있다. 이 카드의 전투로 받는 전투 데미지를 상대에게도 주는 새크리파이스의 효과가 없어지고, 1장밖에 못 먹는 걸 너프라고 할 수 있다. 너프라기보단 전투에 락을 걸어버리니 내가 받은 전투 데미지를 상대에게 주는 효과가 있든 없든 크게 상관이 없다. 요컨데 이 카드는 최종 보스의 카드를 OCG에서 너프 안 먹이고 그대로 내버리면 어떤 사태가 벌어지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사실 이 카드가 정말 원작에서도 OCG에서도 극히 초반에 등장한 카드란 점과, 보스 카드에게 너프 먹이는 전통은 이 카드가 나온 이후 생겼다는 점을 보아 코나미가 이 카드를 반면교사로 삼은게 아닌가 싶다.

3. 관련 카드

3.1. 융합 소재 몬스터

3.1.1. 새크리파이스

3.1.2. 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

3.2. 기타 관련 카드

3.2.1.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레전드 듀얼리스트 팩 2에서 페가수스의 지원으로 나온 리메이크 몬스터.
[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융합하면서 온몸에 눈이 나오는 장면이 추가됐는데 눈이 나오는 곳이 꿈틀거린다.[2] 여담으로 페가수스가 패배한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방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만약 그 어떤 몬스터라도 내 새크리파이스에게 대항할 수는 없다며 자만한 채 기존의 새크리파이스로 먼저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를 흡수하려 들었으면 유우기 입장에선 대항할 방법이 없었다. 설사 '크리보+증식' 콤보로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를 지키더라도, 페가수스가 그때 융합을 사용하여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를 소환하고 다시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를 흡수하려 들면 그때는 막을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페가수스는 유우기에게 같은 수가 두 번 통하지 않을 것이라며 철두철미하게 상대하기 위해 비장의 카드인 이 카드를 먼저 꺼내버렸고, '크리보+증식' 콤보에 당해 패배하게 된 것이다. 보통 악역들은 주인공을 얕보다가 패배하는 것이 클리셰인데, 이 경우에는 오히려 주인공을 너무 철저하게 상대하려다가 패배한 사례다. 그럴 만 한게 자신의 수가 계속 깨지고 있었으니 여유롭게 상대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그토록 자신의 자랑인 툰 월드도 깨지고 새크리파이스와 시한폭탄을 사용하는 전략도 봉쇄당했다. 능수능란하게 자신의 수를 모두 깨고 있었으니 똑같은 전략을 밀어붙히더라도 먹힐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기 쉬웠다.[3] 원판은 천개의 눈의 주박.[4] 원판은 '사악한 눈'.[5] 마이의 라이프가 무실점이었던 것을 보면 주작의 진에 의해 공격이 막힌 듯.[6] TCG에서는 2017년 2월에서야 금지 카드가 되었다.[7] 마찬가지로 OCG 기준으로 했기 때문. TCG에서는 고요우 가디언 쪽이 먼저 빠져나왔다.[8] TCG와 KCG에서는 강철의 습격자를 담당한 블랙 데몬즈 드래곤이 최초이지만 내수판에서는 원본에 해당하는 '암흑마룡부활'이 정규 부스터 팩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9] 정확히 말해 사실 이 녀석은 레벨 1에 공수 0이라는 능력치 자체가 디메리트다. 본래 저렇게 극단적으로 낮은 정신나간 능력치를 사기 효과로 커버하려는, 유희왕 초기에선 상당히 생소한 타입의 몬스터였지만 (그래서인지 이 카드가 등장하는 페가수스와의 듀얼에서는 환상 몬스터라고 언급을 하면서 공/수는 낮지만 좋은 효과들을 갖고있는 카드들이라고 했다.) 지금의 환경에선 저 능력치가 오히려 소환 난이도를 떨어뜨리고 다루기 쉽게 만들어 준다는 게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