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22:07:47

사일럭스


||<tablewidth=600><tablebordercolor=#1e1e79><tablebgcolor=#1e1e79><tablealign=center><:>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e1e79><tablebgcolor=#1e1e79> 파일:메트로이드_로고_white.png||메트로이드
등장인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C9F19><colcolor=#000>주·조연 등사무스 아란 · 조인족 · 아담 마르코비치 · 오로라 유닛
악역메트로이드 · 우주해적 · 리들리
마더 브레인 · 크레이드 · 판툰 · X · SA-X · 나이트메어 · E.M.M.I. · 레이븐 비크
메트로이드 프라임 · 다크 사무스 · 사일럭스
적·보스 모음I · II · 슈퍼 · 퓨전 · 제로 미션 · 아더 M · 사무스 리턴즈 · 드레드
프라임 (보스 · 로그) · 에코즈 · 헌터즈 ( · 보스 · 로그) · 커럽션
시리즈 · 타임라인
}}}}}}}}} ||



1. 개요

파일:http-%2F%2Fvignette1.wikia.nocookie.net%2Fmetroid%2Fimages%2F5%2F57%2FSylus.jpg

Sylux / サイラックス

등장 음악

메트로이드 시리즈의 등장인물. 메트로이드 프라임 헌터즈에서 처음 등장했다.

2. 상세

은신 및 추격의 대가이자 사격의 명수인 현상금 사냥꾼. 은하연방과 이에 협력하는 사무스 아란을 매우 증오하며, 사일럭스의 무기를 비롯한 기술은 은하연방에서 시험 중이었던 프로토타입을 훔친 것이다. 정확히 어떤 이유로 이들을 쫓고 있는 지는 불명.

3. 작중 행적

3.1. 메트로이드 프라임 헌터즈

오프닝에서 연방군들 중 한 명을 땅으로 쳐박고 안개 속에서 나와 포효하는 장면의 주인공.

베스퍼 방어기지에서 아티팩트를 얻기 위해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야 하는 곳에서 처음 등장한다. 깨작깨작 들어오는 대미지가 제법 골치가 아프기 때문에 옥토리스 뺏기기 전에 최대한 빠르게 처치해야 한다.[1] 쓰러뜨리면 사일럭스가 어디론가 이동하는데, 따라가보면 사일럭스의 스타쉽인 델라노 7과 함께 협공을 한다. 델라노 7의 총구를 쏘면 잠시 동안 공격을 멈추긴 하지만[2], 명중률이 굉장히 떨어져서 이리저리 도망다니기만 해도 안 맞는다.

앨리노스 행성의 두번째 스테이지 진행 중 하늘에서 날아가는 걸 볼 수 있지만 딱히 이벤트가 있는 것은 아니다.[3]

3.2. 메트로이드 프라임 3 커럽션

파일:Delano_7_MP3.png
100% 엔딩에서 정체불명의 우주선이 등장해 이게 사일럭스의 것인가 하는 추측이 나왔는데, 이후 E3 2015 관련 인터뷰에서 사일럭스의 것이 맞다고 밝혀졌다. 스토리 상의 이름은 델라노 8. 메트로이드 프라임 시리즈의 프로듀서인 타나베 켄스케는 사무스와 사일럭스를 둘러싼 새로운 스토리를 만들고 싶다고 언급했다.

3.3. 메트로이드 프라임 페더레이션 포스

파일:bandicam 2016-09-14 23-20-22-591.jpg

히든 엔딩에서 누군가 은하연방의 시설에 침입해 보관 중이던 메트로이드의 알을 부화시키는데 정황 상 이게 사일럭스일 가능성이 높다. 다만 페더레이션 포스의 판매량과 평가가 모두 좋지 못해 후속작을 장담할 수 없어 미래가 불투명해진 상황.

3.4. 메트로이드 프라임 4 비욘드

파일:메트로이드프라임4사일럭스.png

2024년 6월 18일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공개된 트레일러 영상 후반에 등장하며 프라임 헌터즈 이후 약 20년 만에 재등장이 확정되었다. 그래픽의 발전으로 디자인이 어느 정도 리파인되었다.

페더레이션 포스의 히든 엔딩을 반영했는지 메트로이드[4] 2마리와 우주해적 병사들을 대동하고 등장한다.

4. 능력

파일:Mphunters_04 (1).jpg

전용 무기는 쇼크 코일로, 퀘이크 시리즈의 라이트닝 건과 비슷한 중성미자를 발사해 공격한다. 무기의 특성 상 차지 샷이 불가능하지만 근처의 적을 자동으로 추적하고 오래 공격할수록 데미지가 등가한다. 사일럭스가 쓰면 데미지를 준 만큼 체력을 회복하는 강력한 무기가 된다. PvP인 온라인 대전에서는 자동 추적+회복이라는 엄청난 성능 덕분에 최상급 무기. 대신 약점이 임페리얼리스트고, 임페리얼리스트의 헤드샷에는 대응할 방법이 없다.
파일:http-%2F%2Fvignette1.wikia.nocookie.net%2Fmetroid%2Fimages%2F6%2F65%2FLockjaw.jpg

트랜스폼은 락죠. 최대 3개까지 설치형 폭탄을 설치하면서 공격한다. 무기명은 와이어 봄. 1개의 폭탄 대미지는 10이지만, 2개의 폭탄이 일정거리 내에 있으면 두 폭탄이 연결되어 전기 그물이 생성되고 전기 그물을 지나간 적에게 40 대미지를 준다. 3번째 폭탄을 설치하면 설치한 모든 폭탄이 폭발하고, 3개의 폭탄이 삼각형을 그리고 삼각형 안에 적이 갇혀 있으면 180데미지를 준다. 온라인 대전 기준 최대 체력이 199라는 걸 고려하면 굉장히 치명적인 기술.

하지만 실전에서 폭탄으로 삼각형을 만들고 적을 가두는 건 쉽지 않은데, 설치형 폭탄의 특징을 이용하면 조금 다른 방법으로 180 이상의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락죠의 와이어 봄은 2개까지만 설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3번째를 설치하면 다같이 폭발하는데, 2개를 연결해두고 상대가 걸린 순간 폭탄을 계속 설치하면 그 폭탄까지 그물로 연결되어 걸린 상대를 향해 날아가나다. 즉 상대에게 가장 가까운 와이어 봄이 터지면 다시 설치할 수 있게 되면서 계속 연결되는 게 반복, 죽을 때까지 폭탄을 날릴 수 있다. 만약 상대가 언제 전기 그물에 걸렸는지 알면 멀리 있어도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저중력 맵에서 락죠의 폭탄을 이용하면 락죠가 붕 떠오르는데, 떨어지는 것보다 떠오르는 게 더 빨라 잘만 쓰면 거의 날아다닐 수 있다. 다만 폭탄을 계속 쓰다 보면 쿨타임이 생기고, 폭탄이 없으면 우주 공간으로 쭉 떨어져 낙사할 수 있다. 실력에 자신이 있다면 임페리얼리스트를 들고 공중에서 헤드샷을 날릴 수 있다.

5. 기타

프라임 헌터즈에서 등장한 헌터 중 유일하게 단독 문서가 있고, 빌런 중 리들리다크 사무스 다음으로 팬덤에서 인기가 많다.

정체가 전혀 밝혀지지 않아 어떤 캐릭터인지에 대한 추측도 활발한데, 정체에 대한 가설로 가장 대표적인 건 아담 마르코비치의 동생 이안 마르코비치라는 설이다. 관련 영상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사일럭스의 슈트와 무기는 은하연방의 프로토타입을 훔친 건데, 은하연방은 대부분 인간으로 구성되어 있어 인간이 사용하는 걸 의도했을 가능성이 높고, 페더레이션 포스에서 아무렇지 않게 은하연방의 시설을 작동시키는 걸 보면 은하연방과 깊은 연관이 있는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 은하연방의 기술자이자 사령관인 아담의 형제인 이안이 은하연방을 속속들이 알고 있을 수 있다.
  • 사일럭스는 사무스와 은하연방에 깊은 증오를 갖고 있는데, 아더엠의 회상에서 이안이 함선을 견인하다 생긴 문제를 해결하려 투입되었다가 폭발 위험이 생기자 함선과 함께 버림받은 바 있다. 이때 간신히 살아남은 뒤 누군가에 의해(지나가던 외계인이든 우주해적을 비롯한 은하연방을 적대하는 세력이든 아니면 은하연방이 불순한 목적으로 육체를 극비리에 빼돌렸든 간에) 사일럭스로 거듭난 뒤 은하연방과 사무스에게 증오심을 갖게 되었다 해도 이상할 게 없다.

혹은 사무스 아란의 남동생인 솔로몬 아란이라는 설도 있는데, 솔로몬 아란은 슈퍼 메트로이드 이후의 사건을 다룬 Blood of the Chozo라는 비공식 작품에서 언급되어 우주해적의 침공 당시 실종되었다고 하는데 이 작품이 비공식임에도 슈퍼 메트로이드가 한창일 때 닌텐도 파워에서 나온 유서 깊은 연재물이라 메트로이드 팬들 중 아는 사람도 꽤 있다. 물론 이 설정을 반영하려면 비공식 작품을 공식 설정으로 인정해야 하지만, 사무스의 숨겨진 가족이 있었다는 설정을 추가한다면 끼워맞출 수는 있다.

어느 쪽이든 추측일 뿐이라 사일럭스의 정체는 여전히 불명이며, 사일럭스가 등장한 프라임 시리즈와 이안이 등장한 정통 시리즈는 각각 타나베 켄스케와 사카모토 요시오라는 서로 다른 프로듀서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데 사카모토는 메트로이드 아더 M에서 공식인 프라임 시리즈를 무시한 전적도 있다. 메트로이드 프라임 4에서 재등장하는 만큼 여기서 많은 게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6. 관련 문서



[1] 어드벤쳐 모드에서 적으로 등장하는 바운티 헌터의 공격력은 대개 멀티플레이보다 낮게 설정되지만, 예외적으로 사일럭스의 쇼크 코일은 대미지 중첩 수치만 낮을뿐 초기 대미지 자체는 멀티플레이 그대로다. 때문에 난이도가 다른 바운티 헌터보다 훨씬 부담스러운 편.[2] 기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스캔이 되지 않는다.[3] 보통 첫 번째 스테이지부터 클리어하게끔 만든 게임의 구조 상, 사일럭스와 한번 교전 한 후에 여기서 날아가는 걸 보게 되는 편이지만 셀레스 스테이션 첫 번째 스테이지 - 엘리노스 행성 첫 번째 스테이지 - 아크테라 행성 첫 번째 스테이지 - 엘리노스 행성 두 번째 스테이지 - 베스퍼 방어기지 첫 번째 스테이지 순으로 클리어하면 앨리노스 행성의 두 번째 보스를 보러 가는 길에 먼저 날아가는 델라노 7을 본 후에 베스퍼 방어기지에서 교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니면 여러 다른 맵을 돌아 다니다 사일럭스를 만나는 것도 가능.[4] 내부에 핵이 3개인 일반 메트로이드의 1형태와 달리 핵이 하나밖에 없어 슈퍼 메트로이드의 마리디아 연구소에서 등장하던 개조 메트로이드라는 추측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