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도시철도에 있는 동명의 역에 대한 내용은 동촌역 문서 참고하십시오.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
302호 | ← | 303호 | → | 304호 |
부산 구 송정역 | 대구 구 동촌역사 | 문경 구 가은역 |
동촌역 (폐역) | ||
역명 표기 | ||
대구선 | 동촌 Dongchon 東村 / 东村 / [ruby(東村, ruby=トンチョン)] | |
주소 | ||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역사로3길 35 (입석동)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 |
개업일 | ||
경동선 | 1917년 12월 24일[2] | |
대구선 | 1938년 7월 1일[3]~ 2008년 5월 15일[4] | |
철도거리표 | ||
동대구 방면 ← 3.1 ㎞ | 옛 대구선 (폐역) | 영천 방면 5.4 ㎞ → |
동촌역사 (1938년 준공, 2013년 이전) |
[clearfix]
1. 개요
등록문화재 역 가운데 가장 뾰족한 역사
동촌역은 1917년 11월 1일 경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1938년 7월 1일 대구-영천 간 광궤선을 개량하면서 지금의 위치에 새롭게 지어졌다. 광궤선이란 선로와 선로사이의 너비가 표준너비인 1.435m보다 넓은 궤도를 가진 선로로, 건축비가 많이 들지만 고속 운전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등록문화재 간이역 가운데 가장 뾰족한 역사인 동촌역. 밑변 각도가 45도가 넘는 유일한 역사로 대구라는 대도시 도심에서 머리를 번쩍 들고 있는 형태이다. 표준설계에 가까운 모습이지만 두 장의 박공 크기가 대조를 이루면서 마치 서양의 풍경화 속 그림 같은 집을 보는 느낌이다. 부속시설로 남아있는 창고 역시 서양식 목구조로 지어진 것이 특징이다. 초록색 기와지붕에 연회색으로 칠해진 작은 건물은 대구의 오래된 간이역 가운데서도 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다는 평가와 함께 2006년 등록문화재 제303호로 지정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대구선의 폐지된 철도역.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역사로3길 35 (입석동 893-9) 소재.[5]동촌역은 1917년 11월 1일 경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1938년 7월 1일 대구-영천 간 광궤선을 개량하면서 지금의 위치에 새롭게 지어졌다. 광궤선이란 선로와 선로사이의 너비가 표준너비인 1.435m보다 넓은 궤도를 가진 선로로, 건축비가 많이 들지만 고속 운전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등록문화재 간이역 가운데 가장 뾰족한 역사인 동촌역. 밑변 각도가 45도가 넘는 유일한 역사로 대구라는 대도시 도심에서 머리를 번쩍 들고 있는 형태이다. 표준설계에 가까운 모습이지만 두 장의 박공 크기가 대조를 이루면서 마치 서양의 풍경화 속 그림 같은 집을 보는 느낌이다. 부속시설로 남아있는 창고 역시 서양식 목구조로 지어진 것이 특징이다. 초록색 기와지붕에 연회색으로 칠해진 작은 건물은 대구의 오래된 간이역 가운데서도 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다는 평가와 함께 2006년 등록문화재 제303호로 지정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1917년 12월 24일 경동선의 대구-하양 구간이 개통하자 옛 대구지방법원 동대구등기소[6] 인근에 보통역으로 개업하였고 1938년 7월 1일에 표준궤로 개궤되면서 대구광역시 동구 검사동 756-5번지에 현 역사가 준공되었다.2005년 11월 1일 대구선이 신선으로 이설되면서 영업이 중지되었고 2006년 12월 4일 옛 대구선 역사들 중 가장 보존 상태가 좋고, 1930년대 건축 구조를 그대로 갖고 있기에 국가등록문화유산 제303호로 지정,[7] 2008년 5월 15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147호에 의거하여 철도거리표에서 삭제되면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해체 중인 구 동촌역사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촌역의 북동쪽으로 300m 거리를 두고 동촌네거리와 대칭하여 마주 보고 있었고 동촌 신길로 불리는 방촌천 복개도로(동촌로)와 가까이 붙어있어 접근성이 1호선 동촌역보다 훨씬 좋았다.
그러나 2013년 하반기 들어 구 대구선 부지 공원화 사업으로 해체된 후,[8] 350m 서쪽에 떨어진 입석동의 동촌동주민센터 뒤편으로 이전하였고 현재는 도서관으로 운영되고 있다.[9]
3. 둘러보기
대구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가천† - 금강† - 청천† - - 금호†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