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8:19:23

동대구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 역과 연계되는 환승센터에 대한 내용은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동대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da5>
경부선파일:KTX BI_middle White.png
(구포 경유)
경 산
12.3 ㎞ →
경부선파일:KTX BI_middle White.png
(서대구 경유)
경부선파일:KTX BI_middle White.png
(서대구·구포 경유)
밀 양
55.3 ㎞ →
경전선파일:KTX BI_middle White.png
(서대구 경유)
동해선파일:KTX BI_middle White.png
(서대구 경유)
경부선파일:SRT BI_White.svg
(서대구 경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종착
하 양
20.7 ㎞ →
부산·신해운대 방면
경 산
12.3 ㎞ →
경 산
12.3 ㎞ →
시종착
하 양
20.7 ㎞ →
하 양
20.7 ㎞ →
태화강·포항 방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대구권 전철 노선 보기
동대구역(역)
파일:Daegu1.svg 파일:Daegu4.svg
수성구민운동장 방면
E03정거장
← 1.0 ㎞
4호선
추진 중
E10정거장 방면
E05정거장
0.6 ㎞ →
동대구역
파일:대경선 아이콘.svg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경선
(K118)
건설 중
시종착
대구산업선
추진 중
}}}}}} ||
역명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동대구
Dongdaegu
東大邱 / 东大邱 / [ruby(東大邱, ruby=トンデグ)]
경부고속선
대경선
1호선 동대구역
Dongdaegu Station
東大邱驛 / 东大邱站 / [ruby(東大邱, ruby=トンデグ)]駅
}}}}}}}}}
주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경부고속선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550 (신암동 294)
1호선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지하530 (신천동)[1] }}}}}}}}}
관리역 등급 / 관리역 및 고객센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경부고속선
관리역 / 1급[2]
(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
1호선
동대구관리역 / 1고객센터 }}}}}}}}}
운영 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한국철도공사[3]
경부고속선
1호선 대구교통공사 }}}}}}}}}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반 철도
경부선 1969년 6월 10일
경부고속선 2015년 8월 1일[4]
파일:KTX BI_White, Red.svg 2004년 4월 1일
파일:Untitled-1.png 2016년 12월 9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파일:누리로 백색 로고.png 2022년 11월 5일[5]
대구선 1969년 6월 10일~
2005년 10월 31일[6]
대구권 전철
1호선 1998년 5월 2일
대경선 2024년 12월 14일 예정
대구산업선 2028년 예정
4호선 2030년 예정 }}}}}}}}}
역사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경부고속선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1호선
지하 3층(심도 20.1m) }}}}}}}}}
승강장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경부고속선
7면 14선 혼합형 승강장(횡단 불가)
1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철도거리표
경부선
동대구
경부고속선
동대구
1. 개요2. 역 정보
2.1. 경부선 역사
2.1.1. 열차 운행 정보
2.2. 도시철도
2.2.1. 남측 출구 신설 추진2.2.2. 추가 환승역 추진
3. 일평균 이용객
3.1. 경부선3.2. 도시철도
4. 승강장5. 주변 교통
5.1. 시내버스
5.1.1. 동대구역(BRT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5.1.2.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정류장5.1.3. 동대구버스터미널 승차장(청도 농어촌)5.1.4. 동대구역 북측 정류장5.1.5. DRT
5.2. 박정희 광장 (동대구역 광장)5.3.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5.4.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단지 셔틀버스
6. 기타7. 사건 사고8. 대중매체에서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DSC_1636.jpg
현 역사 (1969년 개업, 1971년 준공)[7]
파일:DSC_1639.jpg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nopad> 파일:동대구역 스탬프.jpg
동대구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팔공산에 있는 갓바위를 형상화했으며,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이다. 현재 주입식 스탬프로 바뀌며 글씨체가 약간 달라졌다.
동대구역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1969년 6월 보통역으로 개업하였다. 2004년에 이르러 KTX운행이 시작되었으며 경부고속철도 2단계 공사와 더불어 증축공사를 진행, 복합환승센터가 완공되면서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도심에 위치하여 확장이 어려운 대구역을 대신하여 탄생하였지만, 오늘날에는 그 이용객이 대한민국의 두 번째로 서울역 다음이다. 명실공히 대구광역시 대표철도역이자 대한민국 교통의 요충지인 것이다.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는 2010년 국가시범사업으로 선정되었으며 동대구역과 백화점을 연결하는 부지 3만6천㎡, 지하7층, 지상 9층의 거대 규모를 자랑한다.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의 개장으로 늘어나는 교통량을 위해 왕복 6차로였던 동대구로가 10차로로 확장되었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1호선의 신천역~방촌역 구간을 관할하는 관리역이며, 2022년 10월 부터 부역명 신세계백화점이 삭제되었다.

2. 역 정보

2.1. 경부선 역사

파일:동대구역 배경 제거 버전.jpg
과거 모습[8] 해설 영상

대구 동부 지역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대구역의 여러 철도 시설들을 이전하여 1969년 6월 10일 개업하였다.

흔히 대구역의 부지 규모가 너무 협소해 늘어나는 철도 수송량을 감당할 수 없어 당시만 해도 미개발지였던 동쪽 외곽 지역에 대구역을 대체할 역을 새로 지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이 역을 만들고 대구시의 새로운 관문역으로 삼기 위해 일부러 대구역의 크기를 축소한 것에 가깝다.[9]

실제로 동대구역 개업 후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 당시 기준 최상위 등급 열차들은 전부 이 역에만 정차했고, 기존 대구역은 비둘기호와 몇몇 통일호만 정차하는 역으로 전락해 버렸다.[10]

그래도 KTX 개통 전에는 대구역이 대구 도심인 동성로와 가깝다는 이점이 있어 이 역과의 이용객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았지만, 2004년 고속철도 시대가 열린 후에는 이 역으로 이용객이 쏠리게 되면서 이 역이 대구광역시의 관문역이자 중앙역으로 완전히 자리잡게 되었다.

보통 서울이나 부산 등에서 동성로를 방문할 일이 있을 경우에도 느린 일반열차를 타기보다 KTX를 타고 이 역에서 내려 1호선으로 환승해 지하 대구역이나 중앙로역 등에서 하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004년 경부고속철도 개통을 맞아 남쪽에 새 역사를 짓고 기존 역사와 통합해 역사 규모를 키웠다. 이 때 기존 역사 쪽도 외관을 리모델링했기에 겉으로는 그냥 하나의 역 같이 보이지만, 안으로 들어가 보면 구역사와 신역사가 확연하게 구분이 된다. 식당가 위쪽으로 유리 창문이 있는 곳이 신역사, 꽉 막혀 있는 곳이 구역사.

원래 대구선의 기점은 대구역이었는데, 이 역이 개통하면서 기점이 이 역으로 변경되어 경부선 위쪽으로 붙어 있던 대구선의 대구~동대구 구간이 폐선되었다.

그러나 2005년 11월 대구선이 시내 구간을 피하도록 한 번 더 이설되고 기점이 가천역으로 변경되었다. 동시에 이 역의 화물 취급 기능도 가천역으로 대부분 이전하게 되어 2009년 공식적으로 화물취급이 중단되었다.

그래서 현재는 화물열차가 여객열차 대피 및 승무 교대를 위해 이 역에 잠시 정차하긴 하지만 화물 취급은 하지 않는다.

비록 대구선이 이설되어 더 이상 기점이 아니게 되었지만 가천역은 화물 전용역이고 고모역에도 더 이상 열차가 정차하지 않아 여전히 대구선 여객열차의 실질적인 기점은 이 역이다. 대구선을 경유하는 모든 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철로 위에 세워진 선상 역사이지만 역사의 3면이 고가도로로 둘러싸여 있고, 메인 출구격인 3번 출구도 고가도로와 이어져 있기 때문에 이 역에 처음 방문한다면 마치 선상 역사가 아닌 지하철역처럼 느껴질 것이다.

서쪽의 3,4번 출구와 동쪽의 1,6번 출구는 고가도로와 이어져 있고, 남쪽의 2번 출구는 신세계백화점/동대구터미널과 이어져 있지만 북쪽의 5번 출구만이 고가도로가 아닌 일반도로와 연결되어 있어 5번 출구 쪽으로 가면 이 역이 선상 역사라는 것을 확실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2.1.1. 열차 운행 정보

파일:동대구역전광판.jpg
동대구역 전광판의 모습

동대구역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열차가 정차하며, 서울역에 이어 2번째로 승하차객이 많은 역이다. 경부고속선, 경부선, 대구선 경유 동해선/영동선, 경전선, 충북선 등 다양한 계통의 열차가 정차하며, 당 역을 경유하는 모든 여객열차가 필수 정차하기 때문에 위 사진처럼 출발안내 전광판이 승차준비로 도배되는 것은 예사다. 특히 서울행 열차는 대구 시내 지하철의 배차보다 더 많다. 사실상 제주국제공항의 철도 버젼이라고 보면된다.

경전선 무궁화호와 모든 대구선 경유 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하며, 경부선 누리로와 일부 무궁화호도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늦은 밤에는 경부선 ITX-새마을 1편성과 경부고속선 KTX 1편성이 이 역에서 종착하며 다음날 새벽에 서울로 출발한다. 그 외에도 하루 2회 운행하는 근성열차충북종단열차가 시종착하는 등 당역 착발/종착 열차가 은근 많다.

이 역에서는 경상도(영남)의 웬만한 지역을 다 갈 수 있다. 시 단위 지역만 적자면 경부선으로 김천, 구미, 경산, 밀양, 양산, 경부고속선 또는 동해선으로 경주, 울산, 부산, 경전선으로 김해, 창원, 진주, 대구선으로 영천포항, 영동선으로 안동, 영주, 봉화로 갈 수 있다. 경상도에서는 상주문경경북선 권역을 빼면 전부 다 갈 수 있는 셈.[11]

이 역에서 KTX-산천SRT의 중련열차 분리(하행)/결합(상행)이 이루어진다. 경부선-경전선, 경부선-동해선, 경전선-동해선 등의 조합이 있으며, 가끔 경부선 2대가 붙어다니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분리 없이 쭉 부산까지 간다. 역시 중련 운행하는 ITX-마음은 분리/결합을 시행하는 호남선 쪽과 달리 경부선 쪽에서는 모든 열차가 서울~부산만을 운행하기 때문에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복합열차를 탈 때에는 자신이 탈 열차가 북쪽(1~8호차)인지 남쪽(11~18호차)인지 반드시 확인하고 탑승해야 엉뚱한 곳에 떨어지는 불상사를 막을 수가 있다.

2022년 11월부터 누리로의 허브역이 되었다. 강릉~동해영동선 셔틀열차를 제외한 모든 누리로가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2024년 12월부터 대경선 운행을 개시한다.

====# 미래 #====
2024년 12월 20일, 의성 - 북영천중앙선 복선전철화가 완료된다면 중앙선 KTX-이음 일부 편성이 대구선을 거쳐 동대구역까지 들어올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KTX-이음 최고시속이 250km 전후이고, 영천시를 거쳐 상당히 돌아가는 선형이라서 전 구간 완주는 경부고속선 대비 경쟁력이 별로 없지만 경북 북부와 충북 일부 지역, 원주와 대구 사이의 중단거리 수요를 상당수 가져올 수 있으며,[12] 동절기에는 서원주역에서 갈아타 강릉선을 이용하려는 관광 수요도 챙길 수 있다. 표를 구하기 힘든 명절 등 성수기에는 서울 방면 이동을 위해서도 충분히 매력적인 대안이다. 대구경북선이 개통한다면 이 대구선 경유 KTX-이음은 일반열차로 대체할 가능성이 높으며 대신 대구경북선을 경유하게 될 것이다.

2024년 12월 31일 포항-동해동해선 복선전철화가 완료된다면 동해선 KTX-이음도 일부 편성이 포항역을 거쳐 동대구역에 들어올 가능성이 크다. 개통되면 기존 6시간이 넘게 걸리던 무궁화호와 대비하여 2시간대로 빠르게 갈 수 있게 되고, 영덕, 울진, 삼척, 동해, 정동진, 그리고 강릉으로 한번에 KTX를 타고 갈 수 있게 된다. 다만 부전으로 가는 계통도 있고 단선전철이기 때문에 얼마나 많은 편성이 갈 수 있을지는 아직 모른다. 또한 동해선 ITX-마음도 운행을 할 예정이다.

이렇게 중앙선동해중부선과의 KTX-이음을 통한 연계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경부축선상 지역 이외 지역과 대구간의 교통에 있어서도 철도의 경쟁력이 매우 크게 상승할 것이다.

2027년 완공 목표였지만 아무래도 2030년이 유력해 보이며 달빛고속철도도 계획중이다. 이 노선의 종점은 서대구역이지만, 개통한다면 실제 열차는 동대구역까지 들어올 가능성이 매우 높다.[13]

KDI 한국개발연구원이 2023년 2월 기획재정부에 제출한 안에 따르면 수서~김천~동대구KTX-이음 열차(중부내륙선 경유)를 2030년 왕복 7회씩 운행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되면 중앙선이 커버하지 못하는 경북 서부(경북선 연선 지역 중 김천 ~ 점촌 구간)와 괴산, 충주[14], 이천경기광주도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이 경로를 통해 종점인 서울(수서역)로 가는 수요는 낮을 가능성이 높은데, 지금도 1시간 40분에 꽂아주는 SRT가 잘 다니는 현재로서는 중간 정차역을 보고 탑승하거나 주말이나 연휴 기간 좌석공급이 부족할 때나 대체경로로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15]

아직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정식으로 반영되지는 않았지만, 영남권 광역급행철도인 MTX대구선과 이어지는 영천안강선, 대구산업선과 직결될 예정인 창원산업선 등이 개통하게 된다면 동대구역에서 더욱더 다양한 행선지로 가는 열차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경부고속선 대구 도심 구간을 건설할 때, 경부선 지하화 논의도 했으나, 여러가지 난제[16]가 겹쳐서 결국 지상화를 유지하고 철로변을 정비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2020년대 들어 대구광역시에서는 서대구역 동측 구간부터 고모역까지 경부선 대구 도심 구간의 지하화를 다시 추진 중이다.# 지하화 후 기존 경부선 상부 및 주변 지역은 대구월드클래스 도심으로 (재)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동대구역도 지하화 구간에 포함되어 지하화될 예정이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선로 하부를 통과할 예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문제들로 인하여 지하화가 쉽게 이루어질지는 미지수이다.

그 외 동대구-창원 고속철도도 창원시가 추진 중이라 구포경유 및 경전선 KTX가 빨라질 여지가 있다.

2.2. 도시철도

파일:동대구역 1호선.jpg
대합실
곡선형 상대식 승강장이며, 역명은 당연히 바로 옆의 경부선/경부고속선 동대구역에서 따 왔다.

경부선 대구역과 1호선 대구역의 경우, 지하에 연결 통로가 있고 엘리베이터로도 이동 가능하다. 경부선 대구역 화장실을 정면으로 볼 때 기준으로 좌측 구석에 엘리베이터가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한국철도공사 관할의 지하 출구(주차장 옆에 있는 북부역 출구) 쪽으로 연결된다. 반면 동대구역의 경우 전철역과 철도역사가 좀 떨어져 있다. 경부선 선로를 가로질러야 전철역이 나오기 때문에 경부선 동대구역이 신암4동에 소재하는 반면, 지하철 동대구역은 경부선 철로 건너편의 신천4동에 있기 때문에 1호선 전철에서 내려서 동대구역으로 가려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분수대를 지나 동대구역 입구로 들어가야 했다.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그래도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개장 이후에는 동대구역 광장 쪽으로 폴사인이 보이기 때문에 지하철 대구역보다 더 찾기 쉬우며, 일반철도 동대구역 2번 출구에서 나와 동대구터미널에서 지하철 연결 통로를 이용하면 어렵지 않다.

이 역은 동구청역에서 신암남로를 쭉 따라오다가 동부로 쪽으로 가는 왼쪽으로 꺾는 곳의 시작점에 위치하고 있어서, 승강장이 곡선으로 많이 휘어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역들 중에서 서부정류장역 다음으로 곡선의 각도가 심한 역이다. 다른 역보다 단차가 1.5배나 넓다. 발빠짐 안내방송도 설화명곡 방면, 안심 방면 모두 방송된다.

예전에는 4번 출구로 나오면 금호/천일 터미널과 외부에서 직통으로 연계되었지만, 금호/천일 터미널과 연결 통로는 2014년 초 복합환승센터 공사로 철거됐다.

이 역의 깊이는 심도 20.4m로 다른 1호선 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깊은 편인데, 이는 경부선 선로를 지하로 넘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아는 사람들은 전부 다 지상 ↔ 승강장 사이를 직통으로 연결해 주는, 즉 바로타가 가능한 엘리베이터를 이용한다. 여객 수요는 주변의 경부선 동대구역, 동대구터미널로 인해 1호선 역 가운데 중앙로역의 뒤를 이어 2위. 이 역을 기점으로 안심 방면의 역들은 고도제한 등의 이유로 인구가 비교적 적어서, 아양교역안심역을 빼곤 승객 수가 적다.

출구가 4개 모두 한쪽 구석에 있었는데, 옛 한진/중앙/동양터미널 쪽으로는 출구가 없었다. 이 때문에 지하철 동대구역 건너편에 있는 옛 고속터미널(한진/중앙/동양터미널)을 이용하려면 출구에서 나와 길을 건너야 했다.

한때 대구 지하철 참사 직후 같은 해 10월 21일에 중앙로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방식으로 다른 역들의 영업을 재개할 때까지 임시로 시종착역이 된 흑역사가 있었다. 교대역 ↔ 동대구역 구간은 이 구간을 가는 탑승객에게 임시 통행권을 배부하여 전세버스 혹은 시내버스 예비차로 나르곤 했다. 그러나 당시 대구 지하철 참사트라우마에 빠져 있었던 시민들은 폐쇄된 6개 구간을 가기 위해서 불편함을 감수해 가며 지하철을 타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용객 수는 결국 바닥을 쳤다. 지금도 2003년 지하철 화재 참사의 트라우마 때문에, 사고 당사자가 아니어도 전철을 아예 기피하는 대구 시민들이 간혹 있다. 이 역에는 건넘선이 없고, 건넘선이 설치되어 있는 큰고개역에서 선로를 돌려서 운행했다. 당시 셔틀버스는 시내버스 승강장이 아닌, 옛 금호/천일 터미널 옆의 인도상에서 대기했다가 다시 출발했다. 이쪽으로 들어가기 위해 고속버스들이 드나드는 고속터미널 뒷길인 신천4동우체국으로 돌려서 금호/천일 터미널로 들어왔다.

지하 1층 대합실 양쪽 끝에 지하 2층으로 향하는 계단이 있지만, 거의 쓰이지 않는다. 지하 2층은 아마 장래의 환승을 대비해서 만들었다가 버려진 공간으로 보인다[17]. 지금은 그 공간 일부에 셀프 스토리지 공간이 들어섰고, 일부는 역 내 다이소의 점포로 사용되고 있으며 나머지 공간은 다이소의 물류창고로 쓰이고 있다. 유사한 사례로 범어역두류역이 있다. 범어역의 경우 범어네거리 서편에만 출입구를 건설해 놓았다가 지하상가를 지으며 동쪽으로 확장했고, 두류역의 경우 순환선과의 환승을 대비해서 지하상가 등을 건설하여 역 규모가 크다. 반월당역, 중앙로역과 함께 2009년 6월 스크린도어가 설치됐다.

지하철 대구역처럼 승강장과 지상으로 직결되는, 일명 바로타가 가능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역이다. 바로타용 엘리베이터는 옛 고속터미널 정면으로 바라보는 엘리베이터가 안심방면, 동대구역네거리 쪽에 있는 엘리베이터가 설화명곡방면 바로타용 엘리베이터다. 하지만 복합환승센터 공사로 몇몇 엘리베이터들이 철거 및 이설/임시가설이 되면서 굉장히 중구난방이 된 상태였다가, 설화명곡방면 바로타가 막혔고 한때 안심방면 바로타만 이설해서 가동했다. 승강장이 상대형이기 때문에 대구역처럼 방향별로 엘리베이터 출구가 다르다. 2016년 중에도 또 한 번의 대격변으로 임시 연결 통로와 출구가 직결된 상태며, 먼저 신축이 완료된 3번 출구가 우선 개방됐다. 복합환승센터 개장 후에는 대구신세계/동대구터미널 연결 통로 쪽에 2번 출구가 신축됐다. 대구신세계가 오픈하고 얼마 후에는 동대구로 아래쪽에 신설한 구름다리 옆에 1번 출구의 신축이 완료됐고, 설화명곡방면 바로타 엘리베이터가 재개방됐다. 4번 출구는 완전히 말소됐으며, 4번 출구의 폐지로 잉여가 된 폴사인은 동대구로에서 보이는 3번 출구의 동대구역 광장 쪽으로 이전하여 설치했다.

이 역은 반대 방향으로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다.

복합환승센터 및 신세계백화점 완공 이후에는 지하 1층이 지하상가로 조성되었으며 경부선 동대구역, 버스터미널 및 신세계백화점으로 가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외지인이 어디론가 가고자 할 때 가장 처음 보게되는 장소이므로 역 자체가 약 25년 정도로 어느 정도 오래되었지만 일부분은 리모델링을 거쳤으며 신축역사 못지 않게 깨끗하게 관리가 잘 되고 있는 중이다. 전구를 사용한 두꺼운 구형 표시판에 신형 디자인만 갈아끼운 다른 역들과는 달리 동대구역에는 모두 신형 디자인의 LED 슬림 표지판으로 통째로 교체되어 있는 상태다. 역사 내에 냉방시설도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역사 느낌이 다른 역사에 비해 상당히 쾌적하다. 출구 안내도 매우 알기 쉽게 표현해 두었다.

거대한 동대구역 지하를 관통하는 구간이라 1호선 건설 당시 난공사 구간 중 하나였다.

1998년 5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단계 구간(대구역 ~ 안심) 개통 당시 개통식이 이 역에서 열렸다.

이 역은 터미널과 기차역, 신세계백화점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물론, 타지에서 대구를 관광할 때 많이 이용하므로 이용객들이 많다. 대구 1호선 혼잡도는 반월당역, 명덕역, 중앙로역, 동대구역에서 많이 갈린다.

2.2.1. 남측 출구 신설 추진

출입구가 KTX역인 동대구역과 대구신세계 방향으로만 몰려있고 업무, 주거지역 방향으로는 출입구가 존재하지 않아 일대의 이용객들의 이용에 불편함이 있다. 경부선 상의 다른 KTX역과 연계되는 서울역, 대전역[18], 부산역은 대로 양 옆에 출입구가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며[19], 이 일대는 다른 기차역들에 비해 주변에 아파트 건설 및 개발이 많은 점은 보면 더욱 이질적이다. 현재의 출입구는 사실상 동대구역/동대구터미널 환승 및 신세계백화점을 가기 위한 목적으로 되어있는 모양새로, 해당 목적이 아닌 사람이 찾아갈 때 도보 이용 및 버스 환승이 매우 불편한 위치이다. 같은 대구의 철도역과 연계된 도시철도역인 도시철도 대구역은 개통 당시에는 접근성이 매우 나빴으나 민자역사 완공과 함께 롯데백화점 대구점, 대구역 지하상가 연결 통로가 생기며 동성로 방면으로의 접근성이 대폭 개선된 것과 대조적이다.도시철 동대구역 출입구 3곳 광장 방면만 있어 통행 불편

이로 인해 대구광역시청에서 민자 개발 사업과 연계한 출입구가 2025년 8월 말을 목표로 1개소 신설 될 예정이다. 2024년 6월 기준 공문이 떴으며, 남측 버스터미널 후적지 아파트 앞에 신설된다. 대각선 건너편은 멀고 민자사업도 큰게 없어 진전이 없지만 횡단보도를 1번 덜 건너면 되니 그나마 위안거리.

2.2.2. 추가 환승역 추진

이 역을 경유하는 대구 도시철도 4호선이 계획되어 있는데#, 이후 마침내 2020년 12월 29일 노선 변경안이 최종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되어 착공을 앞두고 있다. 2024년 12월 대경선과 2028년 대구산업선, 2030년(예정) 4호선이 개통하면 동대구역은 4개 노선 환승역이 된다.

초기안에서는 역사가 동대구역네거리 남편에 세워지며 간접환승으로 계획됐었다. 이후 2023년 2월 7일 발표된 전략환경영향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역사 위치가 네거리 북쪽으로 옮겨졌고, 환승통로가 설치된다. 지상 2층 상대식 승강장으로 설치되며 외부출입구 3개소 및 엘리베이터 3개소가 역사 사방으로 균등하게 설치되며 환승편의를 위해 환승통로 1개소와 환승엘리베이터 1개소도 설치된다.

3. 일평균 이용객

3.1. 경부선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da5><bgcolor=#003da5> 연도 || 파일:KTX BI.svg || 파일:SRT BI.svg ||
파일:ITX-새마을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003da5> 총합 ||<bgcolor=#003da5> 비고 ||
2004년 23,900명 미개통 5,651명 12,694명 42,245명 [20]
2005년 29,311명 3,547명 12,759명 45,617명
2006년 32,456명 2,985명 11,935명 47,376명
2007년 32,438명 2,770명 11,369명 46,577명
2008년 32,190명 3,305명 11,565명 47,060명
2009년 31,640명 3,645명 10,968명 46,253명
2010년 32,629명 3,335명 11,497명 47,461명
2011년 28,082명 3,044명 12,672명 43,798명
2012년 28,007명 2,704명 13,491명 44,202명
2013년 28,221명 1,746명 14,960명 44,927명
2014년 28,571명 1,933명 15,191명 45,695명
2015년 35,711명 1,929명 14,760명 52,400명
2016년 36,652명 10,313명 2,018명 14,356명 63,339명 [21]
2017년 32,246명 12,497명 2,591명 15,272명 62,606명
2018년 33,166명 13,896명 2,569명 15,694명 65,325명
2019년 34,791명 14,302명 2,882명 15,394명 67,369명
2020년 19,670명 9,521명 1,659명 9,133명 39,983명
2021년 24,074명 11,388명 1,970명 10,847명 48,279명
2022년 30,775명 13,288명 2,640명 11,966명 58,669명
2023년 34,875명 14,212명 3,370명 12,150명 64,607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 이곳에 경산-구미 간 대경선이 다니게 되면 무궁화호의 수요 일부를 가져올 수 있고, 마침 비슷한 시기에 대구 1호선의 경산시 하양 연장도 이루어져서 혼잡도는 증가할 전망이다.
  • 대구 주민 이용객보다 타지에서 방문하는 수요가 더 많은 역이다. (특히 수도권에서 방문하는 수요가 어마어마하다)

3.2. 도시철도

동대구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d93f5c><bgcolor=#d93f5c><width=30%> 연도 ||<width=40%> 파일:Daegu1.svg ||<width=30%><bgcolor=#d93f5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1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1년 17,928명
2002년 18,232명
2003년 9,200명 [22]
2004년 17,182명
2005년 18,758명
2006년 24,744명
2007년 23,680명
2008년 23,368명
2009년 23,160명 }}}}}}}}}
2010년 23,790명
2011년 25,385명
2012년 25,805명
2013년 26,583명
2014년 26,624명
2015년 26,056명
2016년 27,742명
2017년 37,139명
2018년 36,685명
2019년 37,992명
2020년 22,602명 [23]
2021년 25,980명
2022년 30,382명
2023년 33,724명
출처

1호선 동대구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 수는 33,724명(2023년 기준)으로, 2019년까지 1호선에서 2위를 기록했으며 2020년부터는 1호선 전체 1위이자 대구 도시철도 전체 2위를 기록하고 있다.[24] 원래 동대구역보다 이용객이 많던 중앙로역이 코로나-19로 도심을 방문하는 사람들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이용객이 크게 줄었고, 동대구역은 복합환승센터대구신세계의 완공에 따른 효과로 중앙로역의 이용객 수를 능가하게 되었다.

개통 바로 다음 해인 1999년에 하루 평균 1만 명대 후반으로 올라선 이후 꾸준히 이 정도의 숫자를 유지했으나, 대구 지하철 참사가 터진 2003년에는 하루 평균 1만 명 미만으로 일시 추락했다. 그러나 참사 여파가 진정되고 전 구간이 재개통된 2004년에는 이전의 수요를 회복했으며, KTX 개통으로 대구역을 이용하던 수요가 유입되는 등 철도 동대구역의 이용객이 급증하자 1호선 동대구역도 이에 영향을 받아 경부선 이용객이 증가하는 만큼 지하철의 수요도 꾸준히 상승하였다. 그러던 와중에 2016년 복합환승센터가 개장하였고, 불과 1년 만에 하루 평균 1만 명 이상이 증가하여 3만 명대 후반까지 훌쩍 뛰어올랐다.

3호선과의 환승역인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이용객 수 1위인 반월당역과 2위인 동대구역, 그리고 두 역 사이에 3위인 중앙로역과 8위인 대구역이 있어 명덕역~동대구역 구간은 대구 도시철도에서 가장 혼잡한 구간이다. 특히 평일 퇴근 시간이나 주말 오후 귀가 시간에 동대구역을 출발한 설화명곡행 열차는 100%의 혼잡도를 가뿐히 뛰어넘는다.[25] 주말에는 오전에는 내리는 승객이, 오후에는 타는 승객이 많은 편이다.

그러나 일반철도 동대구역의 수요를 완전히 끌어들이지는 못하고 있다. 이는 대구로 오는 외지인들을 다른 지역으로 실어나르는 데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도시철도가 큰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사실 대구 지역의 도시철도는 수요가 그렇게 많지는 않고 최근 들어 시의 노력으로 수송 분담률이 조금씩 높아지는 상황으로, 아직 노선망이 촘촘하지 못한 데다 꼼꼼한 도로망으로 인한 택시, 시내버스 및 자가용의 발달이 그 원인이다. 역 앞의 신천4동 주민들 역시 이 역을 찾으나, 철도 및 시외/고속버스를 타려는 사람들에 비하면 비중은 적다. 2017년부터는 신세계백화점 쇼핑객이 추가되어 대구의 새로운 상권 중심지로 급부상함에 따라, 이 역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목적과 패턴이 더욱 다양해졌다.

한편 동대구역 근처에는 아파트가 건설 중이거나 분양 예정에 있으며, 주변에 오피스텔이나 메리어트 호텔 앤 레지던스 대구, 여러 레지던스도 들어서고 파티마병원 쪽으로는 신암뉴타운 사업으로 인구가 크게 늘어날 예정이라 향후에도 이용객이 증가할 여지가 있는 역이다.

기본계획(안) 보고서에서 예측한 4호선의 2031년 일평균 승하차량은 25,832명으로, 4호선 역들 중 가장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4. 승강장

4.1. 지상역사

파일:동대구역-부산방향 역사풍경.jpg
동쪽 방면(부산→서울방향 진입부) 출입구 및 동고가교와 승강장, 구내 선로 풍경
역사 앞쪽에 위치한 동고가교를 지지하고 있는 기둥 중 왼쪽 돌출부를 지지하고 있는 기둥 하부 승강장이 13·14번이며 13,14번 기둥을 기준으로 오른편 기둥 하부에 위치한 순서대로 11·12, 9·10, 7·8, 5·6, 2·3, 1번 승강장이다.
1번이 타 승강장보다 동쪽 방면으로 더 돌출이 되어 있으며 14번 선로 남쪽 방향으로 4개 선로가 추가로 선상 역사 및 동·서고가교 하부를 관통하고 있다.
대구 김천(구미) · 서대구 대구 당역종착
14 13 12 11 10 9 8 7 6 5 3 2 1
14 5
경산 경주 · 포항 ↓ 경산 하양
1 영동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안동·영주·동해 방면
(당역 출발)
동해선 파일:누리로 BI.svg 영천·경주·태화강 방면
(당역 출발)
2·3 대구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파일:누리로 BI.svg·파일:ITX-마음 BI.svg
영천·서경주·포항 방면
(당역 출발)
동해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파일:누리로 BI.svg·파일:ITX-마음 BI.svg
경주·태화강·부전 방면
(당역 출발)
5 경부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파일:누리로 BI.svg
밀양·구포·부산 방면
(당역 출발)
경전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밀양·마산·진주 방면
(당역 출발)
5 파일:대경선-로고-simple-2.svg 대경선 경산 방면
6 경부고속선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경주·울산·부산 방면
경부선 파일:KTX BI.svg·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무궁화호|
무궁화호
]]
밀양·부산·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파일:KTX BI.svg·파일:ITX-새마을 BI.svg 밀양·마산·진주 방면
7·8 경부고속선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경주·울산·부산 방면
경부선 밀양·구포·부산 방면
경전선 밀양·마산·진주 방면
동해선 포항 방면
9·10 경부고속선 파일:KTX BI.svg 대전·천안아산·서울 방면
(당역 출발)
11·12 경부고속선·경부선·경전선·동해선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대전·수원·서울·수서 방면
13 경부선·경전선 파일:ITX-새마을 BI.svg·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대전·천안·서울 방면
14 충북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대전·청주·제천·영주 방면
(당역 출발)
14 파일:대경선-로고-simple-2.svg 대경선 대구·왜관·구미 방면
파일:43336219380_852257e662_o.jpg
1981년의 동대구역 승강장
서울역과 함께 여객철도를 취급하는 역 중에 가장 많은 승강장을 가지고 있다. 6면 12선에서 7면 14선으로 확장하면서 승강장을 확보한 것이라 승강장으로 가는 통로 형태가 독특하다. 13, 14번은 제 2 맞이방으로 가서 내려가거나 11, 12번 에스컬레이터 입구에서 ㄱ자로 꺾어 들어가야 한다.

1번과 2번은 본래 대구선 방면 열차 승강장이었으나 대구선이 이설되고 나서 동대구 - 제천 무궁화호가 사용하다가 다시 대구선 방면 승강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이하게 상행 방향 계단은 리모델링된 다른 승강장 계단과 달리 개통 당시 구조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4번은 통과 선로이기 때문에 결번이며, 기존 11/12번 위치에 있었던 통과 선로는 13/14번 승강장을 신설하면서 철거되었다.

KTX와 SRT는 7~12번에서 취급하는 중이다. 9, 10번은 2016년 12월 9일 시간표 개정 후에 생긴 동대구 시종착 KTX[26]열차가 이용하고 있다.

대경선이 1, 2번 홈을 사용하도록 예정되어 있었으나, 엄청난 평면교차[27]로 인해 경부선 승강장(상행 14번, 하행 5번)을 사용하는 것으로 계획이 바뀌었다. 선로 서쪽 끄트머리(상행 방향)에 승강장이 들어오는 대구역서대구역과 달리, 대경선 동대구역은 선로 동쪽 끄트머리인 하행 쪽에 승강장이 들어선다. 2024년 8월 27일 기준 공사가 완료되어 있다.

환승통로는 확보되어 있지 않아 도시철도 ↔ 광역철도 간 환승은 2010년 이전 청량리역 사례처럼 역사 밖으로 완전히 나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4.2.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파일:동대구역(도시철도) 승강장.jpg
동대구역 승강장
파일:동대구역 안내도.png
역 안내도
신천
동구청
파일:Daegu1.svg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 · 반월당 · 명덕 · 설화명곡 방면
아양교 · 신기 · 반야월 · 안심 방면

===# 대구 도시철도 4호선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E05정거장
E03정거장
파일:Daegu4.svg 대구 도시철도 4호선 E06정거장 · E08정거장 · E10정거장 방면
E03정거장 · 범어 · 수성구민운동장 방면

5. 주변 교통

바로 앞에 지하철 동대구역동대구터미널이 있다.

도시철도 동대구역과 생각 외로 거리가 멀다. 중앙 개찰구를 중심으로 대략 400m 가량 떨어져 있다.

2번 출구 옆 연결 통로를 정면에서 볼 때 기준으로 2갈래로 나뉘어 있는데, 좌측은 대구신세계가 있고 우측은 동대구터미널 연결 통로이다. 무빙워크를 통해 동대구터미널 이동 자체는 어렵지 않으나 동대구터미널 매표소가 3층에 있다.[28]

역과 좀 떨어진 곳에 대구파티마병원, 평화시장, KT 동대구지사가 있으며, 지하철 동구청역 너머로 동구청 및 성동고가차도, 동명의 전철역 너머 동대구역네거리에 동부소방서가 있다. 소방서는 대구신서혁신도시 이전설이 들리고 있다.

대구역과는 전철로는 3개 역 거리 정도로 가까워서 동대구역 ~ 대구역 구간은 새마을호 정차역 중에서는 가장 간격이 짧다. 그리고 차로 10~15분 거리에 대구국제공항도 있으며, 공항으로 가고 싶으면 경부선 철로변 동대구역지하도 정류장에서 시내버스를 타야 한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이 역사 바로 밑에 있으며, 시내버스를 타기에도 매우 좋은 대중교통의 요충지다. 대구국제공항 방면으로도 3개 노선[29] 많은 시내버스가 동대구역을 경유하며 지하철, 택시 모두 편리하니 웬만하면 집에서, 혹은 대중교통으로 동대구역에 나와 전송을 하고, 굳이 자차를 몰고 와야 하는 상황이면 유료 주차장을 이용하면 주차료는 천원 안팎이다. 물론 주차장이 작아 대개 만차가 된다.

동대구터미널 연계는 그야말로 환상적이다. 옆으로 걸어나와서 들어가면 끝. 단 동대구역 끄트머리라서 만약 이게 전철역이었다면 막장환승 소리를 들었겠지만, 이건 보통 많은 대도시에서 철도역과 거리가 있는 대형 종합 버스 터미널이다. 서울역은 일부 시외버스만 근처에서 취급한다.[30]

다음 역이자 희대의 낚시역인 신천역(경북대입구)에 혹하지 말고, 경북대학교를 가려면 동대구역동대구터미널 앞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순환2(-1)번을 타면 경북대학교 후문(서문)에서 내릴 수 있다. 937번을 타도 경북대학교 정문에서 내릴 수 있다. 대신 경북대학교 북문(정문보다 더 규모가 큰 실질적 메인 현관)으로 가는 노선은 없기 때문에 북문으로 이동하고 싶다면 순환2-1번을 타고 <동대구시장 건너>, <대일아파트 건너>(대현동주민센터입구), <북구선거관리위원회 앞>(경북대학교서문) 중 한 군데에서 내려 306번으로 갈아타거나, 순환2-1번을 탔다가 북구선거관리위원회에서 내려 410번(306번, 523번도 정차)으로 갈아타는 방법이 있다. 시외버스 또는 셔틀버스로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창하리 육군3사관학교로 갈 수도 있다. 육군3사관학교에 합격해서 입교하게 되는 예비 생도들이 동대구역을 애용한다.

5.1. 시내버스

2017년 8월 2일 동대구역고가교 개체/확장공사가 마무리됨과 동시에, 대구광역시 최초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건너편에 생겼다. 대구광역시 BRT 참조.

5.1.1. 동대구역(BRT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09-060)
* 파티마병원건너2 방면
||
간선
지선
순환
출근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 건너(09-061)
*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건너 방면
||
간선
지선
순환
출근

5.1.2.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정류장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앞(09-059)
* 동대구역앞 방면
||
간선
지선
순환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건너(09-193)
* 대구지방법원등기국앞 방면
||
간선
지선
순환
일반
좌석

5.1.3. 동대구버스터미널 승차장(청도 농어촌)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버스터미널 4층 28번 승강장 ||
농어촌

5.1.4. 동대구역 북측 정류장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수화물취급소앞(00-546)
* 동대구역지하도2 방면
||
간선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수화물취급소건너(00-533)
* 동대구초등학교앞 방면
||
간선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지하도1(09-198)
* 동대구역수화물취급소건너 방면
||
간선
급행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구역지하도2(09-058)
* 산림조합중앙회 방면
||
간선
지선
급행

5.1.5. DRT

5.2. 박정희 광장 (동대구역 광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 광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IN7QB7U5CYHDDP7NAJ3ZDFQRVQ.jpg
박정희 광장

5.3.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파일:ㄷㄷㄱㅇ.jpg
동대구역과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의 모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단지 셔틀버스

동대구역 ▶ 물산업클러스터
동대구역 시티투어버스 승강장 09:30분/14:20분
낙동강물환경연구소 후문 앞 10:25분/15:15분
물산업클러스터 글로벌BIZ 앞 10:30분/15:20분
물산업클러스터 ▶ 동대구역
물산업클러스터 글로벌BIZ 앞 13:20분/16:20분
낙동강물환경연구소 후문 앞 13:25분/16:25분
동대구역 시티투어버스 승강장 14:20분/17:20분
달성군 구지면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단지까지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공문에는 상시 운행이라고 되어있으나 주말이나 휴일 운행여부는 그 셔틀버스 차량 기사에게 직접 확인하기 바란다.

자세한 내용은 국가물산업클러스터 홈페이지 공지사항 내 관련 공문을 확인하자.

6. 기타

  • 역 규모답게 당연히 TMO가 설치되어 있다. 파티마병원 쪽 출구 정면 좌측의 경부선 철로변 시내버스 정류장 방향에 바로 보인다. 경북대구에서 군 복무를 하는 장병들이 환승 목적으로도 많이 오고, 이 지역이 고향인 군 장병도 굉장히 많아서 수요는 넘쳐난다.
  • 전철을 타러 가거나 터미널로 가려면 승강장에서 올라온 뒤 나가는 곳으로 나가지 말고 반대쪽 들어오는 곳으로 나간 뒤 바로 앞에 있는 2번 출구로 나가는 편이 훨씬 좋다. 지하철을 타고 올 때는 지하철 동대구역 3번 출구에 직통 에스컬레이터가 있으며, 동대구터미널 연결 통로를 이용하면 동대구터미널 3층 출구로 나가면 된다.
  • 동성로서문시장으로 가려면 버스보다 전철이 훨씬 편리하다. 시간대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시지경산 방면은 경산시 시내버스를 타면 무열로와 달구벌대로를 글자 그대로 날아가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시내버스는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동대구역, 그리고 동대구역 고가교(동대구역지하도) 아래로 정류장이 나뉘어 있으니, 미리 어느 정도 이용할 노선을 알고 오는 것이 좋다.
  • 봉무동, 이시아폴리스, 팔공산(동화사, 갓바위, 파계사) 방면으로 가려면 동대구역 고가 아래 주차장 앞에서 급행1번, 101(-1)번, 401번을 타면 된다. 휴일에는 팔공2번같은 주말 노선도 다니긴 하지만, 3월~11월 외에는 1대만 다니며 중간에 도림사를 들렀다 간다. '동대구역 고가교 아래'는 본 항목 제일 위에 있는 1980년 사진에 있는 육교로 내려와야 하며, 고가차도를 올리게 되면서 이 육교는 철거됐다. 팔공산 방면으로 간다면 육교를 통해 도로를 횡단하지 말고 오른쪽(사진에서는 왼쪽)으로 나 있는 계단으로 내려가면 버스 정류장이 있다.
  • 경북대학교 셔틀버스가 신천역으로 가기 전에 역 건너편에서 한 번 정차해 준다.(예전엔 동대구역네거리에 정차) 이 셔틀버스는 버스 정류장을 지나서 있는 횡단보도 옆에 정차하며, 별도 정류장 표시는 없다. 학기 중 야간에는 밤 10시 30분에 일청담에서 출발하는 셔틀이 이 역을 경유하여 신천역, 수성시장역, 대구은행역까지 운행한다.
  • 중앙신체검사소대구신서혁신도시로 이전한 후에는 이 역을 통해 안심역으로 전철을 타야 하기 때문에 청년들 수요가 아주 약간 늘었다. 건너편 정류장에서 708번을 이용하여 대구경북지역병무청에서 하차해도 된다. 그래도 거리가 꽤 되는 안심역과는 달리 708번은 대구경북지방병무청 바로 앞에 내려주기 때문에 버스를 추천.
  • 원래 명물은 냄비 우동으로, 현재 1번 출구 나가기 전 왼쪽에 있다. 계란이 들어간 냄비 우동이 인기가 있다. 그 옆에 철도경찰대가 있고 맞은편에 롯데리아가 있다.
  • 지방 대도시에 있는 주요 교통 거점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새벽이 되면 경북 전 지역(!) 택시가 불야성처럼 모여든다. 대부분이 총알택시. 그 유명한 레인보우 택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대구는 그 중에서도 매우 심한 편이라서, 새벽, 심야 시간대 뿐만 아니라 택시가 하루종일 줄을 짓는 모습을 늘상 볼 수 있다. 이 곳 뿐만 아니라 뒷 편인 동대구역동고가교 앞도 심야시간대에는 비슷한 일이 벌어지며, 이 때문에 버스나 승용차, 그리고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안전을 위협하기도 한다. 이런 현상이 심화된 이유는 대구광역시/교통 문서에 나오듯, 도시 규모에 비해 엄청난 택시 수 때문이다. 대구광역시에서 예전에 택시 면허를 마구잡이로 허가하면서 택시 대수가 엄청나게 늘어나게 되었고, 이 때문에 시내버스와 도시철도는 늘상 택시 눈치를 보기 바쁜데다 밤 10시만 되어도 대중교통이 뚝뚝 끊길 정도로 심야 운행도 못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그러니까 이 역에서 내려서 대중교통으로 목적지까지 가고자 할 때, 도시철도만 이용한다면 11시, 시내버스를 이용해야 한다면 늦어도 밤 10시 30분까지는 동대구역에 도착해야 막차가 끊겨서 택시를 이용하는 불상사를 막을 수 있다. 장난 아니고 11시 반 되면 운행하던 모든 시내버스가 갑자기 운행종료를 띄우고 사람들을 강제로 내리게 한다.그나마 지금은 대구 시내버스 중간종료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10시보다는 조금 늦게 와도 되지만 그렇다고 막차가 연장된 것도 아니라서[31] 여전히 이 문제는 크게 해결되지 않았다.
  • 의외로 동대구역 주변에는 전통적으로 은행들이 많지 않다.
    • 역사 구내에 iM뱅크우리은행 ATM이 있다. 본래는 역 바깥 흡연구역 근처에 있다가 정비를 마친 후 옮겨온 것이며, 그 중 iM뱅크은는 우리은행BNK부산은행의 것과 같은 스마트 키오스크 1기가 깔려 있다.[32] 이 기계를 "셀프창구"로 부르는데, 셀프창구에서 입출금신규 및 체크카드 즉시발급[33]이 가능하지만 아직 시스템이 안정화되어 있지 않아 가끔씩 체크카드 발급 시 에러가 발생한다. iM뱅크 셀프창구는 철도여행정보센터 바로 옆에 있다. 근처에 있는 은행은 옛 고속터미널 근처에 소재한 신천4동우체국, 대구경북능금농협밖에 없으며, KB국민은행 동대구지점도 있었지만 2020년에 신암동지점과 통합해서 폐점했다. iM뱅크의 지점은 옛 대구동양 터미널 옆길 남쪽의 신천4동지점, 동부소방서 옆에 있는 대구무역회관 및 대구파티마병원, 대구지방법원(법원 구내 신한은행 법원점 바로 옆)에 있다. KB국민은행우리은행은 1km 조금 넘게 떨어져 있는 평화시장 건너편에 신암동지점이 있다. 신한은행NH농협은행대구지방법원까지 내려가야 있으며, 신한은행은 효목2동 대구지방법원 등기국에도 출장소가 있다. 동대구역지하도에서 동구청역 방향으로 따라가다 보면 산림조합이 나온다.
  • 대구경북능금농협은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공사 후 바로 건너편으로 옮겼지만, 수협은행은 수성동3가 수성네거리 근처로 이전했다. 예전에는 대구경북능금농협이 있는 자리에 세븐일레븐이 있어서 롯데ATM을 이용할 수 있었지만,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공사로 세븐일레븐이 능금농협에 넘기고 폐점했다. 그러므로 롯데ATM을 쓰고 싶다면 동대구역네거리 동부소방서 근처나 동대구역지하도 정류소 건너편 세븐일레븐으로 이동해야 한다. 옛 고속터미널 뒷쪽에도 세븐일레븐 2곳이 새로 생겼다. 동대구터미널 구내에도 대구경북능금농협 ATM이 있다.
  • 서울다단계 성지인 교대역, 거여역, 마천역 일대와 마찬가지로 대구의 다단계 성지가 이 일대다. 악명 높은 모 다단계 회사 대구지부가 있다. 관계가 애매한 사람이 이쪽에서 보자고 하면, 일단 한 번 의심할 것을 권한다. 그리고 인근 투썸플레이스에서 만나자고 하면 경계하고, 자기 회사 구경 가자고 하거나 좋은 정보를 알려 주겠다고 하면 뒤도 돌아보지 말고 속히 달아나라. 100% 다단계고, 한 번 끌려가면 정말 풀려 나오기 힘들다.[34]
  • 동대구역 지하도 쪽으로 내려오는 에스컬레이터를 탈 때 친목질을 하여 돈을 구걸하는 사람이 있으니 주의하자.
  • 2020년 12월 경 승강장 내 표지판이 신형 슬림 LED전광판 형식으로 교체되었다.
  • TTS 도입 후에도 육성 방송을 병행하는 몇 안되는 역이다. 대부분 자동 음성 안내 방송만을 사용하지만[35], 동대구역은 아무래도 복합열차의 분리/결합이 이루어지는 역이다 보니 열차 도착 시 TTS - 장내 아나운서 육성 - 타는 곳 안전요원 방송을 기본으로 진행하고 있다.
  • 역의 규모만큼 외국인들이 정말 많이 이용하지만, 특이하게도 영어 안내방송이 지원되지 않는다. 한국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인 서울역과 동대구역 바로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은 역인 대전역에서도 영어 방송은 당연히 나오지만, 동대구역은 영어방송이 나오지 않는 몇 안되는 역이다. TTS와 역내 아나운서의 육성으로는 방송을 하면서, 영어 안내방송은 하지 않는 것이 아이러니한 부분이다. 몇몇 사람들은 외국인 이용객이 많은 기차역, 그것도 이용객이 한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동대구역이 영어 안내방송을 하지 않는다는 점에 대해서 '불친절하다, 안하는 이유가 뭔지 궁금하다, 기차가 너무 많아서 그렇다, 기차가 많다기엔 서울역대전역에는 영어 안내방송이 나오지 않냐'고 반응하기도 하였다. 차라리 역내 아나운서가 말 할 시간에 영어 안내방송을 하지...
  • 만약 KTX나 SRT를 이용하는데 부산 해운대가 목적지라면 이 역에서 하차한 뒤 동대구터미널로 가서 시외버스 해운대-구미로 환승하여 이동하는 것이 낫다. 부산역으로 간다고 해도 부산 시내의 답 없는 교통 상황 & 휴가철에는 1003번의 만차 사태로 인해 소요 시간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포 경유 KTX나 일반열차로 구포역을 이용한다면 같은 시간으로 더 저렴한 가격에 해운대로 갈 수 있다.
  • 신역사 부분은 서울역과 형태가 유사하다. 특히 KTX 개통 초기 내부 모습을 보면 창쪽에 상업 시설이 없어서 더욱 그렇게 느껴진다. 단 서울역은 곡선모양 역사의 양 끝 쪽에만 입구가 있기 때문에 동대구역처럼 곡선 부분의 모습을 보기가 힘들다.
  • 한때 대구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기존 대구역은 달구벌역 또는 대구중앙역, 칠성역으로[36] 명칭을 변경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반대가 만만찮아서 무산됐다. ### 현재는 주변 지역명도 동대구역 또는 동대구로 정착되어 이러한 요구를 찾아볼 수 없다.
  • 전국의 기차역 중 가장 넓은 광장을 가지고 있다. 원래 광장은 그다지 넓은 편이 아니었는데[37], 복합환승센터 개장과 함께 2017년 동대구역 고가교 상판을 뜯어고치면서 현재와 같이 선상에 넓은 광장이 생기게 되었다. 광장 규모는 2만6000㎡(약 7850평)으로 무지막지한 크기이다. 광장이 넓은 만큼 한쪽에는 대구시 상징 조형물과 분수대, 정원이 마련되어 있고, 대구경북 관광센터도 이곳에 위치하고 있다. 때때로 시정 홍보나 행사 홍보를 위한 전시물도 설치하고 있다. 복합환승센터 건물 모니터에는 텔레비전 송출 기능이 있어 거리응원 등에도 쓰일 수 있도록 되어있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착공 전 동대구역 경유 노선안과 대구역에서 북쪽으로 뻗어 경북대학교를 거쳐 봉무동에서 종착하는 노선안이 경합했으나 동대구역의 중요성과 정치인들의 입김에 의해 현재의 노선으로 건설되었다.
  • 환승통로 중 3번 출구는 앞뒤가 모두 뚫려있는 형태로 있어, 2번 출구 방향에서 오는 사람들과 역 광장에서 오는 사람들이 모두 이곳만 이용한다. 1번 출구는 옆에 있기 때문에 거의 드나드는 사람들이 없다.
  • 만약 우천시, 기차역과 지하철역을 환승하기 위해서는 코레일 2번출구를 통해[38]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건물로 들어가서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를 타면 도착한다. 대구역과 환승시간은 거의 비슷하며 환승시간은 매우 무난한 편.

7. 사건 사고

  • 2013년 5월 5일, 한 30대 남성이 문구용 칼로 자신의 영 좋지 않은 곳을 자해하여 한동안 동대구역 셀프심영이라는 검색어가 화제가 되었다. '자식을 낳고 싶지 않았다' 라는 게 이유라고 얘기했다. 문제는 이 검색어에서 모자이크 처리도 안 된 피투성이 사고 현장 사진이 많이 나와 비판을 받았다는 것이다. 관련 기사
  • 2004년 5월 23일, 전차를 화물열차로 운반하던 21세 육군 일병이 화물열차에 실린 탱크 위에서 감전되어 사망한 사건이 일어났다. #
  • 전염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세계적으로 유행하던 시기인 2020년 1월 29일, 동대구역 광장 일대에서 웬 방진복을 입은 사람들이 환자를 추격하는 일이 벌어졌다. 초기에는 대구시에서 코로나바이러스에 대비하여 모의 훈련을 하던 중이었다는 등 근거없는 사실이 전파되었지만, 실제로는 몰래카메라 유튜버영상을 촬영하던 것이 오인받은 것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 경찰이 출동하였다. 작은 기침과 행동에도 예민한 큰 전염병이 도는 와중에 유동인구가 많고 국내에서는 물론 세계 다양한 사람들이 다녀 예민한 장소에서 논란이 될 만한 행동을 한 탓에 비난을 피할 수 없었다.
  • 전국적으로 흉기난동 사태가 벌어지고 있었던 2023년 8월 7일, 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52분께 "동대구역 광장에 흉기를 들고 있는 사람이 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철도경찰은 곧장 출동해 용의자인 30대 A씨를 붙잡은 뒤, 대구 동부경찰서에 곧장 인계했다. 신고자는 동대구역에서 근무 중인 사회복무요원 B씨였다. B씨는 "A씨의 눈빛이 굉장히 불안해 보여서 지켜보고 있었는데 A씨가 가방에서 뭔가를 꺼내려다 흉기와 메모를 떨어뜨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떨어뜨린 칼과 살인을 예고하는 메모를 주워 자신을 향해 보여줬다고 밝혔다. # A씨는 "누군가가 나를 조정하고 있다. 불특정 사람들을 죽이라고 해 흉기를 갖고 동대구역으로 갔다"고 진술했다. 정신질환을 확인중이다. #1 #2 #3 1심에서 징역 1년을 선고했다. #

8. 대중매체에서

  • KOF 2002 UM에서 한국 배경 스테이지로 충실하게 재현되기도 했다. 본 문서 상단에 있는 과거 사진과 아래 배경 스테이지 모습을 비교해보면 완전 판박이다.
    파일:ez0aPzd.jpg
    하지만 신세계백화점이 들어오고 동대구역이 리모델링 되면서 지금의 장소는 사라졌다.
  • 영화 부산행의 로케이션 장소 중 한 곳이었지만 대전역으로 나왔다. 그래서 대전 사람들은 딱 보고 대전역이 아닌 거 같은데?라고 딱 알았고, 대구 사람들은 어, 저긴 동대구역인데?라고 알았다고. 물론 극 중에서도 동대구역이 나오기는 한다. 그러나 다른 장소에서 촬영되었다.
  • MBC 경찰청 사람들 - 지금은 용무중 에피소드 촬영 장소로 썼던 곳 중 한 곳이다.

9. 둘러보기

동대구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2px -12px"
#!wiki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fff '''일반·광역철도[br]도시철도'''}}}
#!wiki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동대구역|동대구역{{{-3 (국가·광역철도)}}}]]
동대구역(도시철도)
#!wiki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fff '''터미널'''}}}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소유 주체 · 사업체)
동대구고속·시외버스터미널(환승센터 내부시설)
#!wiki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fff '''백화점'''}}}
대구신세계백화점
}}}}}}}}} ||

경부고속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시흥연결선
- - - - - - - - - -
}}}}}}}}}

경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여객영업 X
}}}}}}}}}

대구선의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취소선:폐역, †:여객영업 안함
}}}}}}}}}

파일:대경선-로고-simple-2.svg 대경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고속철도 경부고속선
일반철도 경부선 · 대구선 · 중앙선 · 대구산업선(2029년 예정)
전용철도
(인입선)
K-2인입선
탑승
행선지 등급 탑승역
서울 · 부산 · 진주 · 포항 · 행신 파일:KTX BI_White, Red.svg · 파일:KTX-산천 BI_White.svg 서대구역
·
동대구역
수서 · 부산 파일:Untitled-1.png
서울 · 부산 · 진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대구역
·
동대구역
서울 · 부산 파일:ITX-마음 BI_White.png
서울 · 부산 · 영주(충북선 경유) 무궁화호
서울 · 부산 파일:ktx-청룡 bi_white.svg 동대구역
진주 · 포항 파일:Untitled-1.png
부산 · 태화강 파일:누리로 백색 로고.png
태화강 · 포항 파일:ITX-마음 BI_White.png
부전 · 진주 · 포항 · 동해 무궁화호
부전 · 동대구 · 청량리 · 영주 화본역(12월 폐역 예정)
기타역
역 등급 역명
화물전용역 가천역
무배치간이역
(여객 및 화물 취급중단)
고모역 · 금강역 · 우보역 · 봉림역
여객열차 등급별 정차역
고속 열차 동대구역 · 서대구역 · 군위역(12월 예정)
일반(급행) 열차 동대구역 · 대구역 · 화본역(12월 폐역 예정) · 군위역(12월 예정)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color: #fff; min-width: 50%"
{{{#!folding [ 최초 14개 광장 ]
{{{#!wiki style="margin:-6px -1px 5px"
<rowcolor=#fff>
번호
지명
도로
소재지
1 파일:Daegu1.svg 파일:Daegu2.svg 반월당
2 캠프 워커 - 중앙대로 - 대덕로
3 본리네거리 - 구마로 - 와룡로
4 불로삼거리 -
5
체육관삼거리
- 연암로 - 대구체육관로
6
7 서대구로 - 두류공원로 - 달구벌대로
8
9 달서로 - 침산남로 - 옥산로 - 오봉로 - 팔달로
10
대구역네거리
11
대구역북측교차로
12
와룡로 - 북비산로
13
달서천로
14
- 성서공단로 - 성서로
}}}}}}}}}
[ 그외 광장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ddd><rowbgcolor=#008837><rowcolor=#fff>
번호
|| 지명 ||
|| 도로 ||
소재지
||
13
동대구로 - 동부로
17
금호JC -
19
죽전네거리 와룡로 - 달구벌대로
20
파군재IC - 대구외곽선 - 동화천로 - 이시강변로
23
북대구IC -
24
신당네거리
25
성서IC -
26
연호네거리 범안로 - 달구벌대로
27
화원옥포IC -
28
유천네거리 달서대로 - 상화로 - 월배로 - 비슬로
29
달성IC - 중부내륙지선 - 논공중앙로 - 옥포로 - 논공로
30
동대구IC - 중앙선 - 화랑로
31
수성IC - 중앙선 - 월드컵로
32
서변IC - 대구외곽선 - 호국로
33
용계삼거리 동촌로
41
다사IC -
||
파일:Daegu1.svg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93f5c> 안심-하양 복선전철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본선)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Daegu4.svg 대구 도시철도 4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color: #fff; min-width: 50%"
{{{#!folding [ 최초 14개 광장 ]
{{{#!wiki style="margin:-6px -1px 5px"
<rowcolor=#fff>
번호
지명
도로
소재지
1 파일:Daegu1.svg 파일:Daegu2.svg 반월당
2 캠프 워커 - 중앙대로 - 대덕로
3 본리네거리 - 구마로 - 와룡로
4 불로삼거리 -
5
체육관삼거리
- 연암로 - 대구체육관로
6
7 서대구로 - 두류공원로 - 달구벌대로
8
9 달서로 - 침산남로 - 옥산로 - 오봉로 - 팔달로
10
대구역네거리
11
대구역북측교차로
12
와룡로 - 북비산로
13
달서천로
14
- 성서공단로 - 성서로
}}}}}}}}}
[ 그외 광장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ddd><rowbgcolor=#008837><rowcolor=#fff>
번호
|| 지명 ||
|| 도로 ||
소재지
||
13
동대구로 - 동부로
17
금호JC -
19
죽전네거리 와룡로 - 달구벌대로
20
파군재IC - 대구외곽선 - 동화천로 - 이시강변로
23
북대구IC -
24
신당네거리
25
성서IC -
26
연호네거리 범안로 - 달구벌대로
27
화원옥포IC -
28
유천네거리 달서대로 - 상화로 - 월배로 - 비슬로
29
달성IC - 중부내륙지선 - 논공중앙로 - 옥포로 - 논공로
30
동대구IC - 중앙선 - 화랑로
31
수성IC - 중앙선 - 월드컵로
32
서변IC - 대구외곽선 - 호국로
33
용계삼거리 동촌로
41
다사IC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cf2026><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cf2026>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노선명 역명
대구교통공사 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colbgcolor=#fff,#000> 신천(경북대 입구)(134) · 동대구역(135) · 동구청(큰고개)(136) · 아양교(대구국제공항 입구)(137) · 동촌(동촌유원지)(138) · 해안(139) · 방촌(140) · 용계(141) · 율하(142) · 신기(143) · 반야월(144) · 각산(145) · 안심(혁신도시·첨복단지)(146)
한국철도공사 경부선 동대구역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미개통 노선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한국철도공사 파일:대경선-로고-simple-2.svg 대경선 <colbgcolor=#fff,#000> 동대구역(K118)
대구교통공사 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대구한의대병원(147)
파일:Daegu4.svg 대구 4호선 동대구벤처밸리 · 대구파티마병원(평화시장) · 공고네거리 · 이시아폴리스(봉무)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중구 · 서구 · 남구 · 북구 · 달서구 · 수성구 · 달성군 · 군위군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9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9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신천동 329-5[2] 고모역, 가천역을 관할한다.[3] 한국철도공사에서 SRT 매표업무를 위탁계약에 따라 함께 처리한다.[4] 대구 도심 구간 최종 개통일이다. 대구남연결선을 비롯한 대구 이남 고속전용선 구간은 2010년 11월 1일 개통.[5] 예전에 경부선누리로열차가 운행된 적이 있다가 중단되었으므로 재개업일로 표기.[6] 동대구역 ~ 청천역 구간 이설로 인한 대구선 기점 변경[7] 2004년 1차 증축, 2017년 2차 증축[8] 1969년 개업 후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2004년 리모델링하여 외관이 달라진 것을 제외하면 내부 구조는 개업 당시의 모습과 같다.[9] 물론 대구역 축소가 시가지의 확장과 전혀 무관한 것은 아니다. 당시 계속해서 팽창하고 있던 동성로 일대 시가지 영역은 언젠가는 반드시 대구역과 겹치게 되었을 것이기 때문.[10] 이후 1993년부터는 대구역에도 무궁화호가 정차하기 시작했으나 새마을호는 여전히 동대구에만 섰다.[11] 과거에는 경북선 열차가 김천역부터 경부선을 타고 동대구를 지나 부산역까지 운행했지만 2019년부터 경북선만 왕복하는 것으로 바뀌었다.[12] 실현된다면 영주-동대구는 영주종합터미널의 불편한 시내 접근성 탓에 영천으로 돌아가는 선형이더라도 철도가 확실히 우세를 점할 가능성이 높고, 안동-동대구는 소요시간도 요금도 그렇게 큰 차이가 나지 않아 팽팽하게 경합할 것으로 보인다.[13] 하지만 서대구역~동대구역 사이 선로용량이 넉넉치는 않는 것이, 2024년 대경선가 개통하고 나면 선로용량이 기존보다 더 빡빡해져서 실제로는 서대구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도 일부 생길 것으로 보인다. 강릉선과 중앙선 KTX가 선로용량 문제로 전부 서울역까지는 들어오지 못하는 상황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14] 지금도 무정차로 갈 수 있긴 하나 대전을 찍고 돌아가는 코스라 버스에 소요시간으로 상대가 되지 않는다.[15] 운행경로는 급행 기준으로 동대구-서대구-구미-김천-상주-점촌-충주-부발-경기광주-수서로 예상되며, 경부고속선보다는 정차역이 많기 때문에 동대구~수서 전구간 탑승자는 좌석 공급이 부족할 때가 아니면 거의 없을 것이고 적어도 구미까지는 수서발 중&장거리, 서&동대구는 경기광주까지의 수요가 주가 될 것이다.[16] 대구역 ~ 동대구역 구간에서 도시철도 1호선과 몇 번 교차하는지라 지하화하려면 지하철 구조물을 보강해야 하는데, 전철 운행을 최소 3개월 이상 중지해야 한다. 그렇다고 대심도로 짓자니 복복선이라 건설비용이 크게 불어난다.[17] 대구 지하철 초기 계획에 의하면 3호지선이 경유할 예정이었고, 경부고속선도 대구 도심 구간은 당초 동대구역 지하에서 경부선과 X자 형태로 교차할 계획이었다.[18] 대전역 반대쪽 대로는 도시철도 출입구는 아니지만 지하상가 출입구로 연결된다.[19] 또한 이 세 역들은 모두 지하를 통해 바로 기차역으로 갈 수 있는 통로가 있으나 동대구역은 내부 혹은 입구까지 직통으로 연결되는 길이 없다. 굳이 비슷하게 찾으면 동대구복합환승센터를 거쳐가는 것.[20]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21] SRT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2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22] 대구 지하철 참사로 인한 일시 운행 중단 기간 제외[23]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여파[24] 대구 도시철도 전체 1위는 2호선과의 환승역이자 시내 중심가에 있는 반월당역이고, 3위는 역시 동성로와 인접한 중앙로역이다.[25] 동대구역을 지나 대구역과 중앙로역의 승객을 가득 싣고 반월당역에 도착하면 엄청난 수의 승객들이 내리고 탄다. 반월당역을 지나고 나서는 혼잡도가 조금씩 감소해 상인역진천역을 지나면 한산해진다.[26] 동대구 출발 #120, 동대구 종착 #117[27] 열차 운행(다이어)이 꼬이거나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28] 다만 고속버스 터미널 층수를 대구신세계에 맞추면서 생겼으며, 1층 바로 위가 3층이라는 독특한 구조 때문에 생각보다 막장환승은 아니며 에스컬레이터도 직선으로 바로 이어져 있다. 즉, 터미널 건물 내에서 잠깐만 걷는 것을 제외하면 철도역에서 지하철역으로 쭉 내려가는 것이다. 더군다나 3~1층 에스컬레이터에서 바로 정면으로 이어지는 1~지하1층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가면 바로 지하철역으로 이어지는 통로로 무빙워크까지 설치되어 있어 실질 거리감은 훨씬 더 감소된다.[29] 동대구역 지하차도 정류장이라고 제1주차장 쪽에 정류장이 따로 있다.[30] 물론 서울역 / 수서역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 시티 / 서울남부터미널은 환승 수요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굳이 붙어 있어야 할 당위성이 없다.[31] 기존에 중간종료하는 계통들만 종점에 오전 12시 20분 전까지 모두 도착하도록 운행하게 한 것이다.[32] 이 기계를 설치하면서 대구신세계점을 없앴다.[33] 단디체크카드(일반형), 영플러스 체크카드(대경교통카드 버전), 부자되세요 더 마일리지 체크카드(은련 비교통형) 3가지만 취급한다. 하지만 부자되세요 더 마일리지 체크카드(은련 비교통형)는 인터넷뱅킹 혹은 콜센터에서 발급하는 것을 권장한다.[34] 그런 이유 때문에 KB국민은행 동대구지점은 개설방어가 꽤 심한 곳이었다.[35] 연착이나 타는 곳 변경같은 특이사항 발생시 역무원이 방송을 하기도 한다.[36] 여담으로 이 방안이 나온 2002년 당시에는 칠성시장역의 이름이 칠성역이었다.[37] 2017년까지 현재 광장이 있던 자리의 대부분은 주차장이었고, 주차장과 동대구로 구간 사이는 뚫려있어 철길이 훤히 드러났다.[38] 대구신세계와 지붕이 있는 연결통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