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서울 방면 수 원 ← 33.5 ㎞ | 부산 방면 천 안 21.6 ㎞ → | |||
용산 방면수 원 ← 33.5 ㎞ | 목포 방면 | ||||
천 안 21.6 ㎞ → | |||||
여수엑스포 방면 | |||||
홍성 방면 천 안 21.6 ㎞ → | |||||
홍성 방면(내선) 안 중 ← 16.5 ㎞ | 홍성 방면(외선) 천 안 21.6 ㎞ → | ||||
서울 방면 수 원 ← 33.5 ㎞ | 부산·신해운대 방면 | ||||
천 안 21.6 ㎞ → | |||||
진주 방면 | |||||
용산 방면 수 원 ← 33.5 ㎞ | 목포·광주 방면 천 안 21.6 ㎞ → | ||||
용산 출발 서정리 8.5 ㎞ → | |||||
용산 방면 수 원 ← 33.5 ㎞ | 여수엑스포 방면 | ||||
천 안 21.6 ㎞ → | |||||
장항선 새마을호 | |||||
익산 방면 | |||||
서울 방면 서정리 ← 8.5 ㎞ | 경부선 무궁화호 | 부산 방면 천 안 21.6 ㎞ → | |||
서울 출발 오 산 18.5 ㎞ → | 충북선 무궁화호 | 제천 방면 천 안 21.6 ㎞ → | |||
용산 방면 오 산 ← 18.5 ㎞ | 호남선 무궁화호 | 목포·광주 방면 성 환 9.4 ㎞ → | |||
전라선 무궁화호 | 여수엑스포 방면 | ||||
천 안 21.6 ㎞ → | |||||
용산 방면 수 원 ← 33.5 ㎞ | 장항선 무궁화호 | ||||
익산 방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
광운대 방면 평택지제 ← 3.7 ㎞ | <colbgcolor=#0052a4> 1호선 (P165) | 신창 방면 성 환 9.4 ㎞ → | |||
청량리 방면 | 1호선 ''' 경부선 급행 A ''' | ||||
서정리 ← 8.5 ㎞ | |||||
1호선 ''' 경부선 급행 B ''' | 천안 방면 성 환 9.4 ㎞ → | ||||
서울 방면 |
역명 표기 | |||||
경부선 | 평택 Pyeongtaek 平澤 / 平泽 / [ruby(平沢, ruby=ピョンテク)] | ||||
평택선 | |||||
1호선 | |||||
주소 | |||||
경기도 평택시 평택로 51 (평택동 185-568)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004 | ||||
관리역 등급 | |||||
관리역[1] (2급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 |||||
운영 기관 | |||||
경부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일반열차 | ||||
경부선 | 1905년 1월 1일 | ||||
2014년 5월 12일 | |||||
2023년 9월 1일 | |||||
새마을호 | 2004년 4월 1일 | ||||
무궁화호 | 1985년 1월 10일 | ||||
평택선 | 2015년 2월 24일 | ||||
평택직결선 | |||||
2024년 11월 2일 | |||||
수도권 전철 | |||||
1호선 | 2005년 1월 20일 | }}}}}}}}} | |||
역사 구조 | |||||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4면 6선 4섬식 승강장 (횡단 불가) | |||||
철도거리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서울 방면 평택지제 ← 3.7 ㎞ | 경부선 평 택 | 부산 방면 성 환 9.4 ㎞ → | ||
신 대 2.5 ㎞ → | 평택선 평 택 | 종점 0.8 ㎞ →[2] | |||
신대 방면 (분기점) ← 2.1 ㎞[3] | 평택직결선[4] | 종점 | |||
| 평 택 (계획중) | 부발 방면 -.- ㎞ → | }}}}}}}}} |
[clearfix]
1. 개요
2대 역사(1953년 준공, 1988년 철거) | 3대 역사(1988년 준공, 2006년 철거) |
서측 | 동측 |
4대 역사 (2009년 준공) |
3.1운동과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 오인폭격 현장
평택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역사 좌우로 도로가 가설되고 넓은 역 광장이 만들어지면서 행정과 상업, 금융과 교통의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일제강점기 3.1만세운동과 주요 집회가 일어나는 한편 초등학교 연합 운동회가 개최되기도 했던 주민들 삶의 터전.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세워졌던 옛 역사는 1946년 수해에 이어 1950년 한국전쟁 유엔군의 오인폭격으로 일대와 함께 소실, 1953년 역사와 함께 광장이 철도 동쪽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1955년 역사가 복구 준공에 이어 1987년 572㎡ 규모의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단층의 옛 평택역사가 준공되었으며 시장과 유흥가, 터미널과 함께 평택의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이후 2005년 수도권 전철이 개통되면서 이듬해 임시역사로 이전, 2009년 현재의 민자 역사가 준공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과 평택선의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P165번. 경기도 평택시 평택로 51 (평택동) 소재.평택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역사 좌우로 도로가 가설되고 넓은 역 광장이 만들어지면서 행정과 상업, 금융과 교통의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일제강점기 3.1만세운동과 주요 집회가 일어나는 한편 초등학교 연합 운동회가 개최되기도 했던 주민들 삶의 터전.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세워졌던 옛 역사는 1946년 수해에 이어 1950년 한국전쟁 유엔군의 오인폭격으로 일대와 함께 소실, 1953년 역사와 함께 광장이 철도 동쪽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1955년 역사가 복구 준공에 이어 1987년 572㎡ 규모의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단층의 옛 평택역사가 준공되었으며 시장과 유흥가, 터미널과 함께 평택의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이후 2005년 수도권 전철이 개통되면서 이듬해 임시역사로 이전, 2009년 현재의 민자 역사가 준공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1호선 개찰구 |
평택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서해대교가 모티브이다. |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고, 2005년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병점역에서 천안역까지 연장되며 광역전철이 운행하게 되었다.
경기도 전체에서 수원역 다음 2번째로 일반열차 이용객이 많은 역인 만큼 무궁화호는 필수정차하고, 새마을호 등급 열차들도 상당수가 평택역에 정차한다. 다만, 수원경유 KTX는 통과한다.[6]
평택시와 이웃한 안성시는 철도가 지나지 않는 지역 중 하나이기 때문에 안성시민의 일부도 평택역을 이용하며, 평택시의 남쪽에 위치한 천안시는 시외버스 체계가 잘 정립되어 있지만, 평택시는 시외버스보다 철도에 대한 의존율이 크기 때문에 평택역의 존재 가치가 크며, 평택터미널의 이용객 수는 적은 편이다. 평택터미널은 서울이나 인천공항 등 수도권 노선들을 우선하다 보니 지방권 버스가 매우 적다.
2006년부터 민자역사 공사를 진행하여 2009년 4월 24일에 완공하였으며, 그동안 임시역사를 개설해 영업하였다. 수원역과 비슷하게 AK플라자 평택점, CGV 평택, 북스리브로, ABC마트 등이 입점해 있다. 역 내에는 뚜레쥬르,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와 푸드코트가 있다. 푸드코트 쪽에는 던킨도너츠와 CU가 있다. AK플라자 7층에는 전문식당가가 있다.
개업 당시인 구한말에는 평택 땅이 5개 군으로 쪼개져 있었고, 평택역은 경기도 진위군과 충청남도 평택군의 경계에 있었으며 그 중 진위군 소속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위역이 아닌 평택역이 된 이유는 역이 진위군 중심지인 현 진위면보다 평택군 중심지인 현 팽성읍이 더 가까웠기 때문이다. 이후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현 평택 일대가 진위군으로 통합되었다가, 군 중심지가 진위면에서 평택역 일대로 이동하며 1938년 아예 고을 이름이 평택군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이 역이 위치한 곳도 자연스럽게 평택동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초대 역사는 안성천을 통한 수운 연계를 위해 지금보다 더 안성천에 가깝게, 즉 서쪽에 위치해 있었으나 6.25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후 2대 역사부터는 동쪽에 새로 옮겨지었다고 한다.[7] 현 평택역 서쪽이 원평동으로 불리고, 동쪽이 신평동으로 불리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전철과 일반열차가 모두 정차하는 만큼 평택역 이용객에게는 타지역으로 갈 때 두 개의 선택지가 존재하는 셈이다. 보통 오산역이나 수원역으로 갈 때는 싼 전철을 이용하지만, 영등포역이나 서울역이 목적지일 때는 빠른 일반열차를 타는 경우가 많다. 평택역에서 서울역까지 1호선 급행을 타면 1시간 20분, 완행으로는 무려 1시간 40분이나 걸리지만 일반열차를 타면 50분~1시간만에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안양역까지는 완행 기준 1시간이 소요되므로 대략 안양역 이북부터 슬슬 일반열차를 타는 사람들이 생긴다.
이 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광명역과 함께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는 둘 뿐인 역이다. 반대편 승강장으로 가려면 무조건 교통카드를 한 번 더 찍고 개찰구를 다시 통과해야 하는 구조이다. 민자역사가 완공되기 전까지는 횡단이 가능했으나 완공 후 현재와 같이 변경되었다. 서울특별시의 시청역도 동일한 구조이지만 이쪽은 환승통로를 통해 횡단이 가능하다. 물론 비상게이트를 이용해 역 직원에게 반대쪽으로 간다고 말하면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
다음역인 성환역부터는 충청남도 천안시에 진입하게 된다. 이 역 이북에서 출발하면 이 역을 지난 시점으로부터 4km당 100원씩 올라간다. 원래는 천안/아산시 버스와의 환승할인도 되지 않았지만 2022년 3월 19일부로 천안시와 아산시에서 수도권 통합 요금체계와 별개로 천안형 환승할인 체계가 마련되어 수도권 1호선 전철과 천안버스 간 환승시 할인이 적용된다. 이 점은 평택역에 들어오는 천안버스와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단, 평택~신창역에서만 적용되며 버스, 1호선 승하차 처리시간 기준 45분 내로 환승해야 할인이 적용된다. 이외 역에서 승하차하거나 승하차 후 45분이 초과되면 적용이 불가하다.
이 역의 다음역인 성환역까지의 역간거리는 무려 9.4km로 1호선 전 구간에서 가장 길다. 성환역의 이용 인구 수가 적은 편이 아니라서 급행열차가 평택역과 성환역에 전부 정차하며 성환역은 드물지만 무궁화호도 정차한다.
2024년 안중역 연장 개통을 앞둔 평택선 문서에 나오듯 정장선 평택시장이 전철 운행을 주장했으며, 2024년 11월 2일에 안중역과 평택역 구간을 경유하여 홍성역으로 향하는 순환선 형태의 ITX-마음이 개통되었다.
평택부발선이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오르고 타 지자체에서 합세해서 밀고 있어서 개통 가능성이 있다.
2.1. 승강장
2016~2019년 당시 승강장 | 현재 승강장 |
평택역 역명판(상행, 평택지제역 역명 수정 전) | 일반열차 승강장 |
현재는 본선 외에도 1번, 8번 승강장(대피선)에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지제역이 평택지제역으로 변경된 후로 역명판이 사라졌다.
↑ 평택지제·서정리 | ↑ 서정리·안중 | 서정리·안중 ↓ | 평택지제·서정리 ↓ | ||||||||||||||||
│ | │ | │ | 8 | 7 | │ | 6 | 5 | │ | │ | 4 | 3 | │ | 2 | 1 | │ | │ | │ | ||
↑ 성환 | 성환 ↓ |
1·2 |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A급행·B급행 | 천안·아산·신창 방면 |
3·4 | 경부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대전·부산·신해운대 방면 |
경전선 | 동대구·마산·진주 방면 | ||
호남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서대전·광주·목포 방면 | |
전라선 | 서대전·전주·여수 방면 | ||
장항선 | [[새마을호| 새마을호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아산·홍성·익산 방면 | |
충북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청주·충주·제천 방면 | |
평택선 | 천안·아산·홍성 방면 (시계방향) | ||
5·6 | 경부선·경전선·호남선·전라선·장항선 | [[새마을호| 새마을호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수원·용산·서울 방면 |
평택선 | 안중·인주·홍성 방면 (반시계방향) | ||
7·8 |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A급행·B급행 | 서울·청량리·광운대 방면 |
또한 평택선 열차는 전동열차 본선이자 일반열차 부본선인 3번선 및 6번선에서만 승하차를 실시한다. 이유는 일반열차 본선은 평택선과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3. 역 주변 정보
예전부터 이 역 부근은 평택시 내에서 가장 큰 상권을 이루고 있었으며, 현재도 평택시 내에서 가장 번화한 곳이 이 역 부근이다. 역 자체의 수요도 2005년 1호선 연장, 2009년 민자역사 완공을 거쳐가면서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군인들, 평택 시민들과 안성 시민들이 놀러오거나, 다른 지역으로 가기 위해 한데 모이는 곳이다 보니 유동인구는 상당한 편이다.평택역 앞은 오거리로, 2009년 8월 전까지만 해도 신호등이 없던 것으로 잘 알려졌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오히려 신호등을 설치하면, 교통혼잡을 더욱 가중시키기 때문에 주변도로에 신호등을 설치하지 않은 것이라고 한다. 평택역 주변의 도로를 보면 여러 개의 교차로가 짧은 간격으로 붙어있는 형태인데, 이런 상황에서 신호등을 설치해봐야 역효과만 난다는 것이다.
2009년에 평택시가 교통체계 개선사업을 시행하면서 평택역 주변을 중심으로 신호등을 새로 설치하고, 한쪽 차로를 막아서 오거리에서 사거리로 바꾸는 등의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이 때문에 교통혼잡이 더욱 심해져서 시민들의 불만이 많다고 한다.[8] 거기에 주말에는 AK로의 유입차량까지 더해져, 혼잡도가 더욱 심해졌다. 평택 서부 쪽에 사는 시민은 동쪽의 1번 출구보다는 서쪽의 원평동 2번 출구로 가는 것이 최선이고, 평택 1150번(구 50), 평택 1502번(구 2), 평택 1522번(구 2-2), 평택 1199번(구 999)을 타고 평택지제역으로 가서 전철로 환승하는 차선책도 있다. 45번 국도는 주말에도 거의 밀리지 않지만, 38번 국도의 정체가 매우 심각하면 그 여파를 45번 국도도 받아서 똑같이 정체된다.
전철 개통과 AK플라자 평택점 개장 후, 평택을 가는 일부 시내버스마다 '평택 전철역 정차'라는 스티커를 부착하고 다니며 시내로 들어오지 않는 노선들을 제외하면 웬만한 평택 면허의 버스는 다 평택역 앞에 선다.
문제는 이로 인해 평택 동쪽의 차고지를 기점으로 삼는 대부분 평택 버스들은 평택경찰서 사거리에서 그대로 직진해서 우리은행 - 통복시장으로 가지 않고 박애병원 - 평택터미널 - 평택역 - 통복시장 방향으로 돌아서 가게 만들었다. 그나마 평택역에서 그대로 직진해 녹십자약국 앞 통복시장에서 정차하는 버스들 중 1311(구 1-1), 1502(구 2), 1150(구 50)을 포함한 버스들은 낫지만 또다시 평택역 앞 오거리에서 드리프트하고 우리은행을 경유해 통복지하차도를 지나가는 순환 122A/B(구 3번대), 1215(구 15번대), 1220(구 20), 80, 98와 같은 버스들은 심각하다. 그나마 하행은 역 바로 앞 정류장을 거친다.
1번 출구에서 정류장을 북쪽으로 잡고 북서쪽을 바라보면 바로 보이는 고속버스터미널과 5분도 걸리지 않는 거리에 시외버스터미널이 있어서 평택 동쪽의 철도가 없는 안성 주민들이 70, 370, 380등의 버스들을 통해 기차 및 전철을 이용할 때 매우 유용한 편이다. 안성에는 천안으로 향하는 안성선이 있었으나 1989년에 폐선되었다.
역에서 매우 가까운 거리에 헌혈의 집이 있었는데, 고속버스터미널 쪽으로 이전되었다. 더 넓어지면서 한 번에 더 많은 사람들이 헌혈을 할 수 있게 되었으나, 구석진 위치로 옮기면서 2층에 있게 되었고, 예전보다 이용객이 줄었다고 한다.
역에서 나오자마자 나오는 위치에서 왼편에 통칭 '쌈리'라고 불리는 사창가가 통복시장으로 통하는 터널 전까지 있다. 또한 이 동네 한가운데에는 호박나이트라는 나이트클럽도 있다. 평택 남부지역의 중심지에 사창가들이 줄줄이 있는 것도 좋은 현상은 아니고, 애경백화점이 세워진 후 백화점에서 사창가가 훤히 보이기도 하고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철거한다는 얘기가 예전부터 있었다가 2022년 4월 철거작업에 착수했다.
이 역에서 하차하는 평택대학교 재학생들이 많다. 시내버스도 자주 다니고, 셔틀버스가 운행된다.
1990년대 후반까지 카투사를 한 사람은 한 사람도 빠지지 않고 거쳐간 역이다. 캠프 잭슨으로 카투사 교육대가 이전하기 전까지는 카투사 교육대가 평택에 있는 캠프 험프리스에 위치해 있었고, 논산의 육군훈련소에서 보내진 병력은 모두 평택역에서 인수되어 캠프 험프리스로 보내졌다. 2018년 5월부터 카투사 교육대는 다시 캠프 험프리스에 위치해 있다. 이 역에는 2번 출구에 TMO도 있다. 평택에는 카투사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해군 제2함대사령부와 대한민국 공군 제7항공통신전대가 있다. 평택공군기지 안에는 7전대 이외에도 국직부대인 국군지휘통신사령부 52대대 및 공군항공안전관리단이 상주하고 있었으나 항안단은 14년에 대방동 재경대대 부지로 이전하였으며, 공군작전사령부 및 예하 부대 역시 평택에 있으나 평택역, 평택시청 쪽이 아닌 송탄지역에 있으며, 흔히 오산 공군기지라고 부른다. 그래서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공군, 주한미군을 모두 볼 수 있다. 대한민국 육군은 거의 지역방위사단인 제51보병사단 소속 아니면 대한민국 공군부대에 파입된 육군항공작전사령부 혹은 국통사 52대대 소속이고 대한민국 해병대 대원들은 2함대에 근무하는 해병들이다. 대원들 외에 장교들도 2함대에 근무하기 때문에 해병대 군복도 흔하게 보인다.
이로 인해 평택역과 역 주변 상권에서 주 외박 일인 금요일, 주말 오전 8시~9시 그리고 그외 오전시간 및 주중 오후 6시~8시 시간대에는 각군의 제복을 입은 장병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미군기지가 많이 있기 때문에 외국인들도 많이 보인다. 평택 근처의 웬만한 시가지에는 외국인을 흔하게 볼 수 있지만 평택역 부근은 이 중에서도 제일 많이 볼 수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bgcolor=#0052a4> 비고 ||
2005년 | 17,443명 | [9] |
2006년 | 19,239명 | |
2007년 | 19,934명 | |
2008년 | 21,915명 | |
2009년 | 23,990명 | |
2010년 | 24,467명 | |
2011년 | 26,440명 | |
2012년 | 27,187명 | |
2013년 | 28,024명 | |
2014년 | 29,383명 | |
2015년 | 28,675명 | |
2016년 | 28,896명 | |
2017년 | 29,174명 | |
2018년 | 28,840명 | |
2019년 | 28,760명 | |
2020년 | 19,712명 | |
2021년 | 21,437명 | |
2022년 | 25,267명 | |
2023년 | 27,834명 | |
2024년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평택시의 원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역인 만큼 병점역 이남의 다소 넓은 배차 간격에도 불구하고 2만 명대 중후반이라는 수요를 보이는 역이며 평택터미널에서 철도가 없는 안성 지역의 환승객들이 몰리는 등 병점역 이남의 역들 중에서는 수요가 가장 많다. 또한 서울교통공사 소속 열차가 들어오지 않는 1호선 역[10]들 중 유일하게 연 이용객이 1000만명을 넘는다.
4.2. 일반철도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새마을호|
[[새마을호|
새마을호
]] || [[무궁화호|무궁화호
]] ||<bgcolor=#c30e2f> 총합 ||<bgcolor=#c30e2f> 비고 ||2004년 | 618명 | 12,002명 | 12,620명 | |
2005년 | 468명 | 7,501명 | 7,969명 | |
2006년 | 487명 | 7,588명 | 8,075명 | |
2007년 | 587명 | 7,682명 | 8,269명 | |
2008년 | 812명 | 7,985명 | 8,797명 | |
2009년 | 967명 | 8,337명 | 9,304명 | |
2010년 | 1,081명 | 9,465명 | 10,546명 | |
2011년 | 1,133명 | 10,842명 | 11,975명 | |
2012년 | 1,108명 | 11,252명 | 12,360명 | |
2013년 | 1,208명 | 12,033명 | 13,241명 | |
2014년 | 1,325명 | 12,227명 | 13,552명 | |
2015년 | 1,258명 | 11,666명 | 12,924명 | |
2016년 | 1,272명 | 11,928명 | 13,200명 | |
2017년 | 1,545명 | 11,228명 | 12,773명 | |
2018년 | 1,691명 | 11,802명 | 13,493명 | |
2019년 | 1,927명 | 12,967명 | 14,894명 | |
2020년 | 1,255명 | 8,150명 | 9,405명 | |
2021년 | 1,357명 | 8,078명 | 9,435명 | |
2022년 | 1,958명 | 9,351명 | 11,309명 | |
2023년 | 3,055명 | 8,642명 | 11,697명 | |
2024년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 2023년 기준 고속열차(KTX, SRT)가 정차하지 않는 역 중에서 승하차량 2위를 기록하고 있다.
5. 연계 교통
평택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09da5><colcolor=#ffffff> 철도 | <colbgcolor=#009da5><colcolor=#ffffff> 고속 철도 | 평택지제역 | |||
일반 철도 | 경부선 | 평택역, 서정리역 | ||||
서해선 평택선 | 안중역 | |||||
도시 철도 | 평택역, 평택지제역, 서정리역, 송탄역, 진위역 | |||||
도로 | 고속 도로 | 경부선, 서해안선, 평택제천선, 평택파주선 · 익산평택선, 평택시흥선 | ||||
국도 | 1번 국도, 38번 국도, 39번 국도, 43번 국도, 45번 국도, 77번 국도, 82번 국도 | |||||
버스 | 시내 버스 | 평택시 버스 목록 | ||||
시외 버스 | 평택공용버스터미널, 송탄시외버스터미널, 안중버스터미널 | |||||
시외버스 노선 | ||||||
항만 | 평택·당진항 | |||||
경기도의 교통 |
5.1. 버스
평택역이 아닌 안성 70번, 370번, 380번 등 평택터미널에만 정차하는 버스는 평택터미널 항목을 보자. 평택역.AKPLAZA(제1승강장)(15699·48453)[11] 평택터미널 방면 | |
평택시 | |
좌석 | [[평택 버스 8000| 8000 ]] |
일반시내 | [[평택 버스 80| 80 ]] [[평택 버스 80-1|80-1 ]] [[평택 버스 91|91 ]] [[평택 버스 98|98 ]] [[평택 버스 98-1|98-1 ]] [[평택 버스 310-1|310-1 ]] [[평택 버스 320|320 ]] [[평택 버스 320-1|320-1 ]] [[평택 버스 1154|1154 ]] [[평택 버스 1199|1199 ]] [[평택 버스 1215|1215 ]] [[평택 버스 1220|1220 ]] [[평택 버스 1311|1311 ]] [[평택 버스 1353|1353 ]] [[평택 버스 1361|1361 ]] [[평택 버스 1451|1451 ]] [[평택 버스 1502|1502 ]] [[평택 버스 1522|1522 ]] [[평택 버스 순환111B|순환111B ]] |
마을 | [[평택 버스 7| 7 ]] [[평택 버스 10|10 ]] |
아산시 | |
간선 | [[아산 버스 500| 500 ]] [[아산 버스 501|501 ]] [[아산 버스 510|510 ]] [[아산 버스 512|512 ]] [[아산 버스 520|520 ]] [[아산 버스 521|521 ]] [[아산 버스 530|530 ]] [[아산 버스 531|531 ]] |
천안시 | |
시내 | [[천안 버스 132| 132 ]] |
평택역.AKPLAZA(제2승강장)(48453) 평택터미널 방면 | |
일반시내 | [[평택 버스 1150| 1150 ]] [[평택 버스 1731|1731 ]] [[평택 버스 순환121|순환121 ]] [[평택 버스 순환122|순환122A ]] [[평택 버스 순환122|순환122B ]] [[평택 버스 순환123|순환123A ]] [[평택 버스 순환123|순환123B ]] |
평택역.AKPLAZA(15709) 평택터미널 방면 | |
일반시내 | [[평택 버스 1108| 1108 ]] [[평택 버스 1371|1371 ]] [[평택 버스 1372|1372 ]] [[평택 버스 1409|1409 ]] |
마을 | [[평택 버스 7| 7 ]] |
평택역.AKPLAZA(15698) 통복시장로터리 방면 | |
전환시외 | [[시외버스 서울경부-평택·안중| 서울경부-평택·안중 ]] |
좌석 | [[평택 버스 8000| 8000 ]] |
일반시내 | [[평택 버스 1150| 1150 ]] [[평택 버스 1183|1183 ]] [[평택 버스 1199|1199 ]] [[평택 버스 1311|1311 ]] [[평택 버스 1361|1361 ]] [[평택 버스 1451|1451 ]] [[평택 버스 1502|1502 ]] [[평택 버스 1522|1522 ]] [[평택 버스 순환111|순환111A ]] |
마을 | [[평택 버스 7| 7 ]] |
평택역.AKPLAZA(15708) 우리은행 방면 | |
평택시 | |
일반시내 | [[평택 버스 80| 80 ]] [[평택 버스 80-1|80-1 ]] [[평택 버스 91|91 ]] [[평택 버스 98|98 ]] [[평택 버스 98-1|98-1 ]] [[평택 버스 310-1|310-1 ]] [[평택 버스 320|320 ]] [[평택 버스 320-1|320-1 ]] [[평택 버스 1108|1108 ]] [[평택 버스 1154|1154 ]] [[평택 버스 1215|1215 ]] [[평택 버스 1220|1220 ]] [[평택 버스 1353|1353 ]] [[평택 버스 1371|1371 ]] [[평택 버스 1451|1451 ]] [[평택 버스 1372|1372 ]] [[평택 버스 1409|1409 ]] [[평택 버스 1731|1731 ]] [[평택 버스 순환121|순환121 ]] [[평택 버스 순환122|순환122A ]] [[평택 버스 순환122|순환122B ]] [[평택 버스 순환123|순환123A ]] [[평택 버스 순환123|순환123B ]] |
마을 | [[평택 버스 7| 7 ]] [[평택 버스 10|10 ]] |
아산시 | |
간선 | [[아산 버스 500| 500 ]] [[아산 버스 501|501 ]] [[아산 버스 510|510 ]] [[아산 버스 512|512 ]] [[아산 버스 520|520 ]] [[아산 버스 521|521 ]] [[아산 버스 530|530 ]] [[아산 버스 531|531 ]] |
평택역(30)[12] 평택역.AKPLAZA 방면 | |
천안시 | |
시내 | [[천안 버스 130| 130 ]] |
6.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daa> 경원선 | 연천 - 전곡 - 청산 -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제기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각 - 시청 - | |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 |
경부선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평택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 |
천안직결선 | 두정 - | |
장항선 | 천안 - 봉명 - 쌍용(나사렛대) - 아산 - 탕정 - 배방 - 온양온천 - | |
병점기지선 | 병점 - | |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금천구청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경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정리† - - 전동† - 서창† - - 내판† - - 매포† - - 회덕† - - - - 세천† - - - - - - - - - - - - 신암† - 직지사† - - 대신† - 아포† - - - - - - 연화† - - 지천† - - - - 고모† - 가천† - - 삼성† - - - 신거† - - - - 미전† - - - - - - - 부산진† - - - | }}}}}}}}} |
평택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창내† - 신대† - †:여객영업 안함 | }}}}}}}}} |
[1] 서화성역, 향남역(KN), 화성시청역(KN), 오산대역(KN), 오산역, 진위역(KN), 송탄역(KN), 서정리역, 평택지제역(KN), 안중역, 평택역을 관할한다.[2] 경부선 하행 직결[3] 경부선 상행 진입[4] 경부선 서울역 기점 74.730km 지점[5] 원래는 경기도 최남단 역이자 경기도 최남단 수도권 전철역이었지만, 2024년 11월 2일 안중역이 개통되면서 경기도 최남단 역 타이틀은 안중역이 가져가게 되었다.[6] 평택역뿐만 아니라 장항선이 분기하는 천안역, 충북선이 분기하는 조치원역도 통과하여 대전역으로 직행한다. 수원~대전 구간만큼은 대전 직행 KTX인 셈이다.[7] 「평택역, 근대 도시를 열다」, 평택시민신문, 2009-03-25[8] 「평택 교통개선 사업 되레 혼잡만 가중」, 경기신문, 2009-07-21[9] 개통일인 1월 20일부터 12월 31일까지 34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0] 연천↔덕계, 세마↔신창, 광명[11] 경기 15699 / 아산, 천안 48453[12] 천안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