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02:04:30

독산역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수도권 전철 신안산선의 신독산역,
rd1=신안산선/독산 정거장)]
폐역 가리봉 - [ruby(박람회, ruby=1968)] - 독산
독산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광운대 방면 1호선
(P143)
서동탄·신창 방면
가산디지털단지
← 2.0 ㎞
금천구청
1.2 ㎞ →
1호선
'''
광명셔틀
'''
영등포 방면 광명 방면
역명 표기
경부선 독산
Doksan
禿山 / 秃山 / [ruby(禿山, ruby=トクサン)]
1호선
주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115 (가산동 717)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
(광명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부선 1998년 1월 7일
1호선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복선 상대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서울 방면
가산디지털단지
← 2.0 ㎞
경부선
독 산
부산 방면
금천구청
1.2 ㎞ →

1. 개요2. 역 정보
2.1. 역명2.2. 역무시설
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7. 사건 사고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doksan.png
현 역사(1998년 준공)
파일:독산역 스탬프_2.png
독산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독산우시장의 소를 형상화했으며, 2014년 스터디투어의 일환으로 제작된 스탬프 이후 다시 새로운 도안으로 제작되었다.
1998년 경부선 간이역으로 영업개시, 봄이면 흐드러진 벚꽃 명소
독산역은 1998년 1월 7일 경부선 간이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 이후 2002년 3월에 이르러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현재 역사는 지상 2층으로 설립되어 있으며 첨단업무시설이 밀집하여 접근성이 뛰어나다. 또한 인근 안양천을 경계로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과 매우 가까이 인접하고 있는데, 실제 독산역을 지나 금천교 광명시에 이르는 길을 독산역으로 통하는 길이라는 의미에서 2001년 독산역길로 이름 붙여지기도 하였다. 독산역에서 가산디지털단지역까지 직선 구간으로 이어지는 금천구 벚꽃로는 6백여 그루의 벚나무가 도로 양옆으로 조성돼 있어 벚꽃 명소로 손꼽힌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수도권 전철 1호선 P143번.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115 (가산동 717) 소재.

2. 역 정보

파일:attachment/Doksan1.jpg
과거 승강장 모습
파일:attachment/20140116053632.jpg
스크린도어 공사 당시 모습
1998년에 신설된 역이다. 이 역은 하안주공아파트가 조성된 광명시 하안동의 교통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어진 역이다. 1992년부터 광명시는 하안지구 교통 문제 해소를 위해 1호선 독산역 신설과 서울 지하철 7호선 하안동 경유를 요구했는데[1] 이 중 전자가 김영삼 대통령의 대통령 선거 공약으로 들어갔다.[2] 이에 따라 1995년에 역사 공사가 시작되어 1998년에 개통되었다.[3]

2.1. 역명

부역명은 '하안동 입구'이나, 2015년경에 사라졌다. 가산디지털1로를 경유하는 금천교고가차도 밑의 안내판에는 아직 철도청 양식에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으로 부역명 표기가 남아 있다. 하안동입구는 개통 당시부터 부역명이었는데 이 역이 하안동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데 따른 것이다.

서울메트로(현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독산 역명만 방송했고, 코레일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 (하안동입구)까지 방송했었지만 2015년경 없어져서 코레일차량도 현재는 부역명 방송을 하지 않는다.

역명은 독산역이지만, 실제로는 가산동과 독산동 경계에 걸쳐 있다.

가산디지털단지 남부 건물들을 중심으로 독산역의 역명을 바꾸자는 주장이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4] 역명 변경과 함께 2번 출구 쪽에 바로타 개찰구를 신설해 달라는 주장도 하고 있다. 다만 역명 자체에 큰 이견이나 사회적 문제가 없는 상황인데 역명을 바꿔달라는 주장을 하는 것이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 공감대를 형성하거나 큰 필요성을 느끼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2. 역무시설

출구는 3개가 있다. 역 개설 당시 만들어진 출구는 1번 출구외 2번 출구인데, 독산동 우시장에서 하안동으로 넘어가는 다리인 금천교 바로 옆에 지어져서 두 출구 모두 다리 밑에 있다. 다만 2번 출구는 중간에 역사 구조상 교각기둥이 있어 A자에 가까운 구조이다. 일단 중층을 내려간 뒤 교각기둥을 피해 만들어진 Y자 모양 계단을 통해 외부로 나가는 동선이다. 계단이 중간에서 잠시 폭은 좁아지는데 이용객들은 대부분 동선이 짧은 쪽으로 다녀서 러시아워에는 늘 혼잡하다. 대매소 시절에는 반사경이 있어서 돌아가는 쪽에도 계단이 있다는 것을 비추었지만 이는 철거되었다. 그런데 동선이 짧은 쪽으로는 리프트가 있어서 더 혼잡했었다. 결국 민원으로 인해 리프트 철거는 당장 불가능하고 2번 출구 혼잡을 막기 위해 내려가는 걸 돌아가도록 안내문을 붙이고 벨트 차단봉까지 두고 출퇴근시간에는 최대한 사회복무요원까지 보내 안내하였다. 현재는 2번 출구 쪽 엘리베이터가 생겨서 리프트는 사라졌지만, 2번 출구 구조의 변경은 없었다. 혼잡을 가중시키던 리프트만 사라졌다.

오랫동안 1번 출구와 2번 출구만 있다가 2019년 3월에 3번 출구가 신설되었다. 이 출구는 3번 출구와 같이 개통된 상가(더 스카이밸리 2차)로 직결되어 빌딩을 거쳐 나가야 하는 구조이다.[5]

2014년 4월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고, 실제 완공은 6월에 되었는데 독산역 스크린도어 정비업체 직원 사망사고로 한 달간 공사가 중단되어 늦어졌다 동년 10월부터 광명시민들과 독산하이츠아파트 주민들의 숙원인 2번 출구 방면 엘리베이터 공사가 시작됐고 이듬해 7월 완공됐다. 그러나 엘리베이터가 도로와 인접해있지 않고 승강장 깊숙한 곳에 박혀있기 때문에 울타리를 쳐서 승강장 안에 통로를 만드는 식으로 해결했다. 원래는 인근 토지를 매입하고 지으려 했으나 토지 주인이 거부하여 이렇게 지어졌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승강장의 5할은 면적이 반토막났고, 중간마다 박혀있는 기둥과 맞물려 꽤 혼잡해졌다.

예전에는 가산디지털단지역 산하 대매소였지만, 2010년에 배치간이역으로 승격했다.

방음벽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KTX나 화물차가 지나갈 때마다 굉음이 들린다.

승강장과 횡단보도가 유리벽으로 막혀 있지 않아 무임승차의 위험이 있다. 또한 기찻길 옆에 시멘트 벽돌로 대충 벽을 쌓아놓은 수준이라 안전 사고의 위험도 상당히 높다.

안내방송이 TTS로 개정되면서 이 역은 "내리실 문"이 아닌 "내릴 문"으로 방송한다. 하지만 2차 개정으로 원래대로 되돌아왔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부선 구간에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역(가산디지털단지, 독산, 금천구청) 중 급행 열차 서울발, 청량리발이 모두 정차하지 않는 유일한 역이다.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의 가까운 지역은 역 남쪽에 독산동 중앙하이츠 단지와 독산역 롯데캐슬 등의 주거시설이 위치한다.

2, 3번 출구로 나간 다음 금천교를 통해 안양천을 건너면 광명시 하안동 시가지가 나온다. 하안주공아파트단지가 2만 4천여 가구 규모로 위치하고 있으며 이들 시설이 본 역의 승하차량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하안동 주민들이 많이 이용하다 보니 독산역에는 광명하안도서관이 관리하는 무인도서 반납함이 설치되어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여긴 행정구역상 서울시 금천구이지만 협소하다는 이유로 금천구립도서관의 반납함과 스마트도서관 설치를 퇴짜 맞았다.

2번 출구에서 금천교를 건너지 않고 북쪽의 가산디지털1로 방향에는 한국 디지털 산업 3단지(별칭 가산디지털 3단지, 옛명칭 한국 수출입산업 3단지)가 있다. 역이 한국 디지털 산업 3단지 남쪽 끝자락에 위치해 있어 공장과 공장에 딸린 부속 식당들도 꽤 있다. 매연은 나지 않는다. 출판회사인 교학사가 400m 거리에 있다. 노후화된 공장은 상당수가 세련된 건물로 재건축되었고, 건물에는 식당과 같은 카페와 같은 상가 업종도 많이 들어서 있어서 승하차량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주고객 층이 이 건물의 직장인들이다 보니 이러한 상가는 공휴일에는 심지어 편의점조차도 문을 닫는 곳도 많아서 가산디지털1로 자체가 유령도시처럼 변하기도 한다. 한국수출입산업3단지는 가산디지털단지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공식 명칭은 아니고 별칭이다. KBS 2TV 다큐멘터리 3일에서도 공식 명칭이 (당시에는 서울 디지털산업단지로 개칭하기 전이라서) 옛 명칭인 한국 수출입 산업단지라고 소개됐었고 단지를 관리하는 한국산업공단에도 "한국 디지털 산업단지"로 되어 있다.

1번 출구 방면에서 높은 언덕 하나만 건너면 독산 우시장이 있다. 고기와 관련해서는 구하지 못하는 부위가 없으며, 각종 고기를 도매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지만 기본 판매 단위가 소매용이 아니고 생각만큼 가격이 그리 관대하지 않다 보니 실질적으로는 인근의 재래시장(현대시장)이 고기 가격은 더 싸다. 우시장 특유의 악취도 있다 보니 걸어서 시흥대로로 나가기에도 지장이 있는데, 이런 이유로 도보보다는 마을버스 금천06, 금천08번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현재는 우시장 건물의 규모가 많이 줄었고 악취도 그 여파로 많이 없어진지라 도보로 나가도 큰 지장이 없어졌다.

상술한 시흥대로로 진출하면 본 역 주변 분위기와는 다른 다양한 상업시설이 위치하고 있다. 금천우체국, LG베스트샵, 홈플러스 금천점, 롯데마트 맥스 금천점 등의 상업시설이 있다. 이곳은 신안산선 독산 정거장이 들어설 위치이다. 이 시흥대로의 북쪽으로 한참 가면 2호선의 구로디지털단지역 방향이라 이곳은 독산역의 역세권이기도 하지만, 2호선에서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방향으로 빠르게 진출하려는 사람들은 배차 간격이 상대적으로 긴 독산역으로 간다기보단 버스를 통해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가는 것을 선호하기도 한다.

역의 도로명 주소가 벚꽃로인데, 실제로 가산디지털단지역부터 금천구청역까지 벚꽃길이 펼쳐져 있어 이 되면 벚꽃이 만발한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1_icon.svg 독산역 출구 정보
1두산초등학교
2구로세관 방면
안양천(하안동 방면)
연서초등학교
3독산유수지체육공원
안양천(하안동 방면)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8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98년 13,483명 [6]
1999년 16,888명
2000년 17,386명 비고
2001년 22,874명
2002년 26,011명
2003년 30,122명
2004년 23,707명 [7]
2005년 24,395명
2006년 23,312명
2007년 26,302명
2008년 28,335명
2009년 29,143명 }}}}}}}}}
2010년 29,837명
2011년 30,464명
2012년 30,889명
2013년 31,354명
2014년 31,241명
2015년 31,752명
2016년 32,447명
2017년 32,740명
2018년 32,621명
2019년 33,135명
2020년 26,310명
2021년 27,867명
2022년 31,343명
2023년 32,557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독산역은 1998년 개업 후 꾸준히 승객이 늘어나고 있다. 그 이유는 독산역의 배후인 광명시 하안동의 하안지구가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고 서울디지털산업단지가 독산역 코앞까지 확장되었기 때문이다. 독산역 2번 출구 지역도 원래는 한국디지털산업단지에 속하지만 같은 산업단지에 속한 가산디지털단지역, 구로디지털단지역 등의 다른 역들과 다르게 상대적으로 천천히 재건축되어 한국수출입산업단지 시절에도 있던 공단들이 다소 남아있다. 지하철이 없지만 인구 밀도가 높은 이들 지역에서는 사대문안을 포함한 강북권으로 갈 때는 주로 1호선을, 강남권을 갈 때는 7호선을 이용하는 경우가 보통인데, 서울 주요 지역으로 꽂아주는 버스 노선들이 속속 들어섰음에도 하안동의 독산역 의존도는 여전히 높은 편이다. 게다가 가산디지털단지의 과포화로 인해 서울디지털산업단지 등 주요 업무 시설이 독산역 2번 출구 일대까지 확장되어 출근 시간에 독산역에서 내리는 통근 수요가 증가한 것도, 독산역이 하루 3만 명 이상 꾸준한 이용객들이 찾는 이유가 된다. 퇴근시간대 상행 방면은 가산디지털단지역 이전에 독산역부터 승객으로 가득 차는 현상이 비일비재하다. 직접적인 원인은 퇴근 시간대에 지나는 급행열차 때문이다. 급행열차는 독산역에 정차하지 않고, 선로를 같이 쓰기 때문에 급행열차가 지나갈 때에는 배차 간격이 배로 늘어나고 경부선 자체 배차 간격도 긴 편이라 거진 20분은 기다려야 한다. 그쯤이면 독산역 승강장은 터져나갈 수밖에 없다.

독산역은 2023년 기준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모든 급행열차가 통과하는 역 중 가장 승하차수가 많다.[8] 1호선의 경부/장항선 구간(구로역~신창역)의 웬만한 급행 정차역들보다 승하차수가 더 많은데, 구로~신창 구간에서 독산역보다 승하차량이 더 많은 역은 구로역, 가산디지털단지역, 안양역, 금정역, 수원역 5개뿐이다.

5. 승강장

파일:attachment/Doksan2.jpg
독산역 승강장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가산디지털단지
1 2
금천구청
1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구로·영등포·청량리·광운대 방면
2 광명·서동탄·천안·신창 방면
2022년 8월 중순부터 11월까지 스크린도어 개량공사에 들어갔다.

6. 연계 교통

승차지 노선 경유지
독산역 27 화영운수 - 광명사거리역 - 철산역 - 하안주공5단지 - 가림초등학교 - 하안사거리 - 진성고등학교 - 독산역 - 구로세관
75 고강공영차고지 - 고강동 - 원종사거리 - 성곡동주민센터 - 부천종합운동장 - 춘의사거리 - 원미구청 - 부천역(북부) - 시민회관 - 중동역 - 성주초교 - 소림사 - 부천역(남부) - 대보시장 - 괴안동 - 역곡역 - 유한대학교 - 오류동 - 개봉역 - 남부순환로 - 가산디지털단지역 - 독산역 - 하안사거리 - 광명시보건소 - 소하3단지 - 광명시여성회관 - KTX광명역
102 독산역 - 하안사거리 - 아파트형공장 - 광명테크노파크 - 기아자동차 - 롯데아울렛광명점 - 코스트코광명점 - KTX광명역
금천01 독산역 - (← 구.두산파출소 ←) - 금천현대아파트 - 금천구종합청사.금천구청역 - 시흥사거리.대명시장 - 은행나무 - 범일운수종점 - 시흥2동 주민센터.동일여고 - (적색 : 벽산아파트102동 → 벽산아파트113동 → 동일여고 → 이후 역순 / 청색 : 벽산아파트 5단지입구 → 호압사입구 → 벽산1단지 입구 → 동일여고 → 이후 역순 / )
금천05 독산한신코아.한신아파트 - 안천초.중 - 하안주공13단지 - 독산근린공원 - 독산역 - 교학사 - 대륭테크노타운 - 디지털3단지사거리 → STXV타워 → 가산디지털단지역 → 영창실업 → 벽산디지털밸리2차 → 벽산디지털밸리6차 → 가산디지털단지역 → 월드벤처센터 → 디지털3단지사거리 → 이후 역순
금천06 시흥1동공영주차장.금천노인종합복지관 - 홈플러스 시흥점 - 시흥사거리 - 무지개아파트 - 금천구청역 - 독산역 - 독산현대아파트 - 진도3차아파트 - 유창슈퍼 - 진도2차아파트 - 청광아파트 - 두산어린이공원 - 독산사거리 - 구로디지털단지역환승센터 → 이후 역순
금천07 시흥1동공영주차장.금천노인종합복지관 - 홈플러스 시흥점 - 시흥사거리 - 무지개아파트 - 금천구청역 - 독산역 - 제일모직아울렛 → 벽산디지털밸리 → 마리오아울렛 → 국민연금관리공단앞 → 한신IT타워 → 삼성인쇄.TSC → 이후 역순
금천08 난곡중 - 문성중 - 금천구민문화체육센터 - 구립독산도서관 - 산기슭공원 - 삼익.금강아파트 - 남부여성발전센터 - 독산동정훈단지 - 독산초교 - 금천우체국.홈플러스 금천점 - 빅마켓 - 시흥모터스 - 독산역 - 금천현대아파트 → 롯데캐슬1차정문.해가든아파트 → 롯데캐슬동문 → 금천구종합청사.금천구청역 → 롯데캐슬1차서문.해가든아파트 → 이후 역순
금천01-1 가산디지털단지역 - LG전자.W몰 - 삼성인쇄.TSC - 독산역 - 금천현대 - 롯데캐슬1차서문.해가든아파트 - 금천구종합청사.금천구청역 - 시흥사거리.대명시장 - 은행나무입구사거리 - 시흥동은행나무 - 우방아파트.범일운수종점 - 시흥2동 주민센터 .동일여고 → 벽산아파트 5단지입구 → 호압사입구 → 벽산1단지 입구 → 동일여고 → 이후 역순

7. 사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8. 기타

  • 역 안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이용객이 많다. 그 이유로 안내 사인이 다소 보기 어려운 위치에 달려 있다는 의견이 있다. 출구 안내사인은 셔터에 가려져 보기 힘들고 플랫폼 방향안내 사인은 계단 직전에 있어 보기 힘들다.
  • 이 역 종합 안내도에 환승 가능한 버스노선을 게시해 놨는데 오류가 많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5634번이 게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이용하기가 매우 힘들다. 5535번, 5630번도 마찬가지이다. 약 800미터를 걸어가야 이용할 수 있는데, 서울 면허 노선들은 금천교를 타고 광명으로 넘어가는데 금천교 구조상 경부선 동쪽에서 바로 안양천 서쪽으로 가서 이 역 근처에서 정차하지 못하고 지나가기 때문이다. 사실 가산디지털단지 구조상 동-서 이동은 지장이 많아서 디지털로의 수출의다리 이용 노선들도 동일한 문제를 겪는다. 이들 노선 중 가디단역 진입을 위해 ㄹ자 굴곡이 발생하거나(652, 571) 가디단역을 통과(503, 5536)하는 등의 문제가 본 역과 비슷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 금천교를 통한 동-서 방향의(수출입단지↔시흥대로 배후지역) 이동이 힘들다 보니 이에 비해 이동이 수월한 수출의다리 부근으로 교통량이 몰리면서 정체되는 문제가 있다. 장기적으로 금천구에서는 경부선 동-서간 이동을 편하게 하기 위하여, 금천교 구조는 못 고치고 대신 금천08이 지나는 금천교 위쪽 두산길 쪽에 2021년을 목표로 지하차도를 공사할 계획이 있었다. 다만 교학사 측에서 명도소송을 걸어 계획이 어그러져서 2021년 개통은 불가능했다.
  • 문화방송예능 프로그램무한도전이 여기서 전철과 100m 달리기 시합을 두 차례 했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처음에는 무모한 도전 시절(실패), 두 번째는 독립 편성 직후인 2006년 추석 특집(하하가 간발의 차이로 성공)에 했다. 첫 시합에서는 마지막 주자들이었던 유재석과 게스트 이켠이 크게 활약했지만 두 명 모두 간발의 차이로 실패했다. 진행자인 유재석에 말에 따르면 이 구간은 오르막인데다가 과속방지턱이 2개나 있다고 한다. 이 시합은 1990년대SBS도전! 불가능은 없다에서 먼저 나왔는데, 당시에는 석수역 앞에서 촬영을 하였다.
  • 웹툰 1호선에서 주인공이 살고 있는 자취방이 이 역이 근처이며 이 역에서 여친이 근처에 살고 있는 망월사역까지 도보로 걸어간다. 약 38km이며, 도보 시간은 약 8시간 정도 된다.
  • 광운대역 방면 완행은 이 역부터 용산역까지 왼쪽 문이 열린다.[10] 예외는 광명-영등포 셔틀의 신도림역뿐이다. 이는 경부선에서 구로역을 들어오는 열차들이 모두 왼쪽 문을 열기 때문이다.

9.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여객영업 X
}}}}}}}}}

[1] 「경수전철 독산역 신설검토」, 매일경제, 1992-03-09[2] 「서울 하안역 불법 착공」, 매일경제, 1997-03-18[3] 「가리봉-시흥驛사이「독산驛」신설 97년」, 동아일보, 1995-06-11[4]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5]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6] 개통일인 1월 7일부터 12월 31일까지 35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7]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8] 각역정차 구간에만 정차하고 실질적인 급행의 의미가 있는 구간에서는 모든 급행열차가 통과하는 역으로 범위로 넓혀도 결과는 같다.[9] 「만취 대학생 전동차 충격 숨져」, 파이낸셜뉴스, 2009-02-21[10] 참고로 경원선 방면 완행은 신도림역부터 용산역까지 왼쪽 문이 열린다. 구로역에서는 오른쪽 문이 열리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