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02:49:47

서울서체

서울남산체에서 넘어옴
파일:윤디자인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폰트 목록
문서가 있는 서체
윤고딕 윤명조 서울서체
함초롬체
}}}}}}}}} ||
<colbgcolor=#333><colcolor=#fff> 서울남산체 / 서울한강체
SeoulNamsan / SeoulHangang
파일:서울서체.png
분류 돋움 / 바탕
제작 윤디자인
출시 2008년 7월 15일
활자 가족 서울남산체 L/M/B/EB
서울남산체 세로쓰기
서울남산 장체 L/M/B/EB/BL
서울한강체 L/M/B/EB
서울한강 장체 L/M/B/EB/BL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평가3. 사용 예시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가 기획, 윤디자인이 제작하고 배포하는 공개용 글꼴.

2007년 10월 3개의 글꼴 모양 중 하나를 시민 투표를 통해 결정하였다. 이때 현재 글꼴로 선정된 2번 후보의 이미지를 보면 서울남산체에서 ㅅ, ㅈ, ㅊ자의 비대칭이 존재하지 않는데, 아마 이 이후에 추가된 듯하다. 그 외에는 현재 글꼴과 거의 유사하다. 그리고 2008년 5~7월 즈음부터 공공시설물에 적용됨과 동시에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2010년 이후 기존의 08서울서체를 개량한 서체를 내보냈고,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08서울서체는 비트맵 환경에서 픽셀이 더러워지는 경향이 있는데, 상대적으로 현용 서울서체는 그것이 고쳐진 편이다.

서울남산체와 서울한강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글자 굵기에 따른 베리에이션(L/M/B/EB)과 가로폭을 줄인 장체(L/M/B/EB/BL), 서울남산체 한정으로 세로쓰기 전용 글씨체가 있다.

2. 평가

무난하고 범용성 높은 글씨모양과 특별한 허가절차 없이 누구나 무료로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넓은 저작권을 갖고있다. 물론 폰트를 유료로 양도하거나 판매하는 등 상업적 행위는 금지된다. 다만 다산콜센터를 통해 확인해본 결과 개인은 물론 기업에서도 WOFF, EOT 등으로 변환하여 상업(영리) 목적으로 서울서체를 웹폰트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말 그대로 폰트 파일 자체를 유료로 양도하거나 판매하는 행위만 빼고 모두 허용되는 셈이다.

덕분에 서울시 및 산하기관, 서울시교육청, 서울교통공사서울시메트로9호선은 물론이고 타 지방자치단체, 중앙정부기관,[1] 심지어 민간기업(영세점포 포함)[2]조차 이 글꼴, 특히 서울남산체를 쓰는 경우가 꽤 흔하다.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기업이 별도의 라이선스를 얻거나 폰트 로열티를 지불하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이들에게는 큰 장점이다. 국외에서도 한국인들에 의해 입소문을 타기 시작하면서 2016년 중반까지 심지어 삿포로 시청 한국어 홈페이지에서 사용하다가 담당자가 바뀌면서 돈을 거하게 썼는지 2016년 후반에 리뉴얼되어 사라지고 말았다.

이 글꼴은 현재는 사실상 서울특별시를 상징하는 것들 중 하나가 되었다.

남산체의 범용성과 인기에 밀려 상대적으로 주목을 못 받지만 한강체도 나름대로 입지가 탄탄한 편이다. 여러 예쁜 글씨체가 나와있는 돋움계열 서체들과 달리 동글동글해서 딱딱한 느낌이 덜한 하이브리드형 명조서체는 서울한강체 말고 없다시피 하기 때문이다. 렉시새봄이나 리디바탕이 있지만 레귤러 굵기밖에 없어서 활용이 제한적이다. 애초에 명조라는 계열 자체가 격식 차리는 서체긴 하지만 그래도 디자인을 하다 보면 고딕과 명조 사이의 그 어딘가가 필요하게 마련인데 이런 경우 서울한강체는 거의 유일한 선택지일 수밖에 없다. 이런 인기를 반영하듯 처음에는 볼드 서체를 지원하지 않던 서울한강체도 2010년대 들어 B와 EB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특기할 점은 서울서체는 폰트 개발과정에서 실험적인 과정을 거친 글꼴이란 것이다. 돋움체와 명조체를 동일한 원도를 기반으로 개발하는 과정을 시도한 것인데 ㅎ, ㅊ에서 윗부분의 곡선이 한강체와 남산체가 동일한 곡률을 갖는 것에서 짐작할 수 있다. 서울서체 프로젝트가 나름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자 다른 글꼴 디자인 업체도 이를 벤치마킹 하기도 한다는 모양이다.

다만 가독성 측면에서 서울서체는 생각보다 좋지 못하다. 심미성 위주의 설계 때문에 단어, 문장 단위로는 보기 좋을지도 모르지만 서체 자체가 세로로 길고 글자마다 크기가 들쭉날쭉해서 문단, 글 수준이 되면 나눔고딕, 맑은 고딕, 일반 명조체 등 다른 글꼴들보다는 가독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인쇄·배포용 위주로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것이라 클리어타입 적용 시스템에서나 인터넷용 글꼴로 쓸 때도 은근히 위화감이 느껴지는 편이다. 때문에 특히 어르신들에게 불호가 심하다. 일설에 따르면, 위에 써진 대로 돋움체와 명조체를 동일한 원도를 기반으로 개발하다보니 같이 딸려온 부작용이라고 한다. 다만 스마트폰 글꼴로 사용할 경우 안티앨리어싱이 확실히 되는 편이라 그나마 낫다고 한다.

또 다른 문제점 중 하나는 중국의 간체자나 일본의 신자체 한자를 제대로 지원하지 못한다는 점이다.가나, 한자가 못봐줄 정도로 이상하다.서울시의 공식 서체라면 지하철이나 공공시설 등에서 중국어, 일본어 표기도 담당해야 하는데 이게 안 되니 번거로움을 감수하고 별도 서체(보통 각 언어별 윈도우 기본 폰트)를 조합하여 쓰는 수밖에 없다. 특히 서울 스스로 정한 중국어 표기인 '首尔'조차 서울 공식서체로 표기하지 못한다는 것은 좀 심각한 문제다. 首尔을 首尔이라 표기하지 못하고

윈도우 환경에서 서울서체를 수동 설치할 경우 제어판-글꼴에서 보면 폰트들이 같은 패밀리 (예)서울남산체) 안에서 서울남산체 가늘게, 서울남산체 보통, 서울남산체 굵게, 서울남산체 아주 굵게, 서울남산체 좁고 굵게 같은 식으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 SeoulNamsan B 보통, SeoulNamsan EB 보통, SeoulNamsan CB 보통 같이 서로 다른 패밀리의 글꼴로 인식된다.
08서울남산체 한정으로 전각 원화 기호(₩; U+FFE6)를 쓸라치면 뜬금없이 전각 백슬래시(\\)로 렌더링되는 버그가 있었다. 일반 원화 기호(₩; U+20A9)는 제대로 렌더링되었지만 ㄹ 누르고 한자 키 눌러 변환하면 전각 원화 기호로 변환되었기 때문에 08서울남산체로 원화 기호를 써야 할 때 이 점 때문에 불편했다. 이 문제는 개량판 서울남산체에서 수정되었다.

3. 사용 예시

  • 행정
    • 파일:attachment/서울서체/gwangmyeong-seoulnamsanfont.jpg
      경기도 광명시의 사용 예시인데, 서울서체뿐만 아니라 공원 표지판 디자인 전체를 서울시 것을 거의 복붙해놓았다.
    • 서울특별시에서 설치한 도로명주소 도로명판 중, 강남구[3]구로구[4]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자치구에서 도로명판의 글꼴로 서울남산체를 사용하고 있다.
    • 서울 지하철 중 디자인서울 정책을 따라 리모델링되거나 처음부터 서디가를 기반으로 건설된 노선들은 서울서체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때문에 애꿎은 서울서체만 피해를 보고 있는데,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로.
  • GS스포츠 산하 두 구단의 유니폼 마킹에 절찬리 쓰였다. 한편 두 구단의 연고지는 모두 서울특별시에 속한다. 두 구단 모두 연고지가 서울특별시이기에 쓰이는 것도 없진 않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상술했듯 저작권 범위가 워낙 넓기 때문에 비용 절감으로 보인다.
    • FC 서울은 유니폼의 등번호와 이름 마킹에 서울남산체를 쓴다. 단 AFC 챔피언스 리그 경기가 있을 시에는 쓰지 않는다. 2022년부터는 K리그 자체 서체가 만들어짐에 따라 리그 경기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GS칼텍스 서울 KIXX는 2017-18시즌부터 2020-21시즌까지의 유니폼 이름 마킹에 서울남산체를 썼다. 2021-22시즌에 유니폼이 변경되며 이름 마킹에 사용되는 서체도 윤고딕 계열로 변경되었다.
  • 에브리타운 모바일에서는 서울남산체의 한글과 영문을 베이스로 하여 에브리팜 폰트를 조성하여 쓰고 있다. 하지만, 숫자 폰트는 다르다.
  • 서바이벌 오디션 K팝 스타 시즌 4에서 인터뷰를 할 때에 자막을 서울남산체로 낸다. 이외의 여러 방송 자막으로 간간히 쓰이는 중이다.
  • 간혹 교과서나 문제집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놓지마 정신줄 애니에서도 자주 쓰는데 1, 2기 모두 사용한다.
  • 세븐나이츠, 스페셜 포스 2에서 글씨체로 서울남산체를 쓴다.
  • 한국판 괴리성 밀리언아서도 일부 글씨가 서울남산체이다.
  • A Bird Story에서도 서울남산체를 쓴다.
  • 포춘 하모니, 방구석에 인어아가씨등 테일즈샵의 일부 트레일러 에서도 서울 서체를 쓴다.
  • 큐원의 호떡믹스를 포함한 믹스 제품들의 겉포장지에 쓰이는 글씨체가 바로 이 서울남산체다. 2개 제품을 제외한 모든 홈메이드 믹스가 전부 다 서울남산체를 쓴다. 상자 뒤의 만드는 법도 서울남산체로 적혀 있다. 직접 보자. 명가호떡은 '명가'만 다른 서체고 뒤의 '호떡믹스'만 서울남산체다. 초콜릿만들기 세트, 츄러스만들기는 예외로 서울남산체를 쓰지 않는다. 초콜릿만들기 세트는 나눔고딕을 쓴다. 그 뿐만 아니라 큐원의 제품 대부분이 서울남산체를 쓴다. 역시 홈베이킹 재료, 상쾌환, 수입상품, 식용류나 유지류 등 일부 제품은 예외.
  • 아는형님 이름표의 서체도 서울남산체이다.
  • 허쉬의 영양 성분에도 서울남산체를 사용한다. 허쉬 초콜릿 뒷면에는 다 서울남산체를 사용했다라고 생각하면 된다.
  • 스타프로젝트 캐릭터송 2집 책자에 서울남산체와 서울한강체가 둘 다 쓰였다.
  • 핑크레인저 로맨스의 로고 베이스가 바로 서울한강체이다. 실제로 로고를 보면 베이스 정도도 아니고 그냥 서울한강체를 쓴 거지만 인게임 메인 화면 메뉴들은 서울남산체로 적혀 있다.
  • 아이러브니키도 서울남산체를 쓴다. 정확히는 나눔스퀘어와 서울남산체를 혼용한다.
  •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정식 출시 전인 얼리 엑세스 버전에서는 서울남산체를 사용했었다. 지금은 본고딕으로 바뀌었다.
  • 정식 출판성인소설스몰전자책에도 서울한강체가 사용되었다.
  • 의외로 유튜브 영상에는 교통합성이 아닌 이상 잘 쓰이지 않는다. 직접 써 보면 EB로 해도 굵기가 부족하고, 썩 어울리지도 않는다. 유명 유튜버 중에는 사물궁이 잡학지식박막례 할머니 정도만 사용 중이다.
  • 애니플러스의 2014년 3분기 한일동시방영작 자막부터 서울남산체를 쓴다
  • 리그베다 위키의 재오픈 이후의 로고에 서울남산체가 사용되었다.
  • 모바일 게임 세계수 키우기, 마법소녀 키우기에서는 로고 및 UI를 포함한 모든 글자가 서울남산체로 통일되어 있다.
  • Project Zomboid 한국어 UI의 글씨체가 서울남산체이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파일:오세훈-투명.svg오세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61e2b> 생애 생애 · 서울시정 (33·34대 · 38·39대)
가족 아버지 오범환 · 어머니 사문화 · 배우자 송현옥
활동 공직선거법 · 정치자금법 · 정당법 · 일조권 · 환경운동연합 · 꼬마버스 타요
정책 디자인서울 (서울서체 · 서울창포원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북서울꿈의숲 · DDP · 서울링) ·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반포한강공원 · 한강 수상택시 · 한강버스 · 세빛섬 · 노들섬) · U-Smartway (신월여의지하도로 · 서부간선지하도로) · 가족배려주차장 (여성주차장[폐지]) · SEOUL, MY SOUL · 다산콜센터 · 성수전략정비구역 · 안심소득 · 서울런 · 서울동행버스 · 기후동행카드 · 모아타운 · 반려견 순찰대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38·39대 서울시장 시절 · 내곡동 토지 셀프보상 · 전직 대통령 사면 건의)
사건사고 무상급식 주민투표 · 대진연의 선거 운동 방해 · 경계경보 오발령
기타 별명 · 여담 · 사상 및 견해 · 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 오세훈계 · 오세훈 마이너 갤러리
}}}}}}}}} ||



[1] 특히 전라북도 군산시가 타 지역에 비해서 서울남산체를 상당히 많이 쓰기로 유명하다.[2] 특히 신세계그룹(이마트, 스타벅스)가 상당히 많이 쓰기로 유명하다.[3] 독자적인 디자인의 도로명판 또는 행안부 표준디자인을 혼용중이다.[4] 타 광역자치단체와 같이 한길체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