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서구(대구 선거구)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837><tablebgcolor=#008837><tablewidth=250>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중구(대구광역시)/정치| 동인청사 중구]] | 동구 | 서구 | 남구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북구(대구광역시)/정치| 산격청사 북구]] | 수성구 | 달서구 |
}}}}}} ||
1. 선거구 정보
대구광역시 서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 |||
<rowcolor=#ffffff> 구분 | 선거구명 | 지역 | |
<colbgcolor=#fac707><colcolor=#ffffff> 국회의원 | 서구 | 서구 전역 | |
시의원 | 서구 1 | 내당1동, 내당2·3동, 내당4동, 평리2동, 평리4동, 평리5동, 평리6동, 상중이동 | |
서구 2 |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4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원대동, 평리1동, 평리3동 |
1.1. 구의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예정){{{#!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국민의힘| 8석, 구청장 소속 정당 ]] | |||||
무소속 2석 | ||||||
재적 10석 | }}}}}}}}} |
2. 지역 특징
보수정당의 성지인 대구광역시에서도 보수정당 지지세가 가장 강력한 곳이다.[1][2] 실제로 최근의 선거들을 보면 2012년 19대 총선 비례 새누리당 71.16%[3], 2012년 18대 대선 새누리당 박근혜 84.24%[4], 2014년 6회 지방선거 새누리당 비례 76.62%[5], 2016년 20대 총선 비례 새누리당이 61.15%[6], 그리고 보수정당이 궤멸 직전에 몰린 2017년 19대 대선에서조차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과반이 넘는 54.15%[7]의 득표율을 가져갔다. 이후에도 2018년 7회 지방선거 자유한국당 비례 54.69%[8], 2020년 21대 총선 미래한국당 비례 61.57%[9]를 얻었다. TK의 보수세가 예전처럼 회복된 2022년 20대 대선 역시 국민의힘 윤석열 79.53%[10][11], 같은 해에 시행된 2022년 8회 지방선거 국민의힘 비례 81.97%[12]가 나와 최근 10년 안에 있었던 전국 선거에서 한 번도 빠지지 않고 대구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올려 서구보다 보수정당이 높은 득표율을 올린 곳이라곤 경상북도 시골 지역들밖에 없었을 만큼, 아주 굳건하게 보수정당의 기둥이 되어주는 든든한 텃밭이다. 참고로 그 중 윤석열은 비영남권 출신이고, 게다가 정치 입문 8개월 만에 저 정도 결과가 나왔기에 어찌 보면 서구의 강한 보수성향을 그대로 증명한 것이나 마찬가지다.한편 여기는 박정희 - 박근혜에 대한 향수와 충성심이 높아 친박의 성지이기도 한데, 실제로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한나라당 대신 친박연대의 홍사덕 의원이 당선되었고,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도 친박연대 신검식 후보가 무려 45%를 얻었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대구의 섬유산업을 육성한 사람이 바로 박정희였기 때문이다.
물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는 이 곳에서도 영향을 끼쳤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18대 대선 때보다 30%나 깎인 득표율을 받았다. 하지만 그 깎인 득표율이 54.15%로 대구에서는 압도적 1위, TK 통틀어서도 일부 인구가 적은 군에서만 이 득표율을 상회할 정도로 보수세가 여전히 있다는 것도 증명되었다. 반면 문재인 후보는 여기서 겨우 17.32%를 받는데 그쳐서 남구(19.94%)와 같이 20% 미만을 받은 유이한 구가 되었다.
특히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대선 거물급 정치인인 국민의힘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후보가 이 곳에서 약 83%(정확히는 82.96%)를 얻어 여전히 대구에서 보수 초강세 지역이라는 건 변함이 없다. 결국 더불어민주당 서재헌 대구시장 후보는 대구에서 유일하게 선거비 전액보전(15%)을 넘기지 못하여 끔살당할 수준에 그쳤다.
하지만 여기가 옛날부터 항상 보수의 파워가 쎈 동네는 아니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여기야말로 오히려 대구에서 보수세가 상대적으로 약한 지역구였다.[13] 이는 그 당시만 해도 섬유산업이 발전한 지역이자 2030대(현 5060대) 인구가 대구에서 가장 많았던 대구의 신흥 주거지였기 때문이다.[14] 실제로 이는 서구 갑 선거구에서 치러진 1990년 재보궐선거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꼬마민주당 출신 백승홍 후보가 42.5%를 얻어 선전했다.[15][16][17], 하지만 달서구가 분구되고 성서지구, 월배지구, 칠곡지구가 개발되고, 거기에다가 섬유산업도 쇠퇴하면서[18] 인구 유출이 일어나게 되어 높은 고령 인구 비율과 이에 대비되는 낮은 청년 인구 비율,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 낙후된 학군 등 문제를 안게 되며 다른 대구의 행정구역들과 달리 거주에 대한 메리트를 잃어 결국 현재처럼 되어버린 것이다.[19] 그렇다고 같은 서대구권인 달서구, 달성군과는 달리 유입이 될 요소도 적기에 계속 보수화가 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서대구역세권개발사업, 대경선 등에 따라 인구가 유입된다면 예측이 어렵겠지만, 적어도 이것도 최소 10년 뒤의 일이다. 또 서구의 문제 중 하나인 학군 문제는 아예 해결이 요원하다.
의외로 거물급이 많이 나왔던 동네이다. 실제로 인구 유출로 합구되기 이전에 치렀던 1988년 13대 총선 ~ 1996년 15대 총선까지는 갑과 을 2명의 국회의원을 뽑았는데, 이 중 서구 갑에서 하나회 멤버로 장관만 2번 지낸 정호용,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 출신으로 후일 민선 1, 2기 대구광역시장을 역임한 문희갑 등을 배출했고, 서구 을에서는 후일 한나라당 대표를 지낸 강재섭을 배출했다. 강재섭은 선거구 합구 후 단일 선거구까지 포함해서 무려 4선 의원을 역임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구 관리를 내팽겨치다시피 해 서구 쇠퇴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3. 역대 선거 결과
대구광역시 서구 국회의원 | |||||||
서구 갑 | 서구 을 | ||||||
13대 | 정호용 (초선)[20] | 최운지 (재선) | |||||
[[민주자유당|]] 문희갑 (재선)[21] | |||||||
14대 | [[무소속(정치)| 무소속 ]] 정호용 (재선) | [[민주자유당|]] 강재섭 (재선) | |||||
15대 | [[무소속(정치)| 무소속 ]] 백승홍 (초선) | 강재섭 (3선) | |||||
서구 | |||||||
16대 | 강재섭 (4선) | ||||||
17대 | 강재섭 (5선) | ||||||
18대 | [[친박연대(2017년)|]] 홍사덕 (6선) | ||||||
19대 | [[새누리당|]] 김상훈 (초선) | ||||||
20대 | [[새누리당|]] 김상훈 (재선) | ||||||
21대 | [[미래통합당|]] 김상훈 (3선) | ||||||
22대 | 김상훈 (4선) |
||<-5><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ac707><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color=#000000,#dddddd> 역대 서구청장 선거 결과 ||
1995 | 1998 | 2002 | 2006 | 2008 재보궐 | ||
민주자유당 | 한나라당 | 한나라당 | 무소속 | |||
이의상 | 윤진[22] | 서중현 | ||||
2010 | 2011 재보궐 | 2014 | 2018 | 2022 | ||
무소속 | 한나라당 |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 국민의힘 | ||
서중현[23] | 강성호 | 류한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1995년 | 1위: [[민주자유당|]] 이의상 34.14%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현모 29.46%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조용목 21.17%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동웅 15.21% | |||||
1998년 | 1위: 이의상 73.14% 2위: 김현모 26.85% | |||||
2002년 | 1위: 윤진 43.13%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서중현 38.64%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의상 18.22% | |||||
2006년 | 1위: 윤진 56.92%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서중현 43.07% | |||||
2008년 |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서중현 43.58%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강성호 15.44% | |||||
2010년 |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서중현 62.30%2위: 강성호 37.69% | |||||
2011년 | 1위: 강성호 55.01% 2위: 신점식 43.98% | |||||
2014년 | 1위: [[새누리당|]] 류한국 51.2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강성호 22.86%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서중현 22.57% | |||||
2018년 | 1위: [[자유한국당|]] 류한국 50.06% 2위: 윤선진 28.28% 3위: 서중현 21.65% | |||||
2022년 | 1위: 류한국 67.8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서중현 32.13% | }}}}}}}}} |
3.1. 지선
8회 지선 서구 개표 결과 | ||||
대구광역시장 선거 | ||||
정당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서재헌 | 홍준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8,993 (13.80%) | 54,059 (82.96%) | -45,066 (▼69.16) | 44.82% |
내당1동 | 13.11% | 84.05% | ▼70.94 | 39.38 |
내당2·3동 | 12.68% | 83.87% | ▼71.19 | 42.30 |
내당4동 | 15.39% | 80.94% | ▼65.55 | 42.52 |
비산1동 | 11.61% | 85.21% | ▼73.60 | 42.78 |
비산2·3동 | 11.86% | 84.33% | ▼72.47 | 44.22 |
비산4동 | 13.00% | 83.97% | ▼70.97 | 42.76 |
비산5동 | 9.63% | 87.78% | ▼78.15 | 45.67 |
비산6동 | 13.09% | 83.82% | ▼70.73 | 45.66 |
비산7동 | 11.05% | 86.03% | ▼74.98 | 41.25 |
평리1동 | 11.35% | 85.74% | ▼74.39 | 43.26 |
평리2동 | 16.07% | 80.68% | ▼64.61 | 45.35 |
평리3동 | 13.62% | 83.07% | ▼69.45 | 40.59 |
평리4동 | 14.83% | 81.99% | ▼67.16 | 40.79 |
평리5동 | 13.76% | 82.89% | ▼69.13 | 44.45 |
평리6동 | 12.25% | 84.48% | ▼72.23 | 39.58 |
상중이동 | 14.33% | 82.56% | ▼68.23 | 42.28 |
원대동 | 11.96% | 84.74% | ▼72.78 | 42.77 |
후보 | 서재헌 | 홍준표 | 격차 | |
거소투표 | 17.64% | 76.47% | ▼58.83 | |
관외사전투표 | 19.76% | 76.83% | ▼57.07 | |
국회의원 선거구별 | 서재헌 | 홍준표 | 격차 | 투표율 |
서구[C][25] | 13.21% | 83.57% | ▼70.35 | 42.48 |
서구청장 선거 | ||||
정당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류한국 | 서중현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43,750 (67.86%) | 20,720 (32.13%) | +23,030 (△35.73) | 44.82% |
내당1동 | 70.77% | 29.22% | △41.54 | 39.43 |
내당2·3동 | 67.26% | 32.73% | △34.53 | 42.30 |
내당4동 | 72.10% | 27.89% | △44.20 | 42.52 |
비산1동 | 62.38% | 37.61% | △24.76 | 42.80 |
비산2·3동 | 61.61% | 38.38% | △23.22 | 44.22 |
비산4동 | 69.06% | 30.93% | △38.13 | 42.87 |
비산5동 | 70.88% | 29.11% | △41.77 | 45.69 |
비산6동 | 64.54% | 35.45% | △29.09 | 45.65 |
비산7동 | 71.07% | 28.92% | △42.14 | 41.27 |
평리1동 | 64.44% | 35.55% | △28.89 | 43.27 |
평리2동 | 65.65% | 34.34% | △31.30 | 45.35 |
평리3동 | 65.06% | 34.93% | △30.13 | 40.60 |
평리4동 | 68.31% | 31.68% | △36.63 | 40.86 |
평리5동 | 69.35% | 30.64% | △38.70 | 44.45 |
평리6동 | 69.76% | 30.23% | △39.53 | 39.62 |
상중이동 | 71.80% | 28.19% | △43.61 | 42.27 |
원대동 | 66.60% | 33.39% | △33.21 | 42.77 |
후보 | 류한국 | 서중현 | 격차 | |
거소투표 | 64.17% | 35.82% | △28.35 | |
관외사전투표 | 66.83% | 33.11% | △33.76 |
3.2. 대선
3.2.1. 제16대 대통령 선거
서구 대구 서구 일원 | |||
정당 | | ||
후보 | 이회창 | 노무현 | 권영길 |
득표수 | 108,754 | 24,715 | 4,276 |
득표율 | 78.69% | 17.88% | 3.09% |
순위 | 1위 | 2위 | 3위 |
계 | 선거인 수 | 205,066 | |
투표 수 | 139,670 | ||
무효표 수 | 1,475 | ||
투표율 | 68.13% |
3.2.2. 제17대 대통령 선거
서구 대구 서구 일원 | |||||
정당 | [[대통합민주신당|]]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후보 | 정동영 | 이명박 | 권영길 | 문국현 | 이회창 |
득표수 | 6,600 | 83,998 | 2,087 | 3,907 | 22,579 |
득표율 | 5.50% | 70.11% | 1.74% | 3.26% | 18.84% |
순위 | 3위 | 1위 | 5위 | 4위 | 2위 |
계 | |||||
선거인 수 | 190,185 | ||||
투표 수 | 120,295 | ||||
무효표 수 | 491 | ||||
투표율 | 63.35% |
3.2.3. 제18대 대통령 선거
서구 대구 서구 일원 | ||
정당 | [[새누리당|]] | |
후보 | 박근혜 | 문재인 |
득표수 | 120,625 | 22,092 |
득표율 | 84.24% | 15.42% |
순위 | 1위 | 2위 |
계 | 선거인 수 | 185,772 |
투표 수 | 143,549 | |
무효표 수 | 361 | |
투표율 | 77.35% |
3.2.4. 제19대 대통령 선거
서구 대구 서구 일원 | |||||
정당 | | [[자유한국당|]]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득표수 | 22,004 | 68,782 | 21,427 | 12,259 | 5,373 |
득표율 | 17.32% | 54.15% | 14.02% | 9.65% | 4.23% |
순위 | 2위 | 1위 | 3위 | 4위 | 5위 |
계 | |||||
선거인 수 | 173,359 | ||||
투표 수 | 127,659 | ||||
무효표 수 | 649 | ||||
투표율 | 73.64% |
19대 대선 서구 개표 결과 | |||||||
정당 | | [[자유한국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
득표수 (득표율) | 22,004 (17.32%) | 68,782 (54.15%) | 17,808 (14.02%) | 12,259 (9.65%) | 5,373 (4.23%) | - 46,778 (▼36.83) | 73.64% |
내당1동 | 16.89% | 54.82% | 13.14% | 10.61% | 3.97% | ▼37.93 | 70.70 |
내당2·3동 | 15.91% | 57.59% | 13.13% | 9.09% | 3.79% | ▼41.68 | 71.59 |
내당4동 | 18.67% | 52.33% | 13.47% | 10.72% | 4.33% | ▼33.66 | 74.07 |
비산1동 | 14.66% | 58.33% | 14.69% | 8.05% | 3.55% | ▼43.67 | 69.86 |
비산2·3동 | 13.49% | 60.98% | 13.00% | 8.13% | 3.78% | ▼47.49 | 68.24 |
비산4동 | 15.05% | 56.37% | 13.94% | 9.52% | 4.43% | ▼41.32 | 72.00 |
비산5동 | 14.62% | 60.51% | 12.61% | 8.44% | 3.15% | ▼45.89 | 71.31 |
비산6동 | 15.26% | 57.87% | 14.30% | 7.96% | 4.12% | ▼42.61 | 72.45 |
비산7동[26] | 13.90% | 61.16% | 13.19% | 7.81% | 3.24% | ▼47.26 | 68.91 |
평리1동 | 15.39% | 58.23% | 14.19% | 8.28% | 3.39% | ▼42.84 | 70.71 |
평리2동 | 19.09% | 51.31% | 14.57% | 10.44% | 4.15% | ▼32.22 | 75.58 |
평리3동 | 16.75% | 55.17% | 13.44% | 9.75% | 4.29% | ▼38.42 | 70.71 |
평리4동 | 17.91% | 52.47% | 14.45% | 10.21% | 4.45% | ▼34.56 | 72.82 |
평리5동 | 14.70% | 59.44% | 13.14% | 8.67% | 3.43% | ▼44.74 | 71.94 |
평리6동 | 14.13% | 60.74% | 12.17% | 8.12% | 4.19% | ▼46.61 | 70.18 |
상·중·이동[27] | 18.27% | 52.53% | 13.98% | 10.27% | 4.26% | ▼34.26 | 75.20 |
원대동 | 14.64% | 60.12% | 13.08% | 8.21% | 3.30% | ▼45.48 | 68.49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25.44% | 30.74% | 26.86% | 12.72% | 2.47% | ▼5.30 | |
관외사전투표 | 26.80% | 34.88% | 17.38% | 13.27% | 6.83% | ▼8.08 | |
재외투표 | 53.74% | 10.28% | 18.93% | 6.31% | 9.81% | △34.81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격차 | 투표율 |
서구[28][29] | 16.23% | 56.29% | 13.64% | 9.30% | 3.95% | ▼40.06 | 71.72 |
3.2.5. 제20대 대통령 선거
서구 대구 서구 일원 | ||
정당 |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득표수 | 19,516 | 89,620 |
득표율 | 17.31% | 79.53% |
순위 | 2위 | 1위 |
계 | 선거인 수 | 149,729 |
투표 수 | 113,904 | |
무효표 수 | 1,222 | |
투표율 | 76.07% |
20대 대선 서구 개표 결과 | |||||||
정당 | |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19,516 (17.31%) | 89,620 (79.53%) | - 70,104 (▼62.22) | 113,904 (76.07%) | |||
내당1동 | 16.60% | 80.28% | ▼63.68 | 73.40 | |||
내당2·3동 | 16.01% | 80.88% | ▼64.87 | 72.49 | |||
내당4동 | 17.26% | 80.02% | ▼62.76 | 75.79 | |||
비산1동 | 15.59% | 81.15% | ▼65.57 | 73.43 | |||
비산2·3동 | 15.20% | 81.56% | ▼66.36 | 72.52 | |||
비산4동 | 15.98% | 80.87% | ▼64.89 | 74.45 | |||
비산5동 | 15.36% | 81.68% | ▼66.32 | 73.64 | |||
비산6동 | 15.84% | 80.82% | ▼64.98 | 74.32 | |||
비산7동[A] | 15.25% | 81.81% | ▼66.56 | 70.25 | |||
평리1동 | 16.56% | 80.55% | ▼63.99 | 74.85 | |||
평리2동 | 19.29% | 78.18% | ▼58.89 | 77.54 | |||
평리3동 | 17.09% | 79.54% | ▼62.45 | 73.51 | |||
평리4동 | 16.93% | 80.04% | ▼63.12 | 73.75 | |||
평리5동 | 16.10% | 80.98% | ▼64.89 | 75.51 | |||
평리6동 | 14.19% | 82.88% | ▼68.69 | 72.01 | |||
상·중·이동[B] | 18.32% | 78.74% | ▼60.42 | 75.80 | |||
원대동 | 15.86% | 81.23% | ▼65.37 | 72.17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23.39% | 67.88% | ▼44.50 | ||||
관외사전투표 | 22.55% | 73.20% | ▼50.64 | ||||
재외투표 | 54.54% | 41.32% | △13.22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투표율 | |||
서구[C][33] | 16.60% | 80.38% | ▼63.78 | 73.99 |
3.3. 총선
21대 총선 서구 개표 결과 | |||||||||||||
국회의원 선거 | |||||||||||||
정당 | | [[미래통합당|]] | 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윤선진 | 김상훈 | 서중현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17,580 (17.80%) | 66,574 (67.43%) | 9,417 (9.53%) | - 48,994 (▼49.63) | 100,090 (63.60%)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내당1동 | 18.57% | 70.34% | 6.88% | ▼51.77 | 60.11 | |||||||
내당2·3동 | 16.58% | 71.53% | 8.19% | ▼54.94 | 60.47 | ||||||||
내당4동 | 18.98% | 69.73% | 6.58% | ▼50.75 | 63.68 | ||||||||
비산1동 | 14.00% | 66.27% | 14.45% | ▼52.27 | 60.72 | ||||||||
비산2·3동 | 13.45% | 66.09% | 12.86% | ▼52.64 | 60.29 | ||||||||
비산4동 | 17.49% | 67.66% | 9.59% | ▼50.16 | 62.54 | ||||||||
비산5동 | 15.46% | 70.58% | 9.47% | ▼55.12 | 63.30 | ||||||||
비산6동 | 14.79% | 66.50% | 12.03% | ▼51.71 | 62.84 | ||||||||
비산7동[A] | 14.54% | 72.26% | 8.92% | ▼57.72 | 59.51 | ||||||||
평리1동 | 14.83% | 66.06% | 12.45% | ▼51.23 | 61.14 | ||||||||
평리2동 | 18.75% | 66.32% | 10.09% | ▼47.57 | 65.03 | ||||||||
평리3동 | 16.86% | 66.25% | 10.52% | ▼49.39 | 62.47 | ||||||||
평리4동 | 18.06% | 67.72% | 9.60% | ▼49.66 | 61.31 | ||||||||
평리5동 | 17.72% | 68.72% | 8.09% | ▼51.00 | 59.03 | ||||||||
평리6동 | 15.02% | 71.47% | 9.97% | ▼56.46 | 60.80 | ||||||||
상·중·이동[B] | 19.46% | 67.94% | 7.24% | ▼48.48 | 64.15 | ||||||||
원대동 | 15.31% | 69.82% | 10.04% | ▼54.51 | 59.45 | ||||||||
후보 | 윤선진 | 김상훈 | 서중현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17.80% | 64.39% | 10.99% | ▼46.60 | |||||||||
관외사전투표 | 30.22% | 54.72% | 9.07% | ▼24.49 | |||||||||
재외투표 | 61.81% | 29.09% | 3.63% | △32.73 |
3.3.1. 비례대표
3.3.1.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득표율) | 58.753 (61.57%) | 12,296 (12.88%) | 5,653 (5.92%) | 5,738 (6.01%) | 2,077 (2.17%) | + 46,457 (△48.68) | 100,101 (63.58%)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내당1동 | 61.41% | 12.61% | 5.11% | 7.02% | 2.09% | △48.79 | 60.12 | |||||||
내당2·3동 | 65.11% | 12.21% | 4.77% | 5.66% | 1.94% | △52.91 | 60.47 | ||||||||
내당4동 | 60.87% | 13.01% | 5.73% | 6.60% | 2.25% | △47.86 | 63.69 | ||||||||
비산1동 | 63.91% | 11.41% | 5.59% | 4.80% | 1.92% | △52.51 | 60.73 | ||||||||
비산2·3동 | 63.30% | 10.92% | 6.68% | 5.09% | 1.88% | △52.38 | 60.29 | ||||||||
비산4동 | 61.16% | 12.69% | 6.22% | 6.64% | 2.18% | △48.47 | 62.55 | ||||||||
비산5동 | 66.50% | 11.96% | 5.00% | 4.11% | 1.64% | △54.55 | 63.30 | ||||||||
비산6동 | 63.27% | 11.95% | 6.83% | 5.28% | 1.27% | △51.32 | 62.84 | ||||||||
비산7동[A] | 66.40% | 10.59% | 4.54% | 5.30% | 1.58% | △55.81 | 59.52 | ||||||||
평리1동 | 62.27% | 11.71% | 6.02% | 5.37% | 2.00% | △50.56 | 61.16 | ||||||||
평리2동 | 60.46% | 13.73% | 5.69% | 7.31% | 2.28% | △46.74 | 65.05 | ||||||||
평리3동 | 63.15% | 12.60% | 6.17% | 5.67% | 2.12% | △50.55 | 62.47 | ||||||||
평리4동 | 60.89% | 12.38% | 6.16% | 6.62% | 2.39% | △48.50 | 61.31 | ||||||||
평리5동 | 63.57% | 13.81% | 4.35% | 6.05% | 1.89% | △49.76 | 59.03 | ||||||||
평리6동 | 66.75% | 11.11% | 4.48% | 4.48% | 1.50% | △55.63 | 60.80 | ||||||||
상·중·이동[B] | 60.33% | 13.43% | 6.17% | 6.73% | 2.50% | △46.90 | 64.16 | ||||||||
원대동 | 64.81% | 11.17% | 5.56% | 5.36% | 1.82% | △53.64 | 59.45 | ||||||||
정당 | [[미래한국당|]] | 격차 | 투표율 | ||||||||||||
거소·선상투표 | 55.42% | 16.00% | 7.42% | 2.85% | 2.28% | △39.43 | |||||||||
관외사전투표 | 47.57% | 20.50% | 8.19% | 7.00% | 3.73% | △27.07 | |||||||||
재외투표 | 26.15% | 35.38% | 12.30% | 3.07% | 10.76% | ▼9.23 |
[1] 반대로 말하자면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대구에서도 가장 낮다는 뜻이다.[2] 민주당계 정당의 심장인 광주광역시에서 민주당계 정당 지지가 가장 높은 광산구와 리버스 버전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쪽은 반대로 광주에서도 노년층 유권자가 가장 적은 곳이다.[3] 전국 평균 42.80%, 대구 평균 66.48%[4] 전국 평균 51.55%, 대구 평균 80.14%[5] 전국 평균 48.47%, 대구 평균 69.92%[6] 전국 평균 33.50%, 대구 평균 53.06%[7] 전국 평균 24.03%, 대구 평균 45.36%[8] 전국 평균 27.84%, 대구 평균 46.14%[9] 전국 평균 33.84%, 대구 평균 54.79%[10] 전국 평균 48.56%, 대구 평균 75.14%[11] 참고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대구에서 유일하게 20% 미만으로 득표하여 선거비 전액보전(15%)을 겨우 넘긴 정도로 그쳤다.[12] 전국 평균 52.36%, 대구 평균 76.80%[13] 1990년대까지는 남구가 가장 보수적인 곳으로 꼽혔으며, 1997년 15대 대선과 2002년 16대 대선에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가 대구를 넘어 전국 1위로 최다 득표를 기록한 지역은 중구였다.[14] 2020년대 현재의 달서구와 같은 포지션이라고 보면 된다, 공교롭게도 달서구가 바로 서구에서 분구된 구다..[15] 다만 이는 정호용의 일부 지지자들이 민주자유당에 대한 반발심으로 민자당 문희갑 후보 대신 백승홍에게 투표했다는 분석도 있다. 당장 2년 뒤 치러진 14대 총선에서는 무소속으로 출마한 정호용이 압승하고 민자당 소속인 문희갑은 30%도 채 안 되는 득표율을 얻었으며, 당연히 민주당 백승홍 후보도 참패했다.[16] 백승홍 후보는 이후 14대 총선에서 낙선 후 15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고, 이후 신한국당에 입당해 보수 정치인으로 전향하여 그 후 16대 총선에서는 서구가 단일 선거구로 합구되자 중구로 지역구를 옮겨 한나라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재선 의원을 지냈다.[17] 이 득표율은 2005년 재보궐선거 때야 깨졌다.[18] 이게 바로 서구 몰락의 치명타를 준 요인이다. 동시기에 개발된 포항시나 구미시의 경우 제철과 전자 산업이 크게 쇠퇴하지 않아 인구가 감소는 할지언정 서구 마냥 인구가 순식간에 급감하진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포항과 구미는 TK임에도 불구하고 경상북도에서 민주당세가 다소 높은 지역들에 속하는데, 그 이유 중 하나가 철강, 전자산업의 존재로 청년들의 수도권으로의 유출을 어느 정도 막는 방패가 되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산업이 얼마나 길게 가는가도 도시의 미래를 결정짓는 요소인 게 반증이 된 것이다.[19] 어찌 보면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와 비슷한 흐름을 탔다. 마산합포구도 한일합섬으로 대표되는 섬유산업이 있어 1990년대 전까지만 해도 마창진의 중심지였다. 하지만 섬유산업이 쇠퇴하면서 구창원에게 자리를 뺏기고 부산 인접 지역인 진해구도 개발되고, 마산회원구도 내서읍이 개발되면서 2020년대 현재는 마창진 지역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으로 추락했다. 그나마 마산합포구는 학군도 다소 괜찮고 수산업이라도 있기에 서구 정도로 몰락한 곳은 아니다.[20] 90.01.08. 의원직 사퇴 (5공 청문회)[21] 90.04.03. 재보궐선거[22] 08.01.17. 구청장직 상실 (선거법 위반)[23] 11.09.14. 구청장직 사퇴 (19대 총선 출마)[C] 관외투표 제외[25] 지역구 국회의원: 김상훈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3선)[26] 북부정류장 및 대구섬유공단이 있는 동네[27] 상리동 + 중리동 + 이현동을 관할하며, 서대구산업단지가 있는 동네[28] 관외투표 제외[29] 지역구 국회의원 : 김상훈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재선)[A] 대구염색산업단지가 있는 동네[B] 법정동 상리동 + 중리동 + 이현동. 서대구산업단지가 있는 동네[C] 관외투표 제외[33] 지역구 국회의원: 김상훈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3선)[A] [B] [A]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