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9 09:33:12

동두천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84년에서 2006년까지 동두천역이었던 역에 대한 내용은 동두천중앙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동두천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eoulmetro1_icon.svg
소요산 방면
소요산
← 2.5 ㎞
1호선
(101)
인천 방면
보 산
1.6 ㎞ →
소요산 방면
소요산[1]
← 2.5 ㎞
[[동두천급행|1호선
경원선 급행
]]
인천 방면
동두천중앙
3.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대체운송버스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종착 경원선
대체운송버스
직행
백마고지 방면
소요산
2.5 ㎞ →
경원선
대체운송버스
완행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운행중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 방면
의정부
← 21.9 ㎞
경원선
DMZ-Train
백마고지 방면
소요산
2.5 ㎞ →
시종착 경원선
통근열차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Dongducheon
한자 東豆川
간체자 东豆川
가나 [ruby(東豆川, ruby=トンドゥチョン)]
주소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 2687
(동두천동 245-210)
관리역 등급
보통역 / 3급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동부지역관리단)
운영 기관
경원선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경원선 1912년 7월 25일
1호선 2006년 12월 15일
대체운송버스 2019년 4월 1일
역사 구조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3면 13선 3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용산 방면
보 산
← 1.6 ㎞
경원선
동두천
백마고지 방면
소요산
2.5 ㎞ →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4.2. 일반철도
5. 승강장6. 연계 교통
6.1. 평화로 상행 정류소 - 동두천역(16087)6.2. 평화로 하행 정류소 - 동두천역(16082)6.3. 2번 출구 정류소
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동두천역 스탬프.jpg
동두천역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아롱이와 다롱이를 형상화했으며, 철도동호인의 기증으로 매표소에 비치중이다.
다시 돌아온 동두천역
동두천역은 1912년 7월 25일 영업을 시작, 남북 분단으로 잠시 경원선 남한 구간의 종착역이었으며, 이후 경원선 복선전철화로 경원선 통근 열차의 시종착역으로 역할,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종착역이 되었다. 역명은 동두천시 탑동 동쪽에서 발원하여 강화천으로 유입되는 동두천과 동명의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동두천의 옛 이름은 가정자리. 그러나 경원선 개통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동쪽에 근원을 두고 냇물이 흐른다는 동두내, 동두천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 역사 위치가 새롭게 형성된 동두천 시가지와 거리가 멀고 새롭게 생긴 어수동역이 이용률이 증가하면서 1983년 어수동역에게 동두천역 이름을 양보하고 동안역으로 명칭을 변경한다. 이후 2006년 12월 동두천역이 수도권전철 1호선의 종착역이 되면서 열차 이용객들의 편의와 지역 인지도 향상을 위해 동두천역으로 환원되어, 잠시 동두천역의 이름을 썼던 어수동역은 동두천중앙역으로 바뀌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파일:동두천역.jpg
1번 출구 앞 광장
파일:동두천역 안내도(2차 개선).png
역 안내도 크게 보기

경원선의 기차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101번,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 2687 (동두천동)[2] 소재의 역이다.

2. 역 정보


파일:attachment/84832.jpg

파일:attachment/CIMG4802.jpg

경원선 개통 때에 열었다. 평범한 역이었으나 1945년 해방과 한반도 분단으로 인해 1953년까지 경원선 남한구간 최북단 역을 맡기도 했다. 북위 38도선 이남에 있는 초성리역은 한창 한국군이 북진하던 1950년 10월에, 소요산역은 1975년에 개설되었다.

동두천 시가지와는 거리가 멀고 '동'두천동과 '안'흥동 사이에 있다는 까닭으로 1984년동안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때에 '동두천역'은 현재의 동두천중앙역이다. 이용객이 별로 없었으며, 반대로 화물열차가 많이 섰다. 화물이 많았다는 점은 선로 수가 많았음을 뜻한다. 통일호 열차가 동안역에서 회차하던 까닭이다. 그랬다가 전철이 개통되면서 원래 이름으로 돌아갔다.

파일:attachment/200611280025_00.jpg
시종착역으로서 지역을 알리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경원선 전철은 이 역까지만 연장하려다가, 소요산역까지 가는 수요가 적지 않아서 연장한 것이다. 물론 지금도 이 역까지만 운행하는 열차가 있으며, 경원선 급행은 소요산역까지 가는 1편을 빼고 모두 이 역에서 종착한다.

전철개통과 함께 이름이 동두천역(구·동안역)으로 바뀌었고, 동두천역도 동두천중앙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미2사단 군부대를 잇는 매우 짧은 지선철도가 있다. 군용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부설되었으나 열차운행은 조금밖에 없다. 다른 미군기지 인입철도와는 달리 선로 자체가 주한미군 소속이다. 촬영해서는 안 된다. 철도 동호인들이 하도 왔다갔다 하는 바람에 기지 앞에 사진 촬영금지 표지판을 설치하였다. 동두천시 미군기지가 모두 철수하면 폐선된다.

경원선 막차시간대에 광운대역이나 구로역으로 안 간 전동차들이 소요산에서 종착한 뒤에 공차회송하여 인접주박선로로 들어가 주박하는 역이다. 총 세 편성의 주박이 가능하다. 소요산행 막차 두 편성과 광운대행 막차 한 편성(평일 기준 K977 열번) 앞의 한 편성이 아침에 소요산으로 공차 회송한 뒤에 소요산발 인천행과 동두천발 인천행으로 운행한다.

경원선 통근열차 시종착역이기도 했다. 원래는 의정부역이었으나, 1호선이 소요산역까지 연장되면서 이 역으로 바뀌었다. 통일호시절에도 일부열차가 이 (구·동안)역에서 시종착했다. 의정부역에서 7, 9, 15, 17시 45분에 출발하는 열차는 동안역에서 운행을 끝내는 열차였으며, 또한 동안역에서 5(평일에만), 8, 10, 16, 18시 23분에 출발하는 열차가 있었다. 2019년 4월 1일부터 경원선 동두천~연천구간 전철화공사로 인해 통근열차운행이 임시 중단되었다. 대신에 요금 그대로 대체운송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관리역 가운데 가장 북쪽에 있었다. 또한 여객취급하는 가장 북쪽에 있는 백마고지역도 이 역이 관리했다. 그러다가 이 역과 밑의 역들이 조직축소에 따라 의정부역 밑으로 들어가면서 지금은 타이틀을 내 놓았다. 민통선 안을 관리하는 역까지 포함하면 동해북부선 제진역을 관리하는 강릉역이다. 그래서 백마고지역은 강원본부가 아닌 서울본부 소속이다. 실질로 가장 북쪽에 있는 역은 제진역(강릉역 관리)이지만 민통선 안에 있고 선로가 북쪽으로만 이어져 있기 때문에 영업 중지 상태이다.

이남부터 의정부역 이북까지 고가 구간이 이어진다. 고가역은 보산역부터 가능역까지다.

향후 GTX C선을 동두천까지 연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겼으며, 제20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모두 덕정역~동두천역 연장을 공약으로 발표했다.[3]

육군훈련소나 자운대, 상무대 등 후반기교육기관에서 배출되는 신병들을 매주 목요일마다 전방지역까지 수송하는 군용열차가 이 역까지 들어온다. 2019년 3월 31일 이전까지는 전곡역까지 운행했으나 경원선 동두천 ~ 연천 간 신선이설 및 전철화공사로 인해서 이 역에서 종착한다. 그렇기 때문에 동두천, 연천, 철원지역 부대로 배치될 신병들이 더블백을 메고 잔뜩 내리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연천역까지 연장하면 동두천역 북쪽 구간부터 신선을 이용한다.

3. 역 주변 정보

인근에 끝없이 공장들이 있어서 화물취급비중이 크기 때문에, 선로가 많이 분기되어 있는 역이기도 하다.

2016년 4월에 창말에 있던 캠프캐슬(Camp Castle) 반환지에 동양대학교 북서울캠퍼스가 개교했으며 가장 가까운 역이다. 1번 출구로 하차하여 도보 5~10분 거리이다. 버스를 타도 좋다. 연천 방면 정차장(출구에서 내려서 왼쪽)(16-087)에서 아무 버스나 잡아서 타고 창말(동양대학교)(16-069)에 하차하면 된다. 그 외에는 동두천일반산업단지와 동두천시선거관리위원회가 인근에 있으며, 신한대학교 설립자인 강신경 목사가 설립한 또 다른 기관인 안흥교회와 신망애복지원, 신흥중학교, 신흥고등학교[4]가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bgcolor=#0052a4> 비고 ||
2006년 5,820명 [5]
2007년 6,289명
2008년 6,318명
2009년 6,313명
2010년 6,043명
2011년 5,462명
2012년 5,401명
2013년 5,907명
2014년 5,485명
2015년 5,191명
2016년 5,209명
2017년 5,153명
2018년 5,181명
2019년 5,191명
2020년 3,617명
2021년 3,855명
2022년 4,580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주요 이용객은 군인들이다. 동두천역 부근은 조금만 이동해도 각종 군부대가 넘쳐나는 곳이라 아침에는 휴가 나가는 군인으로, 오후에는 휴가 복귀하는 군인들이 매우 많다. 특히 제5보병사단제28보병사단 소속 군인들이 눈에 자주 띈다. 주로 연천군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지금은 없어진 CDC 디젤동차 통근열차로 대광리역, 신망리역에서 동두천역 까지 타고 와서 1호선으로 갈아탔기 때문에 서부전선에서 근무했던 전역자들에게 있어서는 여러가지 기분이 동시다발로 드는 역이다.
  • 첫 개통 당시보다 유일하게 현재 수요가 더 적은 역이다. 단 17일 치 통계인 2006년을 제외하고, 개통 첫해인 2007년에 6,289명으로 시작한 이후에 승객이 늘어나지 않고 2010년부터 꺾이기 시작하면서 지속적으로 이용객이 줄어 2017년 기준 하루에 5,153명이 찾는다. 10년 전에 비교하면 오히려 천 명 이상의 승객이 줄었다.
  • 이용객이 많지 않은 이유는 동두천 시민은 동두천중앙역이나 지행역 등에서 대부분 하차하기 때문에 여기까지 열차를 타고 온 경우에는 최종 목적지가 연천군이거나, 아니면 소요산 등산이 목적이라 소요산역까지 가기 때문이다. 주변에 고등학교나 공장, 아파트 등이 있기는 하지만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더 편하기 때문에 인근 주민들 정도만 이용하는 편이다. 승하차객의 상당수는 통근열차로 환승을 한다.
  • 이렇게 된 이유에는 이 역의 정문이 미군부대가 가로막고 있고, 역의 후문 쪽 절반은 공단이 차지하고 있어 역세권에 거의 개발되지 않은 것에서 기인한다. 개발제한으로 묶여 역의 수요 대부분을 3번 국도를 따라 올라가면 나오는 연천군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 역 아래에는 소요산역이 있어 연천에서 넘어오는 승객이 소요산역과 분산된다. 또한, 이 역에서 곧바로 통근열차를 갈아타는 사람이 2010년대 들면서 급격히 줄어든 것 또한 영향을 받았다.
  • 역에서 도보 10분 거리에 동양대학교 북서울캠퍼스가 2016년에 문을 열었지만, 정작 2016년과 2017년에는 전년도의 수요를 유지하는 수준에 그쳤다. 가파르게 감소하던 이용객이 보합세로 바뀐 것을 보면 개교 효과가 아예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영향력이 매우 미미했다.

4.2. 일반철도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80c379><bgcolor=#80c379> 연도 ||
[[평화생명관광열차|
DMZ−Train
]]
|| [[통근열차(한국의 열차등급)|
통근열차
]] ||<bgcolor=#80c379> 총합 ||<bgcolor=#80c379> 비고 ||
2002년 400명
2003년 389명
2004년 456명
2005년 401명
2006년 512명
2007년 3,807명
2008년 3,316명
2009년 2,815명
2010년 2,556명
2011년 2,547명 [A]
2012년 1,883명 [A]
2013년 2,330명
2014년 2명 1,602명 1,604명 [8]
2015년 1명 1,218명 1,219명
2016년 2명 1,126명 1,128명
2017년 5명 1,177명 1,182명
2018년 2명 987명 989명
2019년 8명 1,002명 1,010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5. 승강장

파일:동두천역 역명판.jpg
1호선 보산/서울역/인천 방면 역명판
소요산
6 5 4 3 2 1
보산
1·2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급행 의정부·광운대·구로·인천 방면
당역 종착[급행]
3·4 완행·급행 소요산 방면
당역 종착[급행]
5·6 경원선 DMZ-train
통근열차
의정부·청량리·서울 방면
연천·백마고지 방면

2017년 9월 이후로 2번, 3번 승강장의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며, 2020년 10월 1번, 4번 승강장에도 설치가 완료되어 정상 가동 중이다.

6. 연계 교통

동두천역
완행 소요산역, 전곡역, 연천역, 대광리역, 신탄리역, 백마고지역
직행 소요산역, 대광리역, 신탄리역, 백마고지역

36번(수유역-소요산역), 39번(도봉산역-연천TR), 39-2번(동두천역-신탄리역), 53-5번(덕정주공-전곡TR)이 상시로 운행하고, 그 외는 모두 일 운행횟수가 얼마 되지 않는다.

6.1. 평화로 상행 정류소 - 동두천역(16087)

평화로에서 동두천역 쪽으로 들어오는 방향에 위치한 정류소이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일반}}}
36(소요산역)
1(안말)(3회)
1-4(안말)(2회)
1-9(안말)(1회)
1-14(안말)(1회)
2-6(안말)(2회)
50-5(안말)(1회)
50-6(안말)(1회)
맞춤형
주말91-3(소요산)(3회)
  • 연천 방면
    • 전곡읍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800ff; font-size: .8em"
시외}}}
3300(연천TR)(14회)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일반}}}
53-5(전곡TR)
새벽53(전곡TR)
새벽53-3(전곡TR)
새벽53-12(전곡TR)
  • 연천읍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일반}}}
39(연천TR)
심야33(연천역)(1회)
심야33-1(연천역)(3회)
  • 신서면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일반}}}
39-2(고대산)

* 포천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일반}}}
57-1(포천시청)(7회)

  • 종착 노선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일반}}}
39-2
심야33
심야33-1

6.2. 평화로 하행 정류소 - 동두천역(16082)

동두천역에서 평화로 쪽으로 나가는 방향에 위치한 정류소이다.
  • 동두천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일반}}}
2-6(롯데마트)(1회)
포천57-1(송내주공)(7회)
맞춤형
주말91-3(터미널)(3회)
  • 양주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일반}}}
53-5(덕정주공)
야간53-8(덕정주공)
야간53-11(동두천TR)
  • 서울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bfff; font-size: .8em"
시외}}}
3300(수서역)(8회)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일반}}}
36(수유역)
39(도봉산역)

6.3. 2번 출구 정류소

주요 노선들이 통과하는 평화로와 반대편에 위치한 정류소이다. 배차가 매우 적다.
  • 상행 정류소 - 동두천역(16316)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일반}}}
1-6(신흥고교)(1회)
1-7(웃안흥)(1회)
1-8(안말)(1회)
52-4(웃안흥)(1회)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8em"
맞춤형}}}
평일90-1(웃안흥)(6회)
  • 하행 정류소 - 동두천역(16329)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일반}}}
1-6(구터미널)(1회)
1-7(구터미널)(1회)
52-4(구터미널)(1회)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8em"
맞춤형}}}
평일90-1(롯데마트)(6회)

7. 기타

최근에 교체되었으나 맞이방의 지도 노선도는 2016년 중반기 기준의 노선도가 상당 기간 방치되어 있었으며 승강장 지도 노선도 또한 먼지가 많이 쌓여 있으며 심지어 아크릴이 깨져 있는 등 전반적으로 노선도의 관리 상태가 매우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 - - - - - - - - - - - - - - - - - - - - - - -
서울 지하철 1호선 - - - - - - - - -
경인선 - - - - - - - - - - - - - - - - - - - -
경부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천안직결선 -
장항선 - - - - - - -
병점기지선 -
[[경부고속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


[1] 평일 아침 2회만 인천발 소요산행 급행 열차로 운행한다.[2] 동두천동 245-210[3] 「"GTX-C 노선 동두천 연장"...양강 후보 공약」, LG헬로비전, 2022-01-25[4] 2015년도에 창단된 신흥고등학교 야구부가 있는 미션스쿨 고등학교이다.[5]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A] 초성천 철교 유실로 인한 운행 중단 기간 제외[A] [8] 평화생명관광열차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5월 4일부터 12월 31일까지 24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급행] 인천발 동두천급행은 1번 승강장으로 들어온 다음 제자리에서 행선지와 방향을 바꿔 인천 방면으로 발차한다.[급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