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1:31:10

연천역

연천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시종착
인천 방면
전 곡
8.7 ㎞ →
역명 표기
경원선 연천
Yeoncheon
漣川 / 涟川 / [ruby(漣川, ruby=ヨンチョン)]
1호선
주소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연천로 275 (차탄리 34-567)
관리역 등급
보통역
(동두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운영 기관
경원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원선 1912년 7월 25일[1]
1호선 2023년 12월 16일
무궁화호 2024년 말 예정
승강장 구조
2면 7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경원선
연 천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역 출구 정보5. 승강장6. 전철시간표7. 일평균 이용객8. 연계 교통
8.1. 시내버스8.2. 연천공영버스터미널8.3. 시티투어 버스
9. 기타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연천역.jpg
구 역사 (1958년 준공)[2]
파일:연천역사.jpg
신 역사 (2023년 준공)[3]
파일:연천역 경원선.jpg
1호선·일반열차 맞이방
역 안내도 크게 보기
한때 소련이 관리했던 38선 이북의 역사
연천역은 1914년 경원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1945년 광복과 함께 38선이 그어지며 남한에 미군이, 북한에 소련군이 들어왔을 당시 소련이 관리하던 38선 이북지역에 포함되었던 역사이다. 1951년 2차 수복으로 연천지역을 탈환하여 남한의 역사로 영업을 다시 시작한 연천역. 군사적 목적이 중요했던 역사답게 1948년 북한이 군용물자를 수송하던 화물용 승강장이 남아있다고 한다. 1958년 세워진 역사가 최근까지 개보수 공사를 통해 이용되고 있다. 역사 외벽에 증기기관차의 벽화와 또 실제 증기기관차의 모습을 재현한 모형이 설치되어 있어 색다른 즐거움을 준다. 경원선 복선전철화로 반세기 만에 새롭게 들어서게 될 연천역은 고인돌 문명지 연천의 상징성을 담아 고인돌을 형상화한 스마트 철도역사로 건설될 예정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1호선 100-3번.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연천로 275 (차탄리) 소재.

2. 역 정보

연천읍 중심지에 위치한 역이다. 신 역사는 연천에 다수 분포된 고인돌을 형상화한 것이다. # #2

2.1. 일반열차

1912년 7월 25일경원선의정부역부터 이 역까지 연장되면서 개통하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이 역이 의정부(양주군)와 철원을 잇는 거점역으로 비중이 있는 역이었다. 1945년 남북분단 바로 뒤에는 북한 땅이 되면서 북쪽 경원선의 종점이 되어 6.25 전쟁 준비를 위한 전초기지 역할을 했다. 지금은 철거된 화물홈이 북한이 남침 준비를 위해 만든 대표 흔적이었지만, 전쟁 결과 이 역을 포함한 연천군 대부분을 수복하면서 연천역도 소속이 뒤바뀌었다.

대한민국 국군철원 - 평강 경계 근처까지 북진하면서 이 역은 다시 중간역으로 부활하였어도 그 역할은 매우 축소되었다. 연천군 미수복지구인 삭녕면, 서남면(1914년 이전 삭녕군) 및 땅 거의 대부분이 비무장지대로 묶인 중면이 주 수요처였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와 북한 점령기에는 연천군 전 지역을 잇는 교통의 요지였지만, 남한 땅이 되고 연천군 서북부가 휴전선으로 잘리면서 연천읍 주민들 외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역이 되었다. 전방 지역이 된 연천군은 중심지가 전곡읍으로 넘어간 데다가, 경원선이 단선이고 여객열차의 긴 배차간격으로 인해서 연천역을 비롯한 의정부역 이북 역들은 비둘기호, 통일호와 통근열차만 지나는 평범한 역으로 전락했다.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44호 45호 46호
나주 노안성당 연천역 급수탑 도계역 급수탑
파일:연천역급수탑1.png
파일:연천역 급수탑_1.jpg

급수탑은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쓰인 시설로 2003년 1월 28일 등록문화재 45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급수정(給水井)은 6.25 전쟁 당시의 총탄 자국이 남아있어 급박하던 상황을 잘 전해준다. 역사 신축공사 과정에서 철거될 뻔 했으나 보존이 결정됐기에[4],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장된 뒤에도 역사와 급수탑, 급수정은 볼 수 있다.

화물홈이 2개 있었는데, 역사 맞은편에 자리하던 긴 화물홈은 북한에서 만든 것이다. 1945년에 한반도가 38도선을 경계로 분단되자 연천역은 북한령에 속했는데, 이때 전차 등의 군사 화물 취급을 목적으로 신설한 것이다. 그러나 2018년 7월에 전철화 및 새 역사 공사 과정에서 철거되었다.

2018년 7월 2일부터 12월 1일까지 신망리역부터 대광리역 사이 공사로 인해서 열차 운행이 동두천 ~ 백마고지에서 동두천 ~ 연천으로 바뀌었다. 연천역부터 백마고지역까지는 무료 연계 버스로 대체되었다. 2018년 12월 2일부터 운행이 재개되었다.

2019년 4월 1일부터 2023년 12월 15일 전철 개통 전까지 경원선 동두천 ~ 연천 구간 전철화 공사로 인하여 통근열차 운행이 임시 중단되었고 그 대신 통근열차가 운행하는 구간, 요금 그대로 대체 운송 버스가 운행했다. 현재는 더 이상 일반열차가 들어오지 않으며, 수도권 전철만 운행한다.

2.2. 수도권 전철 1호선

동두천 ~ 연천 간 전철화를 위해서 2011년에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을 착수한 뒤에 전곡역 광장에서 기공식을 하고, 2014년 10월 31일에 보상과 함께 착공하였다.[5] 소요산역부터 연천역까지 17.8㎞ 구간을 단선으로 연결했다. 최대 속력 150㎞/h를 낼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하여 굴곡이 심한 이전 노선을 일부 바꾸는 동시에 한탄강역은 폐역한다.

토지 보상 문제로 일부 구간이 성토에서 교량으로 바뀌면서 개통 예정일이 2019년 12월에서 2022년 6월로 2년 6개월 늦춰졌다가[6], 시간 관리가 잘 되면서 2021년 11월로 앞당겨졌다. 그러나 공사 지연으로 인해 계속 연기되다가 결국 2023년 12월 16일에 1호선 연장 개통으로 소요산역을 대신하여 1호선의 새로운 시·종착역이 되었다.

타당성 분석에서 복선전철은 B/C 값이 0.37에 그쳤으나, 단선전철은 B/C 값이 0.85로 나왔기 때문에[7] 복선 노반을 확보한 상태로 단선전철로 개통했으며, 남북통일 등으로 경제성이 확보되면 복선화할 것이다.

대한민국 최북단 전철역이 되는 동시에 전곡역과 함께 북위 38도 이북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역이 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최북단 역은 제진역이며, 실질 영업역 중 최북단 역은 백마고지역이다. 또한 경기도의 군 3개(연천군, 가평군, 양평군)에 모두 전철이 들어오게 되었다.[8] 각각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다.

이 역과 전곡역 사이 거리는 8.7㎞로, 수도권 전철 전체에서 3번째로 역 간 거리가 길다.[9] 역 간 소요 시간은 7분 30초로 공항철도의 영종~청라국제도시 구간에 이어 2번째로 길다.

전철 개통 이후에도 연천역 이북 구간은 기존과 동일한 비전철 단선 구간으로 유지되며, CDC 디젤동차의 내구연한이 만료되어 2024년 말부터 무궁화호 열차가 운행될 예정이다. 관련 기사 그리고 연천~신탄리 구간에 한해 2024년 6월까지만 무료 대체운송버스를 운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경원선 대체운송버스(2024년) 문서 참고.[주의]

당초 광운대역까지만 운행하는 6량 셔틀 열차가 운행할 예정이었으나 연천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로 인해 최종적으로는 서울/인천행 10량 직통 열차가 40분~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도록 결정되었다.[11] 서울/인천행 열차가 평일, 토요일, 공휴일 모두 15회 들어온다.

3. 역 주변 정보

연천군의 중심지이다. 연천역에서 100m 떨어진 곳에 연천읍행정복지센터가 있으며, 반경 1㎞ 안에 연천군청, 연천군의회, 연천경찰서, 연천우체국, 의정부지방법원 연천군법원(연천등기소), 연천초등학교, 연천중학교, 연천고등학교, 연천종합운동장, 연천119안전센터가 있다. 연천읍 건너 구 다락대 포병사격장 터에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OC실증연구센터(+기상도로재현실증센터)가 들어서 있는데, 향후 연천역이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기관으로 제1금융권은 NH농협은행 연천군청출장소 1곳이 있으며 이외의 기관은 연천농협을 비롯하여 제2금융권이다.

이 역과 전곡역 사이(역 간 거리 8.7㎞)에 있는 통현리와 은대리에도 연천군에서 역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통현리는 택지개발 예정지이고, 은대리에는 연천소방서 및 많은 군부대가 있다.

4. 역 출구 정보

<colbgcolor=#0052a4><colcolor=#fff> 1번 차탄1리노인회관
2번 망곡산체육공원
3번 연천우체국
차탄1리마을회관
연천읍행정복지센터
4번 연천파출소
연천119안전센터
차탄3리마을회관
연천경찰서

5. 승강장

파일:신연천역.jpg
승강장
신망리 종착역
- - 2 1
종착역 전곡
1·2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 광운대·구로·인천 방면[12]
-·- 경원선 무궁화호 백마고지 방면

이전 역사에서 백마고지역행 열차는 동두천역행 열차와 교행하기 위해서 기다렸다가 출발했다.

일반열차 승강장의 경우 추후에 운행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하여 통근열차 기준 3량짜리에 저상홈으로 건설되었다. 하지만 CDC 디젤동차가 2023년 말 모두 폐차되어 현재로서는 미사용으로 남고있다. 동두천역보다 다소 짧지만 승강장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부지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추후에 장성발 군 수송열차도 이 역까지 운행할 가능성이 높다. 일반열차 승강장의 모습은 높은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6. 전철시간표

연천역 전철시간표 (2023년 12월 16일 기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평일 (인천방면) <colbgcolor=#c9ffc3> 시간 주말,공휴일
(인천방면)
28 (인천) 05 27 (인천)
22(인천) 58(부평) 06 28 (구로)
36 (광운대) 07 32 (인천)
34 (인천) 08 35 (인천)
32 (인천) 09 38 (인천)
30 (인천) 10 33 (인천)
36 (광운대) 11 30 (인천)
36 (인천) 12 34 (인천)
43 (인천) 13 40 (인천)
44 (인천) 14 36 (인천)
41 (인천) 15 36 (광운대)
36 (인천) 16 33 (인천)
34 (인천) 17 35 (인천)
31 (인천) 18 36 (인천)
30 (인천) 19 30 (인천)
11(구로) 41(인천) 20 32 (인천)
41 (인천) 21 30 (인천)
37 (광운대) 22 37 (광운대)
29 (광운대) 23 30 (광운대)
}}}||

7.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80c379> 연도 ||
[[통근열차(한국의 열차등급)|
통근열차
]]
||<bgcolor=#80c379>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1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2년 915명 비고
2003년 582명
2004년 1,018명
2005년 1,231명
2006년 1,380명
2007년 571명
2008년 612명
2009년 477명
2010년 342명
2011년 347명
2012년 263명
2013년 352명
2014년 227명
2015년 173명
2016년 169명
2017년 161명
2018년 433명
2019년 121명 [13] }}}}}}}}}
연도
[[평화생명관광열차|
DMZ−Train
]]
비고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14년~201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14년[14] 10명 비고
2015년 4명
2016년 7명
2017년 10명
2018년 19명
2019년 5명 }}}}}}}}}
연도 파일:Seoulmetro1_icon.svg 비고
2023년 3,942명 [15]
2024년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의정부까지 통근열차가 다니던 시절에는 하루 1,000명 정도 이용하던 규모 있는 역이었으나 점점 감소해 100명대까지 떨어진 바 있다. 수도권 전철이 들어왔으니 이 수요를 회복하고, 그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의정부만이 아닌 서울까지도 한 번에 가는 데다가 환승 할인도 적용되기 때문. 다만 2023년의 자료는 단 16일 만의 통계인데다 개통 직후 시승객 등의 수요가 몰려 신뢰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전철 경춘선 춘천역과 유사한 상황. 개통 첫날 이용객은 12,910명으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과 비슷한 수요를 보여주었다.

한편 군인들은 출발지인 연천에서 착석하면 목적지인 서울역, 용산역이든 서울 시내든 목적지까지 편안히 쉬면서 갈 수 있어 삶의 질이 높아졌다는 평을 받는다. 그러나 군부대 근처의 택시기사들이 연천역과 전곡역으로 가는 것을 거부하고 무조건 20㎞ 이상 떨어진 소요산역으로 가야만 탑승을 허용하며, 이를 통해 군인들을 상대로 2만원이 훨씬 넘는 돈을 번다는 제보가 나왔다. #

7.1. 2023년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비율 1위 역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갤러리에서 노인 무임승차 비율을 전수조사한 자료가 올라왔다. 디시인사이드 실베에도 올라갔다. 관련 링크

해당 전수조사 자료에 따르면, 전반적인 노인 무임승차 비율은 전체 승하차량의 20% 수준이다.

가장 노인 무임승차 비율이 높은 노선은 의정부 경전철[16] > 우이신설경전철[17] > 용인경전철 에버라인[18] 순이었다.

반면 노인 무임승차 비율이 가장 낮은 노선은 인천국제공항철도[19] < 서울 지하철 2호선[20] < 신분당선[21] 순이다.

가장 노인 무임승차 비율이 높은 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천역[22]이며, 반대로 노인 무임승차 비율이 가장 낮은 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한양대역[23]이다.

다만 연천역의 경우, 2023년에 보름 동안만 운영한 점을 고려하면[24], 2024년에는 비율이 다소 내려갈 수 있다.

8. 연계 교통

8.1. 시내버스

연천역 연계버스 (43258.43259)
일반시내
맞춤형
임시운행
버스
연천역앞삼거리 (43656)
일반시내

연계하는 버스는 많지만 자주오는 버스는 39-2 밖에 없다.

8.2. 연천공영버스터미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연천공영버스터미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도보로 8분 거리에 위치한다.

8.3. 시티투어 버스


2024년 2월부터 연천군 주요 명소를 거치는 시티투어 버스 운행을 개시했다.

9. 기타

  • 연천역 이북 구간인 신망리 방면에 복선 전철 선로가 타절된 상태로 끊기고 그 옆에는 기존의 경원선 선로가 있다. 다만 현재까지도 신망리역 ~ 백마고지역 구간은 운행 중단이기 때문에 건널목 양 옆에 펜스를 설치한 상태다.
  • 이 역과 청산역 사이에 지나는 군부대가 여러 곳 있다. 전방 지역인 만큼 사진 및 영상 촬영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 이 역의 수도권 전철 개통 이후에도 일부 택시기사들의 횡포에 군인 장병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는 제보가 많다. 과거에는 군부대에서 외박, 휴가 등을 나갈 시 소요산역까지 장거리를 타고 가야 했는데, 육군훈련소 대신 전해드립니다에 투고된 제보에 의하면 연천역 개통이 된 이후에도 군부대에서 콜택시를 부를 시 연천역으로 가는 콜은 아예 받지 않거나 승차 거부를 일삼으며 소요산역까지의 이용을 강권한다는 것이다. MBC 보도 KBS 보도 참고로 연천역과 소요산역은 정거장 수로는 3개 구간이지만, 거리는 약 18㎞다.
  • 지번 주소가 연천읍 차탄리 34-567이다.

10.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원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abe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abe00>
파일:연천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Seoulmetro1_icon.svg 연천(100-3), 전곡(100-2), 청산(100-1)
대광리, 신망리, 신탄리
}}}}}}}}}



[1] 1945년 8월 15일 ~ 1950년 10월까지 북한 소속, 1950년 ~ 1954년까지 6.25 전쟁으로 인한 영업 중단[2] 현재 관광안내소로 전환[3] 개통 전인 2023년 9월 경 사진이다.[4] 「동두천~연천 복선전철의 역습」, 인천일보, 2019-12-10[5] 「경원선 동두천∼연천 전철 연장사업 기공식 열려」, 문화일보, 2014-11-03[6] 「경원선 전철 연장구간 토지 보상도 안 하고 공사 강행」, 연합뉴스, 2018-09-07[7] B/C 분석법(비용 - 편익 분석 기법)에서는 값이 1이면 비용과 편익이 동등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쉽게 말하자면 본전은 뽑는다는 이야기이다.[8] 이제 경기도에 도시철도가 없는 곳은 옥정포천선 추진 중인 포천시안성시밖에 없다.[9] 1위는 인천국제공항철도청라국제도시역~영종역(10.3㎞), 2위는 같은 1호선에 있는 평택역~성환역(9.4㎞).[주의] 2023년까지 운행한 대체운송버스와 달리 백마고지역 등 철원군 내에 운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거기에 가려면 환승 필수. 또한 2024년 시작한 해당 노선은 6월 중단, 이후 일반 유료 버스를 이용해야 한다.[11] 그래도 첫차와 막차는 광운대행이다.[12] 주로 1번 승강장에서 시·종착한다.[13] 통근열차 자료는 1월 1일부터 영업 마지막 날인 3월 31일까지의 총 90일간 집계를 반영한 것이며,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 자료를 반영하였다.[14] 평화생명관광열차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총 242일간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5] 개통일인 12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6] 노인 무임승차 비율 42.09%[17] 노인 무임승차 비율 35.62%[18] 노인 무임승차 비율 29.23%[19] 노인 무임승차 비율 8.54%[20] 노인 무임승차 비율 12.07%[21] 노인 무임승차 비율 15.62%[22] 노인 무임승차 비율 66.44%[23] 노인 무임승차 비율 4.33%[24] 그래서 그런지 전곡역, 청산역이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25] 시간표상 최소 소요 시간으로, 평일 기준으로 하루 3회 (연천발 9:32, 12:36, 18:34) 청량리역에서 하차 후 5분 뒤에 신창급행이 오는 시간대를 맞추면 3시간 52분~54분 정도 소요가 된다.[26] 서울~부산 고속버스의 편도 운행 시간과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