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8 23:42:38

2008년

파일:Semi_protect.svg   로그인 후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연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세기
19세기 20세기 21세기 22세기 23세기
밀레니엄
제2천년기 제3천년기 제4천년기
세계 각 지역의 표기
서기 2008년
대한민국 90년
단기 4341년
불기 2552년
간지 정해년 ~ 무자
주체 97년
대만 민국 97년
일본 헤이세이 20년
(황기 2668년)
이슬람력 1428년 ~ 1430년[1]
히브리력 5768년 ~ 5769년
페르시아력 1386년 ~ 1387년
에티오피아력 2000년 ~ 2001년
로마 숫자 MMVIII

1. 개요2. 설명
2.1. 현대 한국 신 이념대립의 기점
2.1.1. 참여정부의 마지막 해2.1.2. 광우병 촛불집회의 해
2.2. 가족관계등록부의 등장2.3. 서브컬처계: 거대 로봇물의 마지막 전성기2.4. 신냉전의 시작
2.4.1. 추락한 미국의 절정
2.5. 2008년 가요계: 소몰이창법의 마지막 시대/KPOP 황금기
3. 기후4. 사건
4.1. 실제
4.1.1. 1월4.1.2. 2월4.1.3. 3월4.1.4. 4월4.1.5. 5월4.1.6. 6월4.1.7. 7월4.1.8. 8월4.1.9. 9월4.1.10. 10월4.1.11. 11월4.1.12. 12월
4.2. 가상
5. 문화
5.1. 게임5.2. 인터넷 유행
6. 탄생7. 사망8. 데뷔
8.1. 가수8.2. 스포츠8.3. 프로레슬링8.4. 만화계8.5. 예능인8.6. 인터넷 방송
9. 은퇴
9.1. 스포츠9.2. 가수9.3. 프로레슬러
10. 히트작
10.1. 영화10.2. 드라마/시트콤10.3. 애니메이션10.4. 특촬10.5. 가요10.6. 개그 코너
11. 유행어12. 최초
12.1. 방영 프로그램 및 코너12.2. 인터넷 웹사이트
13. 출시 상품
13.1. 자동차13.2. 식음료
14. 달력15. 관련 문헌

1. 개요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자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여덟번째 해다.

2. 설명

KBS 영상실록 2008 대한민국
2008년 서울의 모습[2](영상3)

12간지로 이 해부터 로 시작하여 2019년 돼지띠로 끝난다.[3][4] 2008년은 참여정부(노무현 대통령)이 마지막으로 집권했던 연도이자 이명박 정부(초기명 '실용 정부') 첫 집권기로 두 명의 대통령 임기가 겹치는 과도기 시기였다.

대외적으로는 사실상 호황의 2000년대와 불황의 2010년대를 가르는 큰 기점이 된다. 미국 경제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악화되더니 세계금융위기가 일어났다.[5] 또한, 석유값이 사상 최고가(150달러!!)를 찍기도 했다.

그리고 도라에몽에서 타임머신이 나온 해다.

7월 17일 제헌절이 공휴일에서 제외되면서 평일로 바뀌었다.

중국은 이 해에 2008 베이징 올림픽을 개최하게 되었으며 2년 후에는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개최하게 되었다.

디시인사이드의 역사에 대격변이 일어난 해이다. 이 때부터 합필갤에서 빠삐놈내가 고자라니가 유행하면서 디씨의 역사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한화 이글스5886899678이라는 비밀번호를 찍기 시작한 해. 올림픽 브레이크 이후 패패패패를 반복하면서 5위로 떨어진 한화는 주축 선수들의 노쇠화와 은퇴, 세대교체 실패 등으로 길고 긴 암흑기를 겪었다.

교수신문이 선정한 2008년 올해의 사자성어는 '호질기의(護疾忌醫)'였으며, 일본한자능력검정협회가 선정한 2008년 올해의 한자는 '変(변할 변)'이었다.

배우 최진실의 자살과 가수 터틀맨의 죽음 등이 사회적 반향을 일으키기도 했으며, 전설적인 락 밴드 산울림의 막내 김창익과 먼데이 키즈김민수, 승무원 출신 가수 이라, 엠스트리트 멤버 이서현, 이언, 안재환, 박광정 등이 숨졌는데, 이로 보아 유난히 연예인들의 사망 사건이 많던 시기였다. 특히 최진실의 죽음으로 연예인에 대한 사이버 명예훼손 문제를 전 국민에게 각성시켰다. 문학계에선 박경리이청준, 홍성원이란 거장들이 세상을 떠나 슬픔을 안겨줬다.

1398년부터 서울 중심을 지키던 '국보 1호' 숭례문이 방화로 전소되어 충격을 안기기도 했으며, 5년 전 대구 지하철 참사에 이어 대한민국 대통령 취임 직전 대형 화재 사고 징크스를 이어가게 되었다. 숭례문은 이후 복원공사를 거쳐 2013년 완공되었다. 또한 광화문광장이 생기기 전이었으며 당시 12차선 도로로 유명하던 세종로 역시 이 해까지가 리즈시절이었다.

카세트테이프로 음반이 발매되던 마지막 해이기도 했다. 당시 카세트테이프는 쇠퇴기를 맞고 있었지만 여전히 어학용 등으로 꾸준히 쓰이고 있었는데, 2008년을 끝으로 대한민국 음반사에서 카세트테이프 발매는 완전히 중단되었다. 대형기획사 기준으로 SM은 2007년 소녀시대 1집, MBK는 다비치 1집 <미워도 사랑하니까>와 씨야 2.5집, SG워너비 5집 <라라라> 가 카세트테이프로 발매된 마지막 음반이다. 터틀맨의 유작이었던 거북이 5집 또한 카세트테이프로 발매되었는데 이는 카세트테이프를 이용하는 화물차 기사들이 거북이 노래를 많이 들어서 꾸준히 테이프로 음반을 발매해왔었기 때문이다. 2009년부터는 MP3와 CD로만 음원이 유통되었고 이 또한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2010년대 초반 이후 쇠퇴하였다. 찍찍이 역시 이 해까지만 대중적으로 사용되었고 테이프가 없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시장에서 퇴출됐다.

남북관계는 이 해를 기점으로 터닝포인트를 맞게 된다. 보수 성향의 이명박 정부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남북관계의 판도가 변할 것이라는 예측은 당선 직후부터 나왔지만, 정부 출범 이후 6개월만에 피격 사건이 터지면서 햇볕정책의 상징 중 하나였던 금강산 관광이 중단되었고, 몇 개월 못 가 개성 관광도 중단되면서 남북관계는 지난 10년간의 비교적 평탄했던 관계를 끝나고 다시 긴장상태로 접어들었다. 11년 뒤인 2018년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며 다시 관광 재개의 물꼬가 트이는 듯 했으나 다시 급변하는 남북관계로 관광재개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대한민국에서 2000년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웰빙 열풍이 진행되던 마지막 해이다. 웰빙은 국민 모두가 몸과 마음이 편안해지는 행복을 추구하는 의미로서 소비, 지출, 여행, 식품 등 모든 분야에 적용되어 한때 열풍을 불었던 웰빙 열풍은 세계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부터 점차 사그라들기 시작했다. 그리고 김밥천국에서 천원김밥으로 유명한 일명 천김시대가 이어진 마지막 시절이기도 하며 세계금융위기가 터진 이후인 이듬해부터는 천김시대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순식간에 사라졌다.

화폐의 경우 만원권이 화폐 최대 단위였던 마지막 시절이었고 오만원권이 존재하지 않아 목돈을 거래할 때는 대부분 수표를 사용했었다.

국제연합에서는 이 해를 '세계 지구의 해'와 '세계 감자의 해', '세계 언어의 해'로 지정했다. 남북한 통틀어 '정부수립 60주년'을 맞이했는데, 특히 한국은 정권교체 후 정부 차원에서 '건국 60주년'을 선포하자 정치권과 역사학계에서 논란을 증폭시켰다.

이 해는 주말과 공휴일이 3번 겹쳤다. 삼일절, 추석 전날이 토요일이며, 추석 당일이 일요일이었다. 연휴가 많았던 해였다.

또한 이 해는 빠른 생일의 1년 빠른 학교입학이 이뤄진 마지막 해이다.[6]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로 GDP가 '한화' 1천조원이 넘은 시기이다. 기사 2007년과 비교했을 때, GDP가 '달러' 기준으로는 1조 493억 달러에서 9287억 달러로 떨어졌지만, 기사에서 나와있듯이 2007년에는 연평균 환율이 929.20원이었는데 반해 2008년에는 1,102.59원으로 올랐기 때문에 2007년이 아닌, 2008년에 최초로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로 GDP가 '한화' 1천조원을 넘겼다.

2022년 기준으로 이 해에 고등학교를 다녔던 세대는 모두 30대에 접어들었다. 당시 고1이었던 92년생도 만으로 30세이다.

대한민국에게는 최고의 해 중 하나로 손꼽히는데 위에 상술했듯이 GDP가 1천조원을 넘겼고 원더걸스의 <Nobody> 열풍이 K-Pop을 평정하면서 대세가 되어 국민 히트곡으로 자리잡았다. 또한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박태환의 금메달 획득과 야구 종목 전승 금메달 같은 잊지 못할 순간이 있었고 당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뛰었던 박지성이 한국인으로써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 멤버가 되는 등 스포츠 분야에서도 최고의 시기를 보냈다. 또한 만화 쪽에서는 한국에서도 코드 기어스가 대세가 되면서 언제나 화제거리로 빠지지 않았을 정도다. 또한 가을에 접어든 하반기에는 MBC에서 방영한 드라마인 베토벤 바이러스가 대세가 되어 2008년 한국 트렌드의 정점을 찍었다. 그리고 문근영이 최연소 연기대상을 수상한 것도 큰 화제가 되어 한 해를 마무리하였다.

2.1. 현대 한국 신 이념대립의 기점

파일:145DF72D-C377-411F-8356-97378FE652C6.jpg

2008년은 대한민국에서 신 이념대립이 시작된 점이다. 노무현 정부에서 이명박 정부로 바뀌는 여야 정권 교체로 민주당이 집권한 마지막 해이자 보수정당이 집권한 첫 해이기 때문인데, 보수측은 '잃어버린 10년의 끝'이라 하는 반면, 진보측은 '잃어버린 9년의 시작'이라 한다.

또한 18대 총선2008년 촛불집회(이른바 '광우병 집회'), 건국절 논란 등이 겹쳐 정치적 격변이 매우 심한 해였다.

2.1.1. 참여정부의 마지막 해

참여정부는 역대 대통령 중, 임기 마지막날까지 언론에 많이 보도되었으며 집권 마지막 해까지도 호주제 폐지, 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숭례문 방화 사건까지 대형 사건사고와 굵직한 이슈가 끊임없이 일어났다.

파일:10CF930C-573F-4077-9259-A6FAC6198CED.jpg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해 대국민 연설을 발표하는 노 대통령
참여정부의 마지막은 새로운 이명박 정부와의 신경전으로 시작된다. 2008년 1월 4일 경제계 신년인사회부터 인수위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밝힌 것. 당시 이명박 당선인은 현직 대통령인 노무현 대통령에게 "일일이 보고서를 인수위에게 제출하라"고 요구하였고, 노무현 대통령은 "아직 노무현 정부 시대인데 대한민국 대통령인 나보고 일일이 보고서를 제출하라는 것은 반성문 써오라는 것 아닌가?" 라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결국 노 대통령은 1월 28일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다. 대국민 담화에서 노 대통령은 정부조직 개편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한다고 밝혔다. 노무현 대통령이 현 정부 장관들의 사표를 수리하지 않는다는 뜻이었고, 즉 이명박 정부가 취임 이후 새 내각과 출범하는 것이 아니라 2월 25일 이명박 나홀로 취임하게 되었다.

국무회의도 참여정부 내각과 일하게 되는 기묘한 동거가 이루어졌다. 이명박 측은 역대 대통령 중 2번째로 늦은 2월 29일에 한승수 총리를 임명하였지만 각 부처 장관은 노무현 측 장관들과 보름 동안 같이 함께 일하게 됐다.

또, 참여정부 시절 마지막 대형 사건사고인 숭례문 방화 사건 당시, 큰 사건인데도 불구하고 대통령은 관심을 가지지도 않고,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한미FTA의 정산도 참여정부 말기의 주된 의제였다. 미국 백악관 동아시아 태평양 선임보좌관을 지낸 마이클 그린 씨가 국내 일간지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현직 대통령인 노무현 대통령을 두고 "부시 대통령이 만난 정상 중 가장 예측할 수 없는 인물이지만 그 어느 대통령보다도 한미동맹을 강화시킨 대통령"이라고 평가했다. 해당 자료 실제로 2월 18일 노무현 대통령은 한미 FTA를 노무현 정부 임기내에 비준 동의안을 처리하기 위해 이명박 당선인을 청와대로 초청해 합의했고, 마지막까지 강력히 추진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통합민주당 손학규 대표를 비롯해 2월 국회 처리에 찬성하는 등 비준안 처리에 속도를 내었지만, 노 대통령의 임기가 1주일도 남지 않아 현실적으로 처리가 쉽지 않은 상황이었고, 결국 2월 처리는 무산되어 다음 정부로 넘어갔다.



참여정부 임기 중 마지막으로 꼽히는 업적은 바로 MBC에서 방영된 청와대 사람들이란 다큐였다. 당시로는 사상 최초의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청와대 다큐로 2008년 2월 21일2월 23일 두 차례 방영했는데 [age(2008-02-2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수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2021년, 전두환이 사망함으로써 이 시기 이전의 대한민국 대통령들은 모두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2.1.2. 광우병 촛불집회의 해

파일:A7EC3AB1-B8F4-440C-B952-4518D5A28B97.jpg
촛불집회를 전하는 소식
참여정부 시대가 끝나고,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뒤 18대 총선으로 보수 정당들이 의석 대다수를 차지하면서, 이전 정부에서 추진한 대북 포용정책들이 모두 수정되었다. 기실 이명박 정권은 대북개방 3천 등의 한나라당 버전의 유화책을 주장하였으나, 북한 당국은 반발세로 일관하였고, 금강산 관광객 피살 사건으로 인해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이 대북 강경책을 고수하게 되었다.

이명박 정부의 첫 출발은 순탄치 못했다. 정권 초기에 미국산 소고기 광우병 파동으로 대규모 촛불시위가 열렸으며, 행진 차단용 컨테이너와 방패/물대포 진압, 부상자들이 속출하며 사회적 이슈와 정부에 대한 불신이 증폭되었다. 이를 계기로 축산물에 원산지 표시를 의무화하였다.

파일:E3B2AC55-AA05-4895-A8E6-F3B6AE6B7F44.jpg
참여정부에서 통과하려다 무산된 한미 FTA 처리 문제도 당시 미국 대통령인 부시는 통과하자는 분위기인 반면 대선 후보인 오바마는 반대의 의견으로 서로 의견이 충돌하여 FTA 처리 절차는 더욱 더 복잡해지는 현상이 발생했었다.

2.2. 가족관계등록부의 등장

2008년은 대한민국 행정시스템에서 괄목한 변화가 일어난 해이기도 한데, 바로 가족관계등록부가 처음 등장하여 사용되기 시작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가족관계등록부의 전신은 소위 호적이라고 불리는 제적등본으로, 호주제를 중심으로 국민 개개인의 개인정보와 가족관계를 기록했었다. 2007년 12월 31일 이전까지 출생신고된 한국 국적자들은 모두 제적등본에 개인정보와 가족관계가 등록되어 있는데, 이들의 호적은 가족관계등록부 도입 이후 모두 말소되어 가족관계등록부로 정보가 모두 옮겨졌다.

호주제는 조선시대 ~ 구한말부터 사용된 유래 깊은 개인정보 등록제도이지만, 내면을 자세히 보면 논란이 많았다. 법률상 호주제의 호주는 남성만 될 수 있었는데, 이것이 가부장제의 악습이라는 비판이 있었고 이에 따른 부작용도 상당했다. 예시로 아내가 이혼하고 재혼한 뒤에도, 친부의 허락 없이는 재혼한 남자의 호적에 들어갈 수 없거나 친부에게만 법정대리인 자격이 있어 이혼한 자녀의 기본적인 권리 등이 제약되는 등의 문제다. 이 때문에 2000년대에 접어들어 꾸준히 폐지를 촉구하는 사회적 여론이 형성되어 왔고, 2005년 3월 2일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판정을 받은 뒤 2008년 1월 1일부로 가족관계등록부로 대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법률상의 호적과 호주제는 모두 사라졌지만, 기존 호적에 있던 기록은 제적등/초본으로 옮겨졌음으로 여전히 발급이 가능하다. 2007년 12월 31일 이전까지 출생한 한국 국적자들은 모두 제적등본이 있으며, 반대로 2008년 1월 1일부터 출생한 한국 국적자들은 가족관계등록부로만 가족관계와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3. 서브컬처계: 거대 로봇물의 마지막 전성기

애니메이션계에서는 거대로봇물의 마지막 전성기였다. 지난해 10월에 방영을 시작해서 큰 화제와 엄청난 판매량을 기록했던 기동전사 건담 00 시즌1이 3월에 끝나고, 곧바로 4월부터 9월까지는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R2와 마크로스 프론티어가 방영되었다. 이 두 작품도 방영 당시 큰 화제와 엄청난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또 10월부터 내년 3월까지는 기동전사 건담 00 시즌2도 큰 화제와 높은 판매량을 기록한다. 하지만 이 시기 이후에 방영된 TVA 작품들 중에서 저 세 작품을 뛰어넘는 큰 화제성과 반응, 판매량을 기록한 거대로봇물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거대로봇물 팬들에게는 일종의 추억이 된 시기이기도 하다.

기성 애니 중에선 <원피스>는 스릴러바크 편에 돌입하여 브룩이라는 새로운 동료를 맞이했고, 팬들 간의 치열한 논쟁 속에서도 '빙크스의 술' 덕에 다시금 환호를 얻었다.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은 미래편에 돌입하여 절정기로 돌입했으며 <블리치>는 아란칼편 중반까지 가다가 맥효도편이 갑자기 끼어나오기도 했다.

한국 웹툰계에선 지강민 작가의 <와라 편의점>이 히트를 쳤고, 애니메이션 쪽은 온미디어가 제작한 <냉장고 나라 코코몽>이 선풍을 일으켰다. 훗날 예능계의 신성이 될 기안84도 이 해에 데뷔했다. 다만 애니는 <코코몽> 외에 <기가 트라이브>, <브리스톨 탐험대> 빼곤 수작이라 할 게 거의 없었다.

또한 이 해 3월에 히구치 무네타카가 간세포암 치료를 위해 활동 중단을 선언했으나, 11월 30일에 사망했다. 원로 가수 프랭크 나가이도 1985년 자살미수 이래 23년을 뇌장애로 투병해 오다 10월 27일에 눈을 감았다.

2.4. 신냉전의 시작

2008년1990년 10월 독일의 동서통일 이후 1991년 12월 26일 소련이 완전히 붕괴함으로 냉전체제가 완전히 종막되고, 동시에 미국 주도하에 평화로운 세계를 이끄는 일명 팍스 아메리카나 시대와 함께 시작된 탈냉전의 시대가 마지막으로 이어진 해였다. 그러다 2008년 8월 중국의 위상이 급부상했다고 평가받는 2008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당시에 조지아남오세티야를 공격함으로서 남오세티야 전쟁을 일으켜 신냉전의 서막을 알렸다. 이때 올림픽 개막식 당시에 푸틴이 당시 부시 미국 대통령에게 전쟁 사실을 전파하는데 이 소식을 들은 부시의 표정이 순식간에 창백해지는 사태가 발생했다.[7] 그리고 아래의 문단에 나와 있듯이 부시의 잘못된 경제정책으로 인해 발생된 2008년 세계금융위기로 인해 팍스 아메리카나의 시대도 탈냉전 체제와 함께 종막을 알리게 되었다. 탈냉전 종식 시기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2.4.1. 추락한 미국의 절정

2008년은 추락한 미국의 모습이 절정기에 달했다고 볼 수 있다. 일단 2008년의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잘못된 정책과 행보로 인해 지지율 하락은 물론이고 모든 국민들은 부시 행정부를 까는 분위기가 극에 달했었다.


일단 2008년 1월 29일, 부시 행정부는 의회에서 재임 중 마지막 국정연설을 발표했고, 이 연설에서 부시 대통령은 민생을 의식한 법안 통과에 초점을 두었다는 분석과 한국과의 FTA를 촉구한 한마디로 한미 FTA의 비준 동위안을 빠르게 처리해달라는 내용이었다.[8]

실제로 한미 FTA 비준 동의안 처리 문제는 2008년 2월 18일경, 당시 현직 대통령인 노무현 대통령이 재임 내에 비준동의안을 처리하기 위해 이명박 당선인을 청와대로 초청하여 처리에 속도를 내도록 지시했지만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아 다음 정부에서 통과되었다.
파일:7D07BEFF-2784-44E6-A71D-B3EE5D6B4310.jpg
2008년 9월, 금융위기로 인해 대국민 긴급성명을 발표하는 부시 미국 대통령
2기 행정부 출범 이후에 치뤄진 2006년 중간선거 당시 공화당의 무참한 패배로 정권의 입지가 약해지기에 이르렀고, 이후 부시 행정부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금융기관의 지속적인 부도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대통령으로서 국가예산을 풀어야 한다고 밝혔지만 의회는 레임덕에 빠진 부시 대통령에게 단호하게 거절하여 부시 행정부는 어쩔 줄 모르는 웃지못할 촌극이 발생했다. 이 사태로 한 나라의 대통령이 국가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부시 행정부의 잘못된 리더십은 2008년 말 금융위기 사태로 정점을 찍었다. 미국발 금융위기가 터진 직후 세계에도 영향을 끼칠려고 하자 임기 말, 부시 대통령은 긴급성명을 발표했다. 이때 부시 미국 대통령은 금융 위기에 대한 미국인들의 우려에 공감하며 금융 시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제 금융과 합병 등 일련의 조치를 설명한 뒤 금융 위기 대처에 행정부의 노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당 뉴스해당 뉴스


그렇게 예측대로 금융위기가 세계에도 영향을 미치자 부시 행정부는 대책으로 2008년 11월 14일 ~ 11월 15일 이틀에 걸쳐 워싱턴 D.C에 20개 국가의 지도자를 초청하여 금융위기 해결을 논의하기 위해 G20 정상회의를 임시회의로 개최한다. 현직 대통령으로서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긴급히 각 국가 지도자를 초청하여 의견을 듣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을 쏟았으나 당시 부시는 극심한 레임덕에다가 그간 잘못된 행보에 실망한 국민들은 부시를 외면했기에 그러거나 말거나 식으로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그리고 1달 후인 12월 14일경, 임기말 재임중 마지막으로 이라크를 깜짝 방문하여 누리 알 말리키 이라크 총리와 고별 연설 및 회담을 진행하던 부시 대통령은 이라크의 기자인 문타다르 알자이디에게 신발 2켤레를 얻어맞을 뻔한 초유의 사태이자 봉변을 당했다. 이 사건으로 부시는 임기말, 스타일을 제대로 구겼다. 문타다르 씨가 신발을 던진 이유는 이라크 전쟁으로 인해 생긴 고아를 비롯한 여러 국가적 피해 때문에 이라크 국민들을 대표하여 미국 대통령에게 당당하게 신발을 던진 것이었다. 이런 당당한 기자의 행보와 이라크에서는 신발을 던지는 것은 상대방에 대한 엄청난 모욕이기에, 이라크 국민들에게 영웅으로 취급을 받기도 했었다. 한편 다행히 신발 2켤레를 피한 부시 대통령은 태연하게 괜찮다고 말했고, "굳이 이야기하면 신발 크기는 10 정도"라고 둘러대 문타다르를 용서했다. 부시 대통령은 귀국 후 단독 인터뷰에서 "재임 중에 신기한 일들이 많았는데 신발투척 사건이 그중 대표적"이라고 밝혔다. 이 정도로 세계에서 가장 강한 국가인 미국이란 나라의 지도자가 신발로 얻어맞으니 세계의 시선으로 봤을 때 미국은 굉장히 우습게 보였을 것이다. 아무튼 부시는 2004년 대선에서 그의 흠잡을 부분이 없는 도덕적 행보만으로 인해 논란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무난하게 재선에 성공하여 2005년, 2기 임기를 시작했으나 각종 재난사건 해결 미흡, 2006년 중간선거 패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한 2008년 금융위기 사태, 그리고 신발투척으로 인한 추락한 미국의 위상과 구겨진 대통령의 이미지까지 미국을 제대로 말아먹은 최악의 지도자로 평가받게 되었다.

11월 4일, 떨어질 대로 떨어진 미국의 위상 속에서 치뤄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금융위기 이전까지 공화당은 희망이 어느 정도 있었으나 부시 행정부의 무능한 대책으로 인해 미국민들은 공화당을 외면했다. 본선에서 버락 오바마존 매케인 후보가 대결한 끝에 현직 대통령의 소속당 공화당의 안 좋은 이미지와 공화당 후보인 매케인의 저급한 언행과 행보로 매케인은 패배하고, 민주당의 버락 오바마 후보가 첫 흑인 대통령으로 제44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다. 공화당의 패배 이후 부시 대통령은 다음 정권을 민주당에게 넘기게 되었고, 이듬해인 2009년 1월 20일, 부시 행정부 시대가 끝나고 최초의 흑인 대통령인 오바마 행정부의 출범으로 미국은 다시 부활하기 시작했다.

결론으로 재임 중 일어난 대표적인 사건 중 9.11 테러부터 2008년 세계금융위기까지 미국의 위상을 추락시킨 부시 행정부는 역대 최악의 대통령으로 남게 되었고, 그가 재임했던 2001년 ~ 2009년의 8년의 시간이 대중들로부터 “Decade from Hell”이라는 불명예 타이틀을 얻게 된다.

2.5. 2008년 가요계: 소몰이창법의 마지막 시대/KPOP 황금기

2008년 가요계 관련 영상 히트곡 무대 모음

2008년은 2005년부터 유행을 타기 시작한 소몰이창법발라드가 전성기를 누렸던 마지막 해였다. 2008년 발매된 브라운 아이즈의 가지마 가지마, 김종국어제보다 오늘 더, SG워너비라라라, 씨야의 슬픈 발걸음, NELL기억을 걷는 시간 등 발라드 곡들이 1위를 하며 인기를 누렸다. 무엇보다 발라드와 아이돌 음악이 1위를 양분하며 균형 있게 활동하는 마지막 시기였으며, 다음 해인 2009년에는 아이돌 가수들이 대세가 되고 소몰이창법과 발라드 음악 자체가 쇠퇴기를 맞으면서 2010년대 초반부터는 가요계가 아이돌 음악 중심으로 재편되게 된다. 아이돌의 경우 전년도인 2007년 Tell me로 전성기를 맞은 원더걸스가 <So hot>, <Nobody> 2곡으로 큰 히트를 기록했고 빅뱅은 마지막 인사와 하루하루, 붉은 노을로 3연타를 쳤다. 2005년 이후 주춤했던 쥬얼리는 새 멤버인 하주연김은정을 영입해 컴백, 타이틀 곡 <One more time>을 히트시키며 제2의 전성기를 맞았고 서인영의 경우 본인의 솔로곡 <신데렐라>까지 히트시킴과 동시에 그녀의 초코송이 머리는 여학생들 사이에서 엄청난 유행을 탔다.

2008년 하반기의 경우 동방신기가 2년만에 정규 4집 <Mirotic>으로 컴백하며 가요계의 강자다운 모습을 보여줬고, 그 해 골든디스크 대상을 차지하며 하반기 가요계를 잡게 되었다. 공교롭게도 다음 해 멤버 3인의 소송 제기로 인해 그룹이 흔들리게 되었으며 2010년 3인이 탈퇴 후 JYJ를 결성해 쪼개지면서 이 앨범은 5인조 동방신기의 마지막 앨범이 되고 말았다. 한편 SM에서 슈퍼주니어 이후 3년만에 데뷔시킨 신인 보이그룹 샤이니는 <누난 너무 예뻐>, <산소같은 너>, <아미고> 3곡을 연달아 히트시키며 4년 전 동방신기가 그랬던 것처럼 매우 성공적인 데뷔 첫 해를 치뤘다.
BIGBANG <붉은 노을> MV 쥬얼리 <One more time>

선배 가수들의 활약도 돋보였던 해였는데, '문화대통령' 서태지는 싱글 음반 <Atomos Part Moai>를 통해 4년만에 가요계에 컴백해 다시 한번 신드롬을 일으켰고, 타이틀곡 'Moai'를 통해 때묻지 않은 자연 그대로 두드리고 깨뜨리는 듯한 소리를 담은 '네이처 파운드'란 독창적인 장르를 만들어 주목을 받았다. 2002년 클론과 함께한 '랄랄라' 이후 활동이 뜸했던 엄정화도 미니앨범 <D.I.S.C.O>로 컴백, 당시 BIGBANGT.O.P의 피쳐링 지원사격을 받으며 히트를 기록했다.

빛이 있으면 어둠도 있듯, 비의 <Rainism>과 동방신기의 <주문 - MIROTIC> 등 일부 곡들이 선정성 문제로 '청소년 유해매체물' 판정을 받았고, N.EX.T의 <아! 개한민국>과 마이티 마우스의 <꽐라송>, 엄정화의 <Kiss Me> 등 많은 노래들이 청소년 유해매체 판정을 무더기로 받아 주 고객인 청소년 및 음반사들이 개탄하여 표현의 자유 논란도 증폭됐다. 상반기부터 원로가수 나훈아의 '야쿠자 신체훼손 루머' 파동으로 시끄러워진 데다 '산울림'의 막내 김창익과 먼데이키즈 멤버 김민수, 거북이 메인보컬 터틀맨, 엠스트리트 멤버 이서현, 승무원 출신 가수 이라 등의 안타까운 사망소식이 들려오는 해이기도 했다. 특히 터틀맨의 경우 한창 5집 활동을 하고 있던 시기 갑자기 심근경색으로 유명을 달리해 팬들의 안타까움이 컸다.

음반시장에 있어서 2008년은 카세트테이프를 발매한 마지막 해이다. YG 엔터테인먼트가 2006년 11월, 세븐 4집을 마지막으로 카세트테이프 발매를 중단했고, JYP 엔터테인먼트는 2006년 10월, 비 정규 4집 Rain’s World를 끝으로 카세트테이프 발매를 중단했으며 SM 엔터테인먼트는 2007년, 소녀시대 1집을 끝으로 중단했다면 마지막으로 엠넷(MBK)은 2008년 4월 말까지 다비치 1집 미워도 사랑하니까와 씨야의 2.5집, SG 워너비의 정규 5집[9]을 카세트테이프로 발매했다. 2008년을 끝으로 더 이상 음반사에서 카세트테이프 음반은 판매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2008년은 소몰이창법의 마지막 시대로 앞서 말했듯 아이돌과 발라드가 균형이 잘 잡혀 장르가 다양할 뿐더러 아이돌만 우후죽순 나오는 것이 아닌 솔로 가수들도 많은 히트를 누려 대중들에게 가장 많이 기억되는 해이기도 하다.

3. 기후

대체로 이상 고온이 많았다. 1,3,4월은 이상 고온으로 평년보다 매우 높았다. 다만 2월에는 한파로 평년보다 추웠다. 5월 초와 하순은 평년보다 다소 높았고 5월 중순은 쌀쌀했다. 다만 6월에는 이상 저온으로 평년 9월 수준의 기온을 기록했다. 7월~8월 초에는 평년보다 높아서 폭염이 있었다. 이후 광복절-처서 기간에 이상 저온이 왔지만 9~10월에는 늦더위가 와서 평년보다 1도 이상 높았다. 10월 초중순에 일평균기온이 18~19도를 찍었으며 상강 이후에야 늦더위가 누그러졌다. 11~12월도 평년보다 다소 높았다. 단, 반짝추위는 있었다.

서울 기준 월별 평균기온은 다음과 같다.
  • 1월 -1.7도 (평년대비 +0.8도)
  • 2월 -1.2도 (평년대비 -0.9도)
  • 3월 7.3도 (평년대비 +2.1도)
  • 4월 14.1도 (평년대비 +2.0도)
  • 5월 17.7도 (평년대비 +0.3도)
  • 6월 21.5도 (평년대비 -0.4도)
  • 7월 25.1도 (평년대비 +0.2도)
  • 8월 25.3도 (평년대비 -0.1도)
  • 9월 22.0도 (평년대비 +1.2도)
  • 10월 16.1도 (평년대비 +1.7도)
  • 11월 7.6도 (평년대비 +0.7도)
  • 12월 1.1도 (평년대비 +0.9도)
연 최저기온 연 최고기온 연교차
-13.1 °C(1206) 35.4 °C(0808) 48.5 °C

4. 사건

4.1. 실제

4.1.1. 1월

  • 1월 1일
    • 노무현 대통령은 집권 마지막 신년사에서 자신은 국민의 저력을 믿고, 새해가 국가적으로도 더 큰 발전을 이루는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한다고 밝혔으며 다음 정부를 위해 남은 기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08년 대통령 신년사
    • 이명박 당선인을 비롯한 각 당대표들은 신년사에서 '법질서 확립'을 강조했고, 당시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를 비롯한 각 당대표들도 새해 첫날을 맞아 단배식과 신년인사회를 갖고 18대 총선 각오를 다졌다.
    • 베네수엘라가 자국의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서 1000볼리바르에서 1 볼리바르 푸에르테로 변경하는 디노미네이션을 단행하였다.
    • 유럽연합의 회원국인 몰타키프로스유로존에 가입하였다.
    • 대한민국에서 가족관계등록부 제도가 시행되었다. 즉, 이 날부로 호주제가 역사의 저편으로 사라졌다.
  • 1월 2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국제유가(WTI)가 사상 처음으로 1배럴 당 100달러를 돌파했다. 그리고 이 때부터 세계 각국의 물가가 급등하기 시작했다.
  • 1월 3일: 노무현 대통령이 집권 마지막 신년 기자회견을 열었다.
  • 1월 4일: 노무현 대통령이 경제계 신년인사회에서 인수위원회의 정부부처 업무보고 행태를 강도 높게 비판하고 나섰다.
  • 1월 7일: 경기도 이천시에서 냉동창고 화재가 발생해 40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을 입었다.[10]
  • 1월 17일: 노무현 대통령이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침해당했다며, 선관위원장을 상대로 낸 헌법소원 심판청구가 기각됐다. 이에 노 대통령은 현직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헌법소원을 제기했고, 결국 헌재는 대통령이 국가기관이긴 하지만 일반 국민으로서 기본권을 제약받는다면 헌법소원을 낼 수 있다고 밝혔다.
  • 1월 19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140조 원이 넘는 세금의 환급을 통해서 소비와 투자를 살려보기 위해 한국시간 19일 새벽에 대대적인 경기 부양책을 발표했다.
  • 1월 22일: 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인수위의 정부 조직 개편안을 토론에 부치면서 거부권 행사를 시사하였다.[11]
  • 1월 24일
    • 노무현 대통령은 이날 울산 보도연맹 사건 희생자 추모식'에 영상 메시지를 보내 "대통령으로서 국가를 대표해 당시 국가권력이 저지른 불법행위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12]
    • 프랑스은행인 소시에테 제네랄이 한 브로커의 실수로 선물투자에서 무려 49억 유로[13]를 손해봤다고 발표했다. 참고기사
  • 1월 28일: 노무현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발표해 정부조직 개편안에 대해 거부권 행사를 할 수 있다는 발언을 했다.
  • 1월 29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마지막 국정연설을 발표했다.

4.1.2. 2월

  • 2월 1일: 마이크로소프트 사가 야후사를 446억 달러에 인수하겠다는 제안을 했다. 야후는 며칠 후 인수제안을 거절했다.
  • 2월 5일
  • 2월 10일: 참여정부 말기에 숭례문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 그리고 숭례문은 그로부터 5년 뒤인 2013년에 복원되었다.
  • 2월 12일: 노무현 대통령이 잘못 거둔 학교용지 부담금을 돌려주는 것을 골자로 하는 특별법에 대해서 거부권을 행사했고, 환급운동을 벌여왔던 시민단체와 정치권이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 2월 17일: 코소보세르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 2월 18일: 노무현 대통령이 이날 오전 이명박 당선인을 청와대로 초청해 비공개 회담으로 한미 FTA와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2월 19일
    • 참여정부 마지막 국무회의가 열렸다.
    • 파키스탄에서 총선이 치뤄졌다. 바로 전 해인 2007년베나지르 부토 전 총리가 암살된 버프를 타고 야권이 의석의 2/3를 차지했다.
  • 2월 20일: 육군 UH-1H 헬기 양평 추락사고로 간호장교 선효선을 포함한 7명이 순직했다.
  • 2월 21일: MBC에서 2월 21일부터 2월 23일까지 두 차례 동안 사상 최초로 당시 현직 대통령인 노무현 대통령을 중심으로 제작한 "청와대 사람들"을 제작/방영하였다.
  • 2월 22일: 청와대 출입기자단과 고별 오찬이 열렸다.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5년동안 언론은 물론 자신도 힘이 들었지만 스스로 선택한 길인만큼 견디고 갈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 2월 24일: 노무현 대통령은 임기 마지막날 밤, 현 정부의 전. 현직 장. 차관들을 모두 청와대로 초청한 고별만찬이 열렸다. 노 대통령은 고별사에서 "패배를 받아들여야 민주주의가 이뤄진다" 라고 밝혔다.
  • 2월 25일
    • 이명박 제17대 대통령이 공식 취임했다. 이명박 정부의 출범으로 10년 만에 다시 보수 세력이 집권하게 되었다.
    • 제16대 대통령 노무현은 임기가 종료되어 고향 봉하마을로 귀향했다.
  • 2월 27일: 미국달러유로화에 대해 사상 최저치로 떨어졌다. 1.5044달러/1유로.
  • 2월 29일
    • 아시아대학교가 폐교되었다.
    • 한승수 국무총리가 총리임기를 시작하였고, 한덕수 국무총리는 임기가 완전히 종료되어 이날을 기해 참여정부 내각은 완전히 막을 내렸다.

4.1.3. 3월

4.1.4. 4월

4.1.5. 5월

  • 5월 2일: '광우병국민대책회의'가 촛불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이날 1만여명의 사람이 모였다.
  • 5월 4일: 한국 경찰은 일몰시간 이후의 문화제 형식이 아닌 모든 집회를 불법으로 규정했으나, 시위는 더 강력해져갔다.
  • 5월 8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날을 기해 임기가 종료되고,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이 출범했다.
  • 5월 12일: 중국 쓰촨성에서 대지진이 일어나 수만명에 달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
  • 5월 17일: 역대 최대규모의 촛불집회가 청계광장에서 있었다.[14]
  • 5월 22일: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성명을 발표하였다. 보도자료에서 예상되지 않은 것이었다.
  • 5월 24일: 촛불시위대가 가두시위를 시작했고, 규모가 27일까지 전면 확대되면서 경찰과 정면으로 충돌하기 시작했다. 25일 새벽에는 물대포가 최초로 등장했다. 200여명의 학생과 시민이 연행되었고, 일부 석방되었다.
  • 5월 25일: 아이돌 그룹샤이니가 데뷔했다.
  • 5월 30일: 18대 국회의 임기가 시작되었다.
  • 5월 31일: 서울특별시청 앞 광장에서 5만명의 시민이 모였다. 일부 시위대가 최초로 청와대 진격을 시도하면서 부상자가 발생했다.

4.1.6. 6월

4.1.7. 7월

4.1.8. 8월

4.1.9. 9월

4.1.10. 10월

  • 10월 2일: MBC프로그램 행복주식회사 만원의 행복이 종영됐고 재기 이후 왕성히 활동 중이던 배우 최진실이 자살했다.
  • 10월 7일: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Spotify의 해외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 10월 8일: 대전 최초의 백화점 건물인 '중앙데파트'가 발파공법으로 해체됐다.
  • 10월 16일: 코스피 지수는 9.44%, 126.50으로 폭락했고 코스닥시장에서는 서킷브레이커까지 발동되면서 9.19%, 35.85포인트가 폭락했다.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133원 50전 1373원으로 폭등했다. “126 P↓ 주가 사상 최대폭 추락”
  • 10월 20일: 당시 국내 최고 인기가수 동방신기가 4집 앨범을 들고 1년 6개월만에 국내컴백했다.
  • 10월 24일: 대한민국 코스피 지수가 2000선을 돌파한 지 1년 3개월 만에 1000포인트 선이 붕괴되어 938.75로 장을 마감했다. 금융위기 당시의 코스피 최저점이다. 참고기사 코스닥 지수는 이틀연속 서킷브레이커가 걸리면서 사상 최저치로 주저앉았다.

4.1.11. 11월

4.1.12. 12월

4.2. 가상

5. 문화

2021년 하반기 대한민국을 포함해 전세계적인 돌풍을 일으킨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시나리오가 이 연도에 처음 집필되었다. 당시에는 넷플릭스 같은 OTT도 없었고 유튜브도 대중화되기 전이었다.[20] 시나리오가 구성된 지 13년 후에야 제대로 제작하고 상영할 수 있었다.

5.1. 게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자세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분류:2008년 게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인터넷 유행

6. 탄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08년/탄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사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08년/사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데뷔

8.1. 가수

8.2. 스포츠

8.3. 프로레슬링

8.4. 만화계

8.5. 예능인

8.6. 인터넷 방송

9. 은퇴

9.1. 스포츠

9.2. 가수

9.3. 프로레슬러

10. 히트작

10.1. 영화

  • 다크 나이트
  • 벼랑 위의 포뇨
  • 월-E
  • 추격자
  •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 과속스캔들
  • 아이언맨
  • 쿵푸팬더
  • 쌍화점

10.2. 드라마/시트콤

10.3. 애니메이션

10.4. 특촬

10.5. 가요

  • 한국
    • 거미 - 미안해요
    • 거북이 - 싱랄라
    • 김동률 - 다시 시작해보자, 아이처럼
    • 김장훈 - 소나기
    • 김종국 - 어제보다 오늘 더
    • 노라조 - 슈퍼맨
    • 다비치 - 미워도 사랑하니까, 슬픈 다짐, 사랑과 전쟁
    • 대성 - 날 봐 귀순
    • 동방신기 - 주문 -MIROTIC-[32]
    • 마이티 마우스 - 사랑해, 에너지
    • 먼데이 키즈 - 발자국, 흉터
    • 박명수 - 바보에게...바보가
    • 박지헌 - 보고 싶은 날엔
    • 박현빈 - 샤방샤방
    • 박혜경 - 사랑과 우정 사이[33], Lemon Tree
    • 백지영 - 총 맞은 것처럼
    • 브라운아이즈 - 가지마 가지마
    • 브라운아이드걸스 - LOVE, 어쩌다, My Style[34]
    • 비 - Rainism
    • 빅뱅 - 하루하루[35][36], 붉은 노을
    • 샤이니 - 산소 같은 너, 누난 너무 예뻐
    • 서인영 - 신데렐라
    • 서태지 - Moai
    • 소녀시대 - Kissing You
    • 손담비 - 미쳤어
    • 슈퍼주니어 해피 - 요리왕
    • 스윗소로우 - 사랑해
    • 신유 - 시계바늘
    • 신문희 - 아름다운 나라
    • 신지 - 해뜰날
    • 씨야 - 슬픈 발걸음
    • 아이유 - 미아
    • 알렉스 - 화분
    • 앤디 - Love Song
    • 엄정화 - D.I.S.C.O
    • 에픽하이 - One, 1분 1초
    • 원더걸스 - So Hot[37][38], Nobody[39]
    • 윙크 - 천생연분
    • 유리상자 - 아름다운 세상
    • 유승찬 - 그대를 사랑합니다
    • 이성우 - 진또배기[40]
    • 이승철 - 잊지 말아요[41]
    • 이은미 - 애인 있어요[42]
    • 이효리 - U-Go-Girl, Hey Mr. Big
    • 장윤정 - 장윤정 트위스트
    • 장윤정, 남진 - 당신이 좋아
    • 쥬얼리 - One More Time[43], 모두 다 쉿
    • 진성 - 안동역에서
    • 태양 - 나만 바라봐
    • 태연 - 만약에, 들리나요...
    • 트랜스픽션 - Radio
    • 하하 - 너는 내 운명
    • FT아일랜드 - 사랑후애
    • H-유진 - Kiss me, 환상의 짝꿍
    • MC몽 - 서커스
    • NELL - 기억을 걷는 시간
    • SG워너비 - 라라라[44][45]
    • W&Whale - R.P.G. Shine
    • 2AM - 이 노래
    • 2PM - 10점 만점에 10점
  • 해외
    • Beyoncé - Single Ladies (Put a Ring on It), Halo
    • Britney Spears - Womanizer
    • Coldplay - Viva La Vida
    • Flo Rida - Low (feat. T-Pain)
    • Jason Mraz - I’m Yours
    • Lady Gaga - Just Dance, Poker Face
    • Lil' Wayne - Lollipop (feat. Static Major), A Milli, Got Money (feat. T-Pain), Mrs. Officer (feat. Bobby Valentino & Kidd Kidd)
    • Mariah Carey - Touch My Body

10.6. 개그 코너

  • 개그 콘서트
    • 달인 (~2011)
    • 조선왕조부록
    • 박대박
    • 닥터피쉬
    • 많이 컸네 황회장
    • 황현희 PD의 소비자 고발
    • 할매가 뿔났다
    • 도움상회
  • 웃음을 찾는 사람들
    • 웅이 아버지
    • 잡솨봐

11. 유행어

12. 최초

12.1. 방영 프로그램 및 코너

  • KBS 1TV
    • 역사추적
  • KBS 2TV
    • 신동엽 신봉선의 샴페인
    • 이하나의 페퍼민트
  • MBC
    • 우리 결혼했어요
    • 세바퀴(일밤)
    • 스타의 친구를 소개합니다
  • SBS
    • 내 마음의 크레파스
    • 패밀리가 떴다, 체인지, 골드미스가 간다 (일요일이 좋다)
  • EBS
    • EBS 다큐프라임
    • 세계테마기행
    • 극한직업
  • Mnet
    • 골든힛트쏭

12.2. 인터넷 웹사이트

  • 투니랜드 (온미디어)

13. 출시 상품

13.1. 자동차

  • 현대자동차
    • 그랜저(4세대 1차 F/L)
    • i30 CW
    • 제네시스
    • 제네시스 쿠페
  • 기아자동차
    • 모하비(1세대, HM)
    • 포르테
    • 로체 이노베이션 (F/L)
  • 르노삼성자동차
    • SM7 뉴아트(1세대 F/L)
  • GM대우
    • 토스카 프리미엄6
    • 쉐보레 크루즈: 출시 당시 명칭은 '라세티 프리미어'.
    • 윈스톰 맥스
    • 베리타스
  • 쌍용자동차
    • 체어맨 W

13.2. 식음료

  • 남양유업
    • 6월: 치즈명장 드빈치
  • 롯데리아
    • 한우스테이크버거
    • 아보카도 통새우버거
    • 조식메뉴(라이스머핀, 브렉퍼스트)
    • 쉑쉑치킨
  • 서울우유협동조합
    • 5월 22일: 요하임
    • 11월 24일: 목장의 신선함이 살아있는 우유 저지방
  • 한국코카콜라보틀링
  • 디피케이
    • 3월 14일: 도미노 골든스위트 피자 / 씬피자(확대)
    • 5월 30일: 도미노 내 생애 최고의 씬 피자
    • 7월 4일: 도미노 게살프랑쉐 피자
    • 9월 26일: 도미노 라따뚜이 피자
    • 11월 21일: 도미노 도이치휠레 피자

14. 달력

1월2월3월
12345 12 1
678910111234567892345678
13141516171819101112131415169101112131415
202122232425261718192021222316171819202122
2728293031 242526272829 23242526272829
3031
4월5월6월
12345 1231234567
678910111245678910891011121314
131415161718191112131415161715161718192021
202122232425261819202122232422232425262728
27282930 252627282930312930
7월8월9월
12345 12 123456
6789101112345678978910111213
131415161718191011121314151614151617181920
202122232425261718192021222321222324252627
2728293031 24252627282930282930
31
10월11월12월
1234 1 123456
567891011234567878910111213
12131415161718910111213141514151617181920
192021222324251617181920212221222324252627
262728293031 2324252627282928293031
30

15. 관련 문헌



[1] 1월 10일부터 12월 28일까지는 이슬람력 1429년이다.[2] 2008년 11월 11일 ~ 12일 경, 촬영한 영상이다.[3] 21세기에서 최초로 12간지의 첫 해인 쥐의 해로 돌아옴.[4] 2020년부터 다시 의 해가 된다. 그러나 인터넷상에선 이명박 당시 대통령이 해당 동물 명칭이 별명으로 붙여졌기 때문에 해당 띠도 조롱감이 됐다.[5] 뉴욕발 부동산 버블 붕괴.[6] 2002년생까지 적용. 2003년생부턴 1~2월생이어도 학교를 빨리 간 것이면 조기입학이라고 한다.[7] 파일:attachment/osetia_war1.jpg
2008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당일, 부시 미국 대통령에게 전쟁사실을 전파하는 푸틴.
[8] 이 연설을 발표할 당시 세계 주요 지도자는 일단 대한민국은 노무현 대통령, 북한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일본은 후쿠다 야스오 내각총리대신, 중국은 후진타오 주석, 러시아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었다.[9] 라라라, 멋지게 이별, 사랑하니까 등[10] 12년 뒤 이천에서 유사한 원인의 유사한 사고가 발생한다. 2020년 이천 물류창고 화재 사고이다.[11] 노무현 대통령은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대규모 부처 통폐합이 정부의 행정 서비스와 사회 통합 기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걱정했다. 또, 정부 조직의 철학 자체가 송두리째 바뀌는 것인데도, 진행 절차가 심각하게 비민주적이고 졸속이라고 지적했다. 조직 개편 관련 법안 40여 개를 국회 행자위에서 일괄 처리하자는 한나라당의 주장도 국정운영원칙에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따라서, 국회의 관련 상임위 안팎에서 충분히 토론되지 않는다면 법안들이 국회를 통과해도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12] 노 대통령은 또 "아직도 의혹이 있는 사건이 있다면 그 진실을 분명히 밝혀야 하고, 이미 밝혀진 일들에 대해서는 명예회복과 사과, 재발방지 대책 등, 후속조치들을 착실히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13] 49억유로는 한화로 약 6조 4천 억 원 정도이다.[14] 물론 2016년촛불집회가 더 컸다고 할 수 있지만, 2008년 기준으로 최대 규모였다.[15] 사채업체가 아니라, 대한민국으로 치면 상호저축은행에 해당한다.[16] 대한민국은 원-달러 시장만 개설되어 있다. 다른 통화는 그냥 재정환율처리.[17] 1998년 1700원대 기록을 쓴 이후로 최고치였다.[18] 병을 숨기면서 의사에게 보이지 않음. 문제가 있는데도 다른 사람의 충고를 듣지 않음을 뜻한다. 출전: 『통서』 - 주돈이[19] 북한의 기술력 묘사나 영토대비 강력함을 보면 실제 세계에서의 일본과 같은 포지션이 된 것으로 보인다.[20] 심지어 스마트폰도 대중화되기 전이었다![21] 멤버 교체로 투입[22] 멤버 교체로 투입.[23] 울랄라세션김명훈, 박승일이 맨 오브 케이라는 그룹으로 노아, 마사루와 함께 이때 데뷔했다.[24] 데뷔 무대 기준. 데뷔 앨범 Lost And Found가 발매되기 전, Mnet엠 카운트다운에서 먼저 데뷔 무대를 가졌다.[25] 정식 음원 발매 기준.[26]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 작가.[27] SS501의 그 멤버와는 동명이인.[28] SBS 10기 개그맨. 1972년생 KBS 개그맨하곤 동명이인.[29] 터틀맨이나 동명의 MC와는 동명이인.[30] 방송 데뷔는 2005년 웃찾사.[31] 와르르맨션 이야기[32] 2008년 골든디스크 음반 부문 대상/MKMF 올해의 앨범상/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아티스트상 수상곡[33] 한국 밴드 피노키오의 노래를 리메이크한 곡이다.[34] 히든트랙으로 원래는 멜론 등 음원사이트에서 들을 수 없었고 오직 피지컬 앨범에서만 들을 수 있었으나, My Style 앨범 발매 6주 후 정식으로 공개되었다.[35] 2008년 MKMF 올해의 가수상 수상곡[36] 2008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1위[37] 2008년 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곡[38] 2008년 멜론 연간차트 1위곡[39] 2008년 서울가요대상 대상/MKMF 올해의 노래상 수상곡[40] 2020년 미스터트롯에서 이찬원이 부른 커버영상으로 인해 노래가 매우 큰 인기를 끌게 되었다. 이 노래로 인해 별명이 찬또배기가 된 것은 덤이다. 사실 이전에도 노래자랑 곡으로 쓰일 정도로 인지도는 어느 정도 있는 편이였다.[41] 드라마 에덴의 동쪽 OST.[42] 원래 2005년에 나온 노래지만 드라마 내 생에 마지막 스캔들 OST로 사용되고 최진실 사망 이후로 역주행하여 큰 인기를 끌게 되었다.[43] 2008년 골든디스크 디지털 음원 부문 대상 수상곡[44] 카세트 테이프로 발매한 마지막 음악이기도 하다.[45] 13년 후, MBC <놀면 뭐하니?>에서 나오자 다시 인기를 끌고 있다.[46] 원래 3집 타이틀곡 U-Go-Girl의 가사인데, 패떴에서 많이 사용하면서 유행어가 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