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6:15:01

소정리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소정리역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경기도 평택시 서정동에 있는 역에 대한 내용은 서정리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소정리역
역명 표기
경부선 소정리
Sojeong-ri
小井里 / [ruby(小井里, ruby=ソジョンニ)]
[1]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구길 159
(소정리 196-1)
관리역 등급
보통역
(조치원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부선 1906년 1월 20일
철도거리표
경부선
소정리

1. 개요2. 역 정보
2.1. 역사(驛舍)
3. 연계 버스4. 기타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소정리역사.png
현 역사(2005년 준공)[2]
파일:old_sojeong-ri1.jpg
임시역사[3]

경부선의 철도역,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구길 159 (소정리 196-1) 소재.

2. 역 정보

경부선에서 장항선천안역에서 분기한 이후 나오는 첫 번째 역으로, 경부선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하지 않는 첫 번째 역이다.

역은 소정면의 중심에 위치해 있으나 소정면의 인구는 2천명을 살짝 넘기는 수준으로 세종특별자치시의 모든 읍면동 중 인구가 가장 적다. 게다가 소정면은 천안 시내와 접해 있어 세종보다 천안 생활권으로 분류되는데, 천안까지 가는 교통도 매우 편리해 철도의 필요성이 떨어지는 지역이다. 그래서 여객 취급을 하던 시절에도 무궁화호가 왕복 1회만 정차할 정도로 수요가 매우 적었다.

2014년 5월부터 승차권 취급이 중단되어[4] 이 역에서 승하차하려면 코레일톡에서 온라인 예매를 하거나 일단 탑승을 해서 승무원에게 차내승차권을 발급받아야 했고, 결국 2017년 7월 여객 취급이 중단되어 모든 여객열차가 통과하게 되었다.

화물의 경우 역 주변에 KCC 세종공장을 비롯한 공장들이 몇 군데 있고 군부대도 있어 유류 화물과 컨테이너 화물을 싣는 적하장이 따로 마련되어 있을만큼 중요한 화물취급역이었으나, 2022년 4월부터는 화물취급마저 중단되면서 여객과 화물 기능을 모두 상실한 유령역이 되었다. 다만 폐역 처리되지는 않았기 때문에 현재도 역무원이 근무를 하고 있긴 하다.

이 역을 둘러보고 싶을 경우 천안역에서 700, 702, 710번 버스를 타거나 전의역에서 85, 991번 버스를 타면 된다.

2.1. 역사(驛舍)

파일:sojeongri.jpg
파일:구 소정리역.jpg
구 역사 (1942년 준공, 2004년 소실)
현 역사는 2005년 5월 1일에 완공한 것으로[5] 기존에 있던 역사는 전기누전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여 소실된 흑역사가 있다. 지금 역사는 이전 역사보다 좀 더 작은 규모로 신축한 것으로, 출입구가 옆쪽에 있다.

3. 연계 버스

  • 역 앞 정류소 (39013)
    • 세종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6a732; font-size: .95em"
85(전의역)}}}
991(세종)
  • 천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2AA; font-size: .95em"
700(전의)}}}
702(행정리)
710(정안)
  • 역 건너편 정류소 (39012)
    • 세종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6a732; font-size: .95em"
85(고등리)}}}
991(대곡리)
  • 천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2AA; font-size: .95em"
700(백석대)}}}
702(백석대)
710(천안터미널)

4. 기타

이 역 북쪽으로 얼마 멀지 않은 곳에 경부고속선과 경부선, 1번 국도가 동시에 입체 교차하는 지점이 있다. 그에서 멀지않은 곳에 논산천안고속도로도 고속선 및 본선과 교차하는 지점이 있다.

여객취급을 하던 때에는 가끔씩 이름이 비슷한 서정리역과 혼동하는 사람들이 있었다.[6] 이 역도 같은 경부선에 있고, 무궁화호가 선택정차하는 역이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었다. 지금은 지나간 이야기지만...

소정면 주민들이 소정리역 무정차 통과에 관해 항의한 바가 있다.

5. 둘러보기

경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여객영업 X
}}}}}}}}}



[1] 광복 전까지는 しょうせいり(Shōseiri).[2] 2024년 6월경 역명판이 신형으로 교체되었다.[3] 2004년 4월 19일 촬영, 소정리역 구 역사가 2004년 화재로 소실되면서 본래 시설사무소 공간으로 쓰던 건물을 임시역사 형태로 활용한 것으로 신역사 준공 후에는 역무실로 쓰고 있다. 즉, 현재 역무실 공간이 과거 시설사무소 건물이자 임시역사로 쓰인 것.[4] 정확히는 1993년에 이미 정차하는 비둘기호 및 통일호 (에드몬슨) 승차권 취급을 중지했다는 의미이며, 전산단말기는 설치되어 타역발 승차권은 발매했었고, 2004년 4월 1일 전산승차권으로 전환되면서 소정리역에서 정차했던 열차도 이곳에서 승차권 발매가 가능했다는 의미[5] 확실히 예전에 비해 깔끔한 모습을 보인다.[6] 거기다가 일본어로는 두 역의 표기(ソジョンニ)가 완전히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