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및 SRT가 정차하는 역에 대한 내용은 천안아산역 문서 참고하십시오.
장항선 | 천안 - |
천안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방면 평 택 ← 21.6 ㎞ | 부산 방면조치원 32.7 ㎞ → | |||
용산 방면평 택 ← 21.6 ㎞ | |||||
여수엑스포 방면서대전 70.7 ㎞ → | |||||
홍성 방면 아 산 4.5 ㎞ → | |||||
홍성 방면(내선) 평 택 ← 21.6 ㎞ | 홍성 방면(외선) 아 산 4.5 ㎞ → | ||||
서울 방면평 택 ← 21.6 ㎞ | 부산·신해운대 방면 | ||||
조치원 32.7 ㎞ → | |||||
진주 방면 | |||||
용산 방면평 택 ← 21.6 ㎞ | 목포·광주 방면 | ||||
조치원 32.7 ㎞ → | |||||
여수엑스포 방면 | |||||
장항선 새마을호 | 익산 방면 아 산 4.5 ㎞ → | ||||
서울 방면성 환 ← 12.2 ㎞ | 경부선 무궁화호 | 부산 방면 | |||
전 의 18.3 ㎞ → | |||||
서울 방면평 택 ← 21.6 ㎞ | 충북선 무궁화호 | ||||
제천 방면 | |||||
용산 방면성 환 ← 12.2 ㎞ | 호남선 무궁화호 | 목포·광주 출발 전 의 ← 18.3 ㎞ | |||
전라선 무궁화호 | 여수엑스포 방면전 의 18.3 ㎞ → | ||||
용산 방면평 택 ← 21.6 ㎞ | 장항선 무궁화호 | 익산 방면아 산 4.5 ㎞ → | |||
서울 방면수 원 ← 55.1 ㎞ | S-train | 여수엑스포 방면서대전 70.7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광운대 방면 | 1호선 (P169) | 신창 방면봉 명 1.3 ㎞ → | |||
두 정 ← 3.1 ㎞ | |||||
1호선 [[천안급행| 경부선 급행 A ]] | |||||
청량리 방면 | |||||
서울 방면두 정 ← 3.1 ㎞ | 1호선 [[천안급행 B| 경부선 급행 B ]] | 시종착 | |||
신창 출발봉 명 ← 1.3 ㎞ |
역명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부선 | 천안 Cheonan 天安 / [ruby(天安, ruby=チョナン)] | ||||
장항선 | ||||||
천안직결선 | ||||||
1호선 | }}}}}}}}} | |||||
주소 |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흥로 239 (대흥동 57-1) | ||||||
관리역 등급 | ||||||
관리역[2] (1급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 ||||||
운영 기관 | ||||||
경부선 | 한국철도공사 | |||||
장항선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반열차 | |||||
경부선 | 1905년 1월 1일 | |||||
충남선 | 1922년 6월 15일~ 1955년 9월 1일[3] | |||||
안성선 | 1925년 11월 1일 ~1989년 1월 1일 | |||||
장항선 | 1955년 9월 1일 | |||||
2014년 5월 12일 | ||||||
2023년 9월 1일 | ||||||
2024년 11월 2일 | ||||||
새마을호 | 1990년 1월 5일 | |||||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 | |||||
S-train | 2013년 9월 27일 | |||||
수도권 전철 | ||||||
1호선 | 2005년 1월 20일 | }}}}}}}}} | ||||
역사 구조 | ||||||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4면 17선 4섬식 승강장 (횡단 가능) | ||||||
철도거리표 | ||||||
서울 방면두 정 ← 3.0 ㎞ | 경부선 천 안 | 부산 방면소정리 10.8 ㎞ → | ||||
기점 | 장항선 천 안 | 익산 방면 봉 명 1.3 ㎞ → | ||||
두정 방면두 정 ← 3.1 ㎞ | 천안직결선 천 안 | 종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폐선 철도거리표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점 | 안성선 (폐선) | 장호원 방면 2.4 ㎞ → | }}}}}}}}} |
3대 역사[5], 동부 광장(2003년 준공) |
3대 역사, 서부 |
초대 역사(1905년 준공, 1958년 철거) |
안성선 방면 초대 역사 |
[clearfix]
1. 개요
국가철도 6개 노선이 경유하는 분기역
천안역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하늘 아래 가장 편안한 땅이라는 지명을 따라 이름 붙여졌다. 천안역은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과 수도권 전철 등 국가 철도 6개 노선이 경유하는 분기역으로 KTX 천안아산역 신축 이후에도 이용객 수가 꾸준하게 높은 역사이다. 일제강점기 천안-안성을 연결하는 안성선(경기선)의 시종착역으로 역할하며 오래 전부터 교통의 요지로 자리해왔다. 1986년에 신축되었던 옛 천안역은 지금은 비록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지만 오가는 사람들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목조 단층 역사로 특히 하늘 높이 솟은 급수탑이 인상적이었다고 한다. 이런 이유로 여행과 낭만, 만남과 이별의 상징으로 역할하면서 1990년에는 <천안역>이라는 노래가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경부선·장항선의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P169번,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흥로 239 소재.천안역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하늘 아래 가장 편안한 땅이라는 지명을 따라 이름 붙여졌다. 천안역은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과 수도권 전철 등 국가 철도 6개 노선이 경유하는 분기역으로 KTX 천안아산역 신축 이후에도 이용객 수가 꾸준하게 높은 역사이다. 일제강점기 천안-안성을 연결하는 안성선(경기선)의 시종착역으로 역할하며 오래 전부터 교통의 요지로 자리해왔다. 1986년에 신축되었던 옛 천안역은 지금은 비록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지만 오가는 사람들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목조 단층 역사로 특히 하늘 높이 솟은 급수탑이 인상적이었다고 한다. 이런 이유로 여행과 낭만, 만남과 이별의 상징으로 역할하면서 1990년에는 <천안역>이라는 노래가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ITX-마음,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모든 열차가 필수 정차하는 역이다.
2. 역 정보
2003년의 천안역 |
장항선 맞이방 |
천안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독립기념관이 모티브이다. |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고, 개업 100주년인 2005년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병점역에서 이 역까지 연장되며 1호선의 남쪽 시종착역이 되었다. 2008년 1호선이 장항선을 따라 추가 연장되며 시종착역 역할은 신창역에게 넘겨주었지만 여전히 많은 열차가 천안역에서 중간 착발하고 있다.
장항선의 기점으로, 장항선 무궁화/새마을호 및 1호선 열차는 두정역에서 천안직결선으로 분기한 후 경부선 승강장 서쪽에 있는 장항선 전용 승강장으로 들어온다. 저상홈인 내선은 일반열차 승강장, 고상홈인 외선은 1호선 승강장이다. 일반열차 기준 경부선의 첫 번째 분기역이라 할 수 있다. 다만 2024년 11월에 개통되는 평택선(안중역~평택역)에 일반열차가 다니게 된다면 이 타이틀은 평택역이 가져가게 된다.
천안역을 지나는 모든 무궁화호와 ITX-새마을, ITX-마음, 새마을호 열차가 필수정차한다. 이 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열차는 대전역까지 기존선을 경유하는 수원 경유 KTX와 천안역 대신 아산역에 정차하는 서해금빛열차(G-train) 두 개밖에 없다. 과거 2010년도에 새마을호가 선택정차했었다. 패턴은 평택정차 천안통과 방식과 (서)대전~수원 무정차였다 2017년 이후, 새마을호급 열차들이 모두 정차한다. 2024년 초에 천안역을 통과하는 서대동부 최속달 ITX-마음 계통이 임시적으로 운행했었다. 평택고속연결선이 완공되어 수원 경유 KTX가 폐지되고 수원발 KTX로 전환되면 천안역을 통과하는 KTX도 더 이상 볼 수 없게 된다.
경부고속선에 문제가 생겨 KTX가 기존선으로 우회해야 하는 상황[6]에는 천안역이 천안아산역의 대체 정차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2011년 광명역 KTX 탈선사고와 2022년 대전조차장 SRT 탈선 사고 당시 KTX가 천안역에 정차한 적이 있다.
1호선이 신창역으로 연장된 이후에도 신창역의 인지도가 너무 떨어지는 관계로 일부 신창행 열차는 천안·신창행으로 표기하고 다닌다. 연장 후에도 한동안 급행열차는 모두 천안역에서 시종착하였으나 2016년에 신창급행이 신설되었다. 하지만 신창급행도 천안역부터 신창역까지는 각역정차하기 때문에 천안역이 사실상 급행 운행을 하는 마지막 역이라 할 수 있다. 1호선 역사상 가장 빠른 급행이었던 용산~신창 주말급행(2018년 폐지)도 이 구간에서는 예외없이 각역정차했다.
천안역에서 시종착하는 1호선 전동차는 하행 승강장에 정차한 후 회차선을 거쳐 상행 승강장으로 돌아가거나 처음부터 상행 승강장으로 들어가 그 자리에서 승하차를 모두 해결하고 바로 방향을 바꾸어 두정 방면으로 나간다. 두 경우 모두 평면교차가 발생하지만, 장항선 열차들의 배차간격이 크기 때문에 아직까지 큰 문제는 없다.
2020년 12월 경에 장항선 일반 승강장과 장항선 전철 승강장 사이에 일반열차 - 전철 간 무임승차 방지를 위해 QR코드 리더기가 설치되었다.
1호선 청량리/서울급행 대부분의 열차가 천안역에서 출발한다. 일부 열차는 신창역에서 출발하며, 신창역에서 출발하는 급행열차는 신창역부터 천안역까지 각역정차한다. 반대로 청량리역에서 출발해서 신창역까지 운행하는 급행열차는 천안역까지만 급행으로 운행한 뒤 '급행' 표시를 떼고 평범한 신창행이 되어 각역정차하기 때문에 천안역부터는 완행열차와 다를 바 없다.
2.1. 신역사 건설
이용객은 점점 느는 반면 역사는 작아 민자역사 계획이 세워졌고, 민자역사를 지으려고 옛날 역을 철거하고 2003년 10월 24일부터 임시역사를 쓰고 있는데, 그 뒤로 아무 소식도 없다. 2023년 기준으로 20년째 임시역사 신세이며, 사업은 지지부진했고 민자역사가 망하면서 신역사를 다시 추진할 때까지 옛 청량리역처럼 오랜 기간 동안 쓰이게 되었다. 2008년 5월에 착공 소식이 들려왔지만 별 성과가 없었다가 2012년 4월 천안시가 건축허가를 취소했다.[7] 청량리역 임시역사보다는 규모가 크다. 그러나 임시역사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상점들이 자리잡고 있는 것을 보면 이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철도공사와 천안시청에서는 새로운 사업자를 구하여 다시 민자역사를 추진한다는 입장이지만, 기존 사업자와의 소송분쟁을 한바탕 치러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될 것이다.[8]민자역사로의 신설은 보류되고 있지만 임시역사인 상태로 역의 개선은 조금씩이나마 이루어지고 있다. 2010년경 동부 광장을 뜯어고쳐서 각종 이벤트가 열릴 정도의 크기였던 광장과 분수대가 관광버스 및 택시 승강장으로 바뀌었고, 2015년 2월에는 서부광장 시내버스, 택시 정류장이 새로 건설되었다. 2015년 9월쯤 화장실과 맞이방등 개수공사를 진행하여 과거 화변기였던 시설을 양변기로 교체하여 시설이 한편 깔끔해졌다.
문재인 정부 이후 천안역 민자역사 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문재인의 충청지역 공약 중 천안역 신축사업이 포함되어, 천안시 도시재생사업과 더불어 천안시청,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철도공사가 협력한다고 한다. 2017년 12월 26일 천안역 복합환승센터 건립이 도시재생뉴딜시범사업에 선정되면서 청신호가 켜졌다.[9] 이제 남은 것은 역을 신축하느냐 증축하느냐뿐이다.
임시역사가 경부선 역사와 장항선 역사가 달라서 경부선에서 장항선을 갈아타려면 개찰구를 나가서 반대편으로 들어가야 한다. 장항선 일반열차 승강장과 수도권 전철 1호선 승강장이 붙어 있으며 승강장 간 이동도 자유로운데, 경부선 및 장항선상에서 일반열차와 전철이 같이 서는 역 중 신창역, 온양온천역, 아산역, 성환역, 서정리역, 오산역과 같이 전철과 일반열차가 운임구역을 공유하고 있어 일반열차를 타는 것으로 위장해 전철을 무임승차할 수 있다는 결함이 있다. 이 때문에 무임승차 적발 사례가 상당히 많다 보니 단순히 승강장을 헷갈리거나 입장권을 끊고 천안역 장항선 무궁화호 승강장에 가는 경우에도 무임승차자로 몰릴 수 있다. 이런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승강장 내 교통카드 승·하차 단말기가 비치되어 있다. 개찰구와 같은 시스템으로 전철에서 일반열차로 갈아타려면 교통카드 하차 태그를, 일반열차에서 전철로 갈아타려면 교통카드 승차 태그를 하는 것인데, 장항선의 경우 승·하차 단말기에 카드를 대고 승·하차 처리를 한 다음 장항선 일반열차, 혹은 전철로 환승가능하다. 다만 전철만 타는 여정 도중 여기에 태그하면 무임승차자가 된다. 이는 ITX-청춘 열차가 전철과 같은 고상홈에 정차해야 하기에 용산역 ~ 춘천역 간 ITX-청춘 정차역에도 똑같이 운영 중이며 경부선 ITX-청춘이 운행할 당시에도 전철 승강장에 서는 용산역, 노량진역, 신도림역, 수원역, 평택역에 환승 단말기를 설치했으나 경부선 청춘 운행 중단 이후에는 이것 역시 운영을 중단하였다.
2018년 11월 21일, 천안역 증·개축이 허가가 나면서 2021년을 목표로 착공이 되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10] 2020년 3월 24일에는 천안역 증축계획이 발표되었다.[11] 신축이 아닌 증축으로, 민자역사가 아닌 일반역사로 증축하는 방식이 채택되었다. 즉, 2003년에 완공한 임시역사 자체는 존치되는 것이다.
천안역 증축 디자인 당선작이 공개되었다. 다만 증축은 경부선 역사에 한해 시행되며, 장항선, 1호선 역사 증축계획은 없어졌다.[12]
그러나 위 계획은 2020년 8월에 설계에 착수했는데 다음 달인 2020년 9월,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사업의 타당성조사가 진행되며 또다시 중단되었다. 이 때 천안시는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사업과 천안역 증·개축은 별도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피력하였고, 국가철도공단과 국토교통부에서 이를 받아들여 2022년 1월부터 다시 설계작업을 재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천안-청주공항선까지 포괄하여 새로 설계 착수를 하여 새로운 증축 디자인을 선정하였다.[a] 이 새로운 증축안에서는 기존 증축안과는 몇 가지가 달라졌는데 우선 2019년 계획에는 계획규모가 증축 2,953㎡, 개량 5,207㎡, 존치 305㎡에 총 8,456㎡의 면적이었으나, 새로운 증축안에서는 전체면적 1만 1,640㎡ 중에서 4,440㎡은 개량, 7,200㎡은 새로 증축을 하여 전체적으로 계획규모가 보다 확장되었고 증축하는 규모도 대합실 등을 포함하게 되어 크게 늘었다. 사업비는 국비 299억과 지방비 501억을 합하여 총 800억이 투입된다. 또한, 기존 증축안에서 장항선, 1호선을 존치한 것과 달리 새로운 증축안에서는 장항선, 1호선, 서부광장 출입구까지 포괄하여 증·개축한다.[14] 완공 시기는 기존 증축안과 동일하게 2026년 연말이다.[a]
2024년 GTX C노선의 천안연장이 확정되면서 설계구조를 다시 변경해야 하는 건 아닌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미 2020년도에 설계안 발표 한 달 만에 기존안이 엎어지면서 용역비를 두 번이나 지출했기 때문인데, 우선은 기존 철도 승강장을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사실상 완전히 신축하는 상황이 되며, 기존 임시역사는 철거될 전망이다.
2.2. 환승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신창 방면으로 향하는 5번 승강장 옆에 6번 장항선 하행 승강장이 있고, 건너편에 서울 방면 상행 기차 승강장인 7번과 1호선 상행선 8번 승강장이 있다. 경부선을 타려면 동쪽에 있는 1~4번 승강장까지 4~6분은 족히 걸어야 한다. 전력질주한다면 약 3분 내외이지만 경우에 따라 소요 시간이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승강장에서 역사로 올라와서 긴통로를 통해서 이동해야 한다. 단 1호선, 장항선 같은 방향의 경우, 플랫홈에 배치된 단말기를 통해 교통카드 정산을 할 수 있어 전철-기차 환승이 가능해졌다.2.3. 구 안성선 천안역 (1925년~1989년)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과거 천안역은 안성선 철도의 종착역이었다. 일제강점기에 사철로 영업했던 이 노선은 천안역 서쪽 구내에서 출발했다. 경부선뿐만 아니라 장항선과도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천안역에서 출발한 안성선은 경부선을 따라가다가 구 천안직결선을 따라갔고, 천안직결선 중간에서 동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경부선을 입체교차하여 빠져나갔다. 두정역과 천안역 사이의 선로 서쪽에 있는 천안축구센터를 끼고 있는 도로가 꽤 큰 곡선을 그리고 있는데, 이것이 구 천안직결선이다. 1989년 폐선되어 선로가 철거되고 나서도 철교와 노반은 남아 있었다.
그러나 경부선 복복선화와 장항선 복선화로 천안직결선마저 이설되어, 2005년경에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현재 폐선된 구간에는 천안축구센터와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 미래 #===
충청북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2014년 6월부터 2015년 4월까지 목표로 사업 기본계획수립 용역에 착수했다.[16] 2017년 8월 2일 관보에 게시된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르면 천안 ~ 청주 간 복선전철 사업에 따라 운행될 열차에 정차역이 천안 - 전의 - 서창 - 오송 - 북청주 - 청주공항으로 정해졌다.
또한 천안지역 정치권 차원에서도 GTX-C 연장 요구를 청원한 결과 연장이 확정되어 경기남부와 강남권 수요 역시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계획이 수도권 전철 1호선/연장 독립기념관 지선 계획과 엮여있긴 하지만 아직 진전이 없다.
3. 역 주변 정보
출구 번호 | 호선 | 연계 장소 | 비고 |
① | 1호선 | 동부광장, 지하상가, 동남구청 방면 | |
② | 서부광장 방면 | ||
③ | 천안중앙시장 방면 |
90년대까지 천안의 핵심 번화가 중 하나였다. 일제강점기 시절 천안역 경부선이 생긴 후, 자연스레 인파가 모여들었고 상권이 형성되었다. 다른 역세권 번화가와 마찬가지로 음식점, 술집, 옷가게, 모텔, 사창가, DVD방, 지하상가 등이 생겨났으며, 천안 시민들의 만남의 장소였다. 그리고 불량 청소년들, 비양심적 어른들의 어둠의 장소이기도 했다. 허나 2010년대 후반으로 치닫은 시점에서는 완전히 몰락했다. 자세하게는 90년대 들어 빠른 추세 변화로 인해 하락세를 면치 못하다가 90년대 후반, 신부동 천안터미널 일대의 '야우리 백화점'(현 신세계백화점 천안아산점)과 그 부근의 번화가가 형성된 이후로 급격하게 쇠퇴하였다. 그래서 사실상 신부동이 타 도시의 구도심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고, 천안역은 '구 구도심' 신세로 전락했다.
신세계백화점 천안아산점, CGV 천안, 신부문화거리 등이 멀지 않은 곳에 있어(1.5km 정도) 천안역 부근의 유동인구는 꽤 된다.
학화호두과자 |
동부 광장 근처에 심복순 할머니의 사진을 내건 1934년 전통의 '학화호도과자' 라는 원조 호두과자집이 존재했었으나 이후 '학화' 이름을 단 천안역 앞, 천안소방서 근처, 천안종합터미널 근처, 삼성SDI 공장 근처에 4곳이 새로 생겼다. 천안IC 부근에도 분점이 있다. 게다가 이 호두과자가 제법 팔리자 지금은 천안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서로가 원조라고 주장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호두과자 혹은 천안시 문서를 보라.
1번 출구로 나오면 단국대학교 학생들은 동부광장 건너 세기보청기 앞에서 셔틀버스를 탄다. 택시 승강장 바로 옆에 2019년 여름까지 호서대학교 셔틀버스 승강장이 있었으나 이후 버들로 방향 IBK기업은행 근처로 이전되었다. 보통 지하철을 타고 통학하는 학생들은 주로 이곳에서 셔틀버스를 탄다. 반대로 선문대학교 아산캠퍼스의 셔틀은 서부광장, 2번 출구에서 승차한다.
아는 사람은 별로 없지만, 천안역에서 매우 가까운 거리에 천안 청년몰 흥흥발전소가 있다. 2017년 10월 27일 개소했으며 천안청년이음센터와 함께 식당, 카페, 공방 등의 여러 청년 업체들이 입점해 있다. 양모펠트공방인 앙두[17]와 TRPG 전문 샵인 쿠키박스의 오프라인 매장도 이곳에 입점되어 있다.[18], 전주, 수원 등의 유명 청년몰과 비교하면 아직은 부족한 듯 보이지만 개별 업체들에 대한 평은 좋은 편이다.
천안역의 서측을 이용해 지나야 한다면 동아라이크텐 아파트쪽 도로로 우회해서 지나가야 한다.
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bgcolor=#0052a4> 비고 ||
2005년 | 21,349명 | [20] |
2006년 | 21,208명 | |
2007년 | 22,044명 | |
2008년 | 22,777명 | |
2009년 | 19,795명 | |
2010년 | 19,298명 | |
2011년 | 19,622명 | |
2012년 | 19,149명 | |
2013년 | 19,175명 | |
2014년 | 19,371명 | |
2015년 | 18,408명 | |
2016년 | 17,398명 | |
2017년 | 16,323명 | |
2018년 | 15,346명 | |
2019년 | 14,841명 | |
2020년 | 8,960명 | |
2021년 | 9,869명 | |
2022년 | 12,646명 | |
2023년 | 14,209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이용객 수는 2008년에 정점을 찍고 이용객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 배차 간격이 6~15분이라 1호선 양주 이북 구간(덕계 ~ 연천), 서동탄역, 경의·중앙선 덕소 이동 구간(도심 ~ 용문/지평), 경강선, 서해선에 비하면 낫지만 이 역 이남으로 내려가면(봉명 ~ 신창 구간) 거의 동해선 전철급으로 배차가 더 나빠진다. 이렇듯 전철 배차 간격이 좋지 않기 때문에 서울이나 경기도로 가려는 경우 열에 아홉이 무궁화호나 ITX-새마을을 타거나 천안터미널에서 수도권으로 가는 고속, 시외버스를 탄다. 평택이나 수원까지는 전철을 타는 이용객이 많으나 그 이북으로는 빠르고 편한 일반열차를 타는 이용객이 많고 급행을 타더라도 1시간 정도면 갈 수 있는 서울 서남부권까지만 이용한다. 단거리 수요가 많은 편이 아니기에 전철 이용객 수는 생각보다 적은 편이다. 그런데도 배후 인구가 많아서 적지 않은 수요가 고정적으로 나온다.
- 다만 2008년 12월 15일 이 역에서 신창역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천안역에서 내려 목적지까지 가던 승객들 중 일부가 목적지까지 한 번에 가게 되면서 이용객이 많이 빠졌다. 2008년 22,777명에서 2009년 19,795명으로 하루 평균 20,000명이 붕괴된 것은 물론 한 번에 3,000여 명이 감소했다. 이 때 내려간 이후 다시는 장항선 전철 개통 이전의 수요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4.2. 일반철도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새마을호|
|| [[무궁화호|
새마을호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c30e2f> 총합 ||<bgcolor=#c30e2f> 비고 ||2004년 | 2,671명 | 20,172명 | 22,843명 | |
2005년 | 2,671명 | 15,777명 | 18,448명 | |
2006년 | 2,646명 | 16,208명 | 18,854명 | |
2007년 | 3,281명 | 15,656명 | 18,937명 | |
2008년 | 3,385명 | 15,594명 | 18,979명 | |
2009년 | 3,522명 | 14,716명 | 18,238명 | |
2010년 | 3,574명 | 15,548명 | 19,122명 | |
2011년 | 3,323명 | 16,978명 | 20,301명 | |
2012년 | 3,232명 | 17,162명 | 20,394명 | |
2013년 | 3,418명 | 17,802명 | 21,220명 | |
2014년 | 3,402명 | 17,429명 | 20,831명 | |
2015년 | 3,319명 | 16,709명 | 20,028명 | |
2016년 | 3,310명 | 15,021명 | 18,331명 | |
2017년 | 3,671명 | 13,128명 | 16,799명 | |
2018년 | 3,732명 | 12,668명 | 16,400명 | |
2019년 | 3,776명 | 12,734명 | 16,510명 | |
2020년 | 2,198명 | 7,192명 | 9,390명 | |
2021년 | 2,544명 | 7,128명 | 9,672명 | |
2022년 | 3,445명 | 8,514명 | 11,959명 | |
2023년 | 4,251명 | 7,831명 | 12,082명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 모든 일반열차가 필수 정차하는 역이기에 이용객이 많다. 과거보다 이용객이 현저히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2023년 기준 고속열차(KTX, SRT)가 정차하지 않는 역 중에서 승하차량 1위이다.
5. 승강장
1호선 역명판 | 장항선 역명판 |
경부선 역명판 | 경부선 승강장 |
↑ 두정 | ↑ 성환[21] | 성환 ↓ | 두정 ↓ | ↑ 성환 | 성환 ↓ | |||||||||||||||||||
ㅣ | ㅣ | ㅣ | ㅣ | 8 | 7 | ㅣ | ㅣ | 6 | 5 | ㅣ | ㅣ | ㅣ | ㅣ | ㅣ | ㅣ | ㅣ | ㅣ | 4 | 3 | ㅣ | ㅣ | 2 | 1 | ㅣ |
↑봉명 | ↑ 아산 | 아산 ↓ | 봉명 ↓ | ↑ 전의[22] | 전의 ↓ |
1·2 | 경부선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대전·부산·신해운대 방면 |
경전선 | 동대구·마산·진주 방면 | ||
호남선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서대전·광주·목포 방면 | |
전라선 | · [[무궁화호|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 ]] | 서대전·전주·여수 방면 | |
충북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청주·충주·제천 방면 | |
3·4 | 경부선·경전선 호남선·전라선·충북선 | · [[무궁화호|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 ]] | 수원·용산·서울 방면 |
5 |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A급행·B급행 | 당역 종착 아산·온양온천·신창 방면 |
6 | 장항선 | [[새마을호| 새마을호 ]]·[[무궁화호|무궁화호 ]] | 홍성·대천·익산 방면 |
7 | 수원·영등포·용산 방면 | ||
8 |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A급행·B급행 | 당역 출발 수원·구로·광운대 방면 |
2017년 봄에 스크린도어 공사를 위해 홈을 파고 철판을 깔아놓았으나, 현재 철판을 깔아 놓은 자리에는 콘크리트로 메워져 있는 상태이다. 민자역사 공사가 역사를 증축하는 것으로 변경되어, 천안역 리모델링과 함께 스크린도어가 설치될 예정이다.
장항선을 제외한 여객열차의 경우 특별한 일이 없는 한 거의 2번 승강장과 4번 승강장에서 취급한다. 3번 승강장의 경우 선로 경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는 의정부역의 선로 구조와 비슷하다.
현재는 역명판이 전부 철거되었다.
5번 타는 곳에서 신창행을 타면, 이 역에서 탄 문(진행 방향 기준 오른쪽)이 다시 열리는 역이 3정거장 차이가 나는 아산역이다.
5.1. 완행 - 급행 연계
수원 이남이라면 상행이나 하행이나 먼저 오는 열차를 타면 된다. 급행이 완행을 추월하는 유일한 방법은 급행정차역에서 완행열차가 정차한 뒤 뒤따라오는 급행열차를 먼저 보내는 것뿐이기 때문.[23] 문제는 천안 급행을 타고 신창으로 갈 때인데, 천안역은 완급결합이 안 되는 역이라 최소 15~20분 이상 기다려야 한다. 학교 통학 연계도 매우 나쁘며 (7시 35분 도착은 너무 빠르고, 8시 46분 도착은 지각) 일부 시간대에는 제자리 회차해 상행 선로로 들어온다. 그러므로 천안급행에서 신창행으로 갈아탈 때는 전 역인 두정역에서 갈아타야 한다. 이때 육성으로 '신창 방면으로 갈 승객은 두정역에서 하차하여 신창행으로 환승하라'는 방송이 나오며 방송이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천안역 신창행 승강장에서 종착한다.천안역 이후인 나사렛대학교와 선문대학교, 호서대학교 아산캠퍼스, 순천향대학교 등지로 등교할 때 천안급행 이용은 불가능하다. 대안은 다음과 같다.
- 나사렛대학교는 쌍용(나사렛대)역에서 하차한다. 역에서 가장 가까운 경건관, 브리지관까지 도보로 약 5분 소요된다.
- 선문대학교, 호서대학교 아산캠퍼스는 아산역에서 셔틀버스 연계가 있다. 하지만 천안역에서도 셔틀버스 연계가 가능해서 천안급행을 끝까지 이용할 수는 있다.
- 순천향대학교는 신창(순천향대)역에서 셔틀버스 연계가 있다.
2021년 12월 천안시와 아산시는 아산(신창역)~천안 셔틀전동열차(19.5㎞)는 국도 21호선 상습 교통정체 해소와 철도 수송력 증대, 지역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최근 급격한 도시 발전 및 인구 증가에 따른 신규 친환경 교통 인프라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각 시는 이에 따라 5천만 원씩 공동 분담해 셔틀 전동 열차 운행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을 진행했다.
6. 연계 교통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천안역(685)
*삼도상가, 천안역 동부광장방면
||시내권 | |
일반 | |
순환 | |
심야 | |
북부권 | |
일반 | |
동부권 | |
일반 | |
순환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천안역(677)
*동남구보건소, 동남구청방면
||시내권 | |
일반 | |
순환 | |
심야 | |
북부권 | |
일반 | |
동부권 | |
일반 | |
순환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천안역 동부광장(656)
*삼도상가, 천안역 방면
||시내권 | |
급행 | |
일반 | |
순환 | |
동부권 | |
급행 | |
일반 | |
남부권 | |
일반 | |
아산권 | |
일반 | |
아산시 시내버스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천안역 동부광장(656)
*삼도상가, 천안역 방면
||시내권 | |
급행 | |
일반 | |
순환 | |
동부권 | |
급행 | |
일반 | |
남부권 | |
일반 | |
아산권 | |
일반 | |
아산시 시내버스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천안역 서부광장 (1519)
*공작아파트입구 방면
||시내권 | |
일반 | |
순환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천안역 서부광장 (1520)
*농업기술센터천안지소/성정사거리 방면
||시내권 | |
일반 | |
순환 |
천안역 정류장과 천안역 동부광장 정류장은 출구에서 5분 정도 걸어야 나온다. 천안역 정류장은 1번 출구로 나와서 천안역 지하상가를 통해서 가면 날씨영향과 신호 없이 빠르게 갈 수 있고 천안역 동부광장 정류장은 3번 출구로 나오면 금방 보인다. 서부광장 정류장은 원래는 2번 출구 바로 앞에 위치해 있었는데 천안역세권 도시재생혁신지구 개발 사업으로 천안시 도시재생어울림센터 앞으로 이설되었고 기존 승강장은 폐쇄되었다.
7. 사건 사고
- 1969년 1월 31일 오전 11시 55분경 경부선 천안역 남쪽 500m지점에서 정차 중인 남원발 서울행 102호 완행 열차를 부산발 서울행 10호 청룡호가 추돌하여 41명이 사망, 102명이 중경상(중상 58명 경상 44명)을 입은 천안 열차 추돌사고가 발생했다.
2012년 6월 3일 오후 5시경 천안역에서 회차하던 수도권 전철 1호선 31x000호대 전동차가 탈선했다. 원인은 지반 침하로, 회차선에서 상행선으로 전동차가 나오던 도중에 분기기가 있는 자리의 지반이 침하된 것이다.[24] 지반이 침하된 이유는 근처에서 하던 공사로 인한 것이라고 한국철도공사는 추측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거진 10시간 동안 장항선에 교통 대란이 발생했다. 장항선 일반열차의 경로는 '용산 - 수원 - 천안 - (장항선) - 아산 - 군산 - 익산'인데, 이 사고 때문에 '용산 - 수원 - 천안 - (경부선) - 신탄진 - (호남선) - 서대전 - 익산 - (장항선) - 아산'으로 운행했다. 그리고 사고를 당한 311X47편성은 2번째 객차와 3번째 객차 사이가 우그러졌다. 사고 여파로 강릉역에서 경강선 기공식을 마치고 돌아오던 KTX-산천이 오송역에 한참 발이 묶였다.
- 2013년 5월 8일, 오전 6시 7분쯤 서울대학교 서모씨(20) 등 2명이 천안역 전철노선 근처에 있는 9번 선로 근처 화물열차에 올라갔다가 감전됐다. 이들은 현장에 출동한 119구급대원에 의해 6시 33분쯤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으로 이송됐다. 이후 9시쯤 서울 구로 성심병원으로 옮겨졌다. 사고로 한 명은 전신 80%의 3도 화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한 명은 얼굴과 왼쪽 팔, 어깨를 중심으로 전신 20% 2도 화상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사고 당시, 화물열차 위에는 모두 3명의 학생이 올라갔는데, 한 명은 앉아서 사진을 찍어주고 두 명은 서 있다가 5.2m 높이의 고압선을 건드렸다고 한다. 이로 인해 1명은 사망, 다른 1명은 크게 다쳤다.
- 2013년 11월 3일, 새벽 3시 13분쯤 술에 취한 대학생 남성 김모(21)씨가 열차 위로 올라갔다가 감전돼 숨진 사고가 일어났다. 천안역에서 서울로 향하는 새벽 기차를 타기 위해 기다리던 중이었다.[25][26]
8.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daa> 경원선 | 연천 - 전곡 - 청산 -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제기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각 - 시청 - | |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 |
경부선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평택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 |
천안직결선 | 두정 - | |
장항선 | 천안 - 봉명 - 쌍용(나사렛대) - 아산 - 탕정 - 배방 - 온양온천 - | |
병점기지선 | 병점 - | |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금천구청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경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정리† - - 전동† - 서창† - - 내판† - - 매포† - - 회덕† - - - - 세천† - - - - - - - - - - - - 신암† - 직지사† - - 대신† - 아포† - - - 사곡† - - - 연화† - - 지천† - - - - 고모† - 가천† - - 삼성† - - - 신거† - - - - 미전† - - - - - - - 부산진† - - - | }}}}}}}}} |
장항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화양† - - 신성† - - - 원죽† - - 주포† - - - 남포† - - - - - - - - - - - - - - - - - - - 목천† - | }}}}}}}}} |
천안직결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안성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천안시의 교통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철도 | 일반 철도 | 경부선 | 천안, 성환 |
광역 전철 | 성환, 직산, 부성, 두정, 천안, 봉명, 쌍용 | |||
도로 | 고속 도로 | 경부선, 논산천안선, 세종포천선, 당진청주선 | ||
국도 | 1번 국도, 21번 국도, 23번 국도, 34번 국도, 43번 국도 | |||
국지도 | 23번 지방도, 57번 지방도, 70번 지방도 | |||
지방도 | 618번 지방도, 623번 지방도, 624번 지방도, 628번 지방도, 629번 지방도, 691번 지방도, 693번 지방도, 696번 지방도 | |||
버스 | 버스 터미널 | 천안종합버스터미널, 성환버스터미널 | ||
버스 정류소 | 쌍용시외버스정류소, 병천정류소, 천안3공단정류소, 천안TG.단대.천안대정류소 | |||
시외버스 · 고속버스 |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 |||
충청남도의 교통 |
[1] #1141, #9941 열차만 조치원, 신탄진에 정차하고 나머지는 통과하여 서대전역에 정차한다.[2] 성환역, 직산역, 두정역, 천안역, 소정리역을 관할한다.[3] 천안 - 온양온천 구간 최초 개업.[4] 충남선에서 장항선으로 개칭된 날짜.(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432호)[5] 임시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문제로 무려 20여년 동안 이대로 쓰였기에, 사실상 3대 역사가 되었다. 2026년 이후에 철거될 전망이다.[6] SRT는 고속선 상의 분기점에서 수서평택고속선으로 분기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선 우회가 불가능하며, 한쪽 선로에만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는 멀쩡한 선로로 상하행 모두 단선 운행을 한다.[7] 「천안시, 천안민자역사 건축허가 취소」, 연합뉴스, 2012-04-05[8] 「천안시 대형사업 줄줄이 무산·보류」, 중앙일보, 2012-09-21[9] 「LH, 지역 맞춤형 도시재생뉴딜시범사업 본격 착수」, 머니S, 2017-12-26[10] 「'임시역사' 천안역 15년 만에 증·개축…2021년 말 완공」, 연합뉴스, 2018-11-21[11]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12] 「[집중M]'스크린도어 없어요' 18년째 임시역」, 대전MBC, 2021-07-30[a] 김소원 기자, 20년째 임시역사 천안역, 증개축 재추진 디자인 발표, C3KOREA, 2023년 4월 19일 작성됨.[14] 계획 자체는 동부광장 확장까지 포함해서 발표되었는데, 해당 확장대상 부지가 재생이 필요한 면이 있는 것은 맞으나 최초의 학화호도과자 점포를 포함한다.[a] [16]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2017년 착공」, 충북넷, 2014-06-26[17] https://www.instagram.com/angdo0[18] TRPG SPACE 쿠키박스, modoo![19] 역 주변에 써있는 안내를 보고 들어가면 된다.[20] 개통일인 1월 20일부터 12월 31일까지 34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21] 폴싸인에서는 용산 방면으로 성환역이 나와있다. 그러나 장항선 열차는 성환역에 정차하지 않으므로 실질적인 다음 역은 평택역이다.[22] 전의역과 이 역 사이에 소정리역이 있긴 하나, 여객 취급이 중단된 지 오래다.[23] 비슷한 이유로 상행이건 하행이건 (병점역을 지나가야 한다면) 바로 다음 차가 병점행이어도 그냥 타는 게 좋다. 병점·서동탄에서 출발하는 차가 바로 올 수 있기 때문.[24] 「천안역서 전동열차 탈선…인명피해는 없어」, 매일경제, 2012-06-04[25] 「천안역에서 20대 남성, 열차 올라가 감전돼 숨져」, 노컷뉴스, 2013-11-03[26] 「만취한 20대 남성 화물차 위에 올라갔다 ‘감전사’」, KBS, 2013-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