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5:22:00

종로3가역

종로3가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5_icon.svg
종로5가
← 0.9 ㎞
종 각
0.8 ㎞ →
1호선
경부선 급행 A

을지로4가
1.0 ㎞ →
역명 표기
1호선 종로3가
Jongno 3(sam)-ga
鍾路3(三)街 / 钟路三街 / [ruby(鍾路3街, ruby=チョンノサムガ)]
3호선
5호선 종로3가 (탑골공원)
Jongno 3(sam)-ga (Tapgol Park)
鍾路3(三)街 / 钟路三街 / [ruby(鍾路3街, ruby=チョンノサムガ)]
주소
1호선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지하129 (종로3가 10-5)
3호선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화문로 지하30 (묘동 20-5)
5호선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화문로11길 지하26 (돈의동 39-1)
소속 영업사업소
1호선 경복궁영업사업소 종로3가(1)역
3호선 경복궁영업사업소 종로3가(3)역
5호선 광화문영업사업소 종로3가(5)역
운영 기관
1호선 서울교통공사
3호선
5호선
개업일
1호선 1974년 8월 15일
3호선 1985년 10월 18일
5호선 1996년 12월 30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1호선)
지하 4층 (3호선)
지하 5층 (5호선) (심도: 31.3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호선)
복선 섬식 승강장 (3호선, 5호선)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1호선 출구3.2. 3호선 출구3.3. 5호선 출구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버스7. 사건 사고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 역 정보

파일:종로3가역 1호선.jpg 파일:종로3가역 3호선.jpg 파일:종로3가역 5호선.jpg
<rowcolor=#fff> 1호선 대합실 3호선 대합실 5호선 대합실
파일:종로3가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크게보기)
파일:3호선 종로3가역 옛 역명판.jpg
3호선 종로3가역 옛 역명판
(1985년)

1, 3, 5호선 모두 서울교통공사가 관리한다. 2017년 이전에는 1호선과 3호선은 서울메트로(구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5호선은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관리했다.

1호선, 3호선, 5호선 모두 왼쪽 문이 열린다. 1호선은 상대식 승강장에 좌측통행이고, 3, 5호선은 섬식 승강장에 우측통행이기 때문이다.

출입구는 총 16개이다. 번호로는 15번까지 있지만 2-1번 출입구가 있어 16개가 된다.

2.1. 수도권 전철 1호선

1호선 종로3가역은 1974년에 개통되었다.

1호선 종로3가역은 상대식 승강장이지만, 종각역, 종로5가역, 동대문역 등과 함께 쌍섬식 승강장으로 확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는 1호선 건설 당시 있었던 5호선 계획을 반영한 것이다. 1970년대 초반의 5호선 계획(연희동 - 서대문 - 종각 - (1호선과 선로를 공유함) - 신설동 - 신답 - 답십리 - 현 5호선)은 지금의 5호선과 노선이 비슷했는데 지금처럼 골목을 지나는 것이 아니라 1호선 종로 구간 양 옆에 선로를 부설해 2복선화하여 종로 구간을 1호선과 공용할 예정이었다. 그래서 1호선 종로3가역에는 양 옆에 빈 공간이 일부 있다. 그러나 5호선 계획을 구자춘 서울시장이 취소하고 현재의 1기 지하철 계획으로 변경함에 따라 이 공간이 제대로 쓰이는 일은 없었다. 이 공간에는 각종 통신 케이블과 파이프 등이 들어섰는데, 1호선 인천/신창 방면과 3호선 승강장 간 환승통로가 이 공간의 일부를 활용했다.

과거 1호선 종로3가역은 승강장 폭이 3.5m(벽면 구조물 포함시 4.4m)에 불과해 혼잡 문제가 심각했다. 여기에 5호선까지 계획되자 혼잡 문제가 심화될 것이 우려되었고, 결국 3호선 및 5호선 환승통로로 이어지는 계단 주변의 승강장 공간 약 80m의 승강장 폭을 3.5m에서 12m로 확장하여 1996년에 완공하였다. 이 공간 역시 옛 5호선을 대비한 빈 공간을 활용한 것이다.[A]

1호선 종로3가역 대합실은 8개 출입구(1~2번, 10~15번)와 연결되어 있다.

1호선 종로3가역은 개통된지 50년이 넘었지만 당시 시설들을 큰 개수 없이 사용하고 있어 낡은 티가 많이 난다.

2.2. 수도권 전철 3호선

1985년 개통 후 [age(1985-10-18)]년째 사용되고 있다.

3호선 종로3가역은 을지로3가역, 충무로역 등과 함께 비교적 늦은 시기에 위치가 확정되었다. 현재의 3호선이 구상될 때 초기에는 경복궁역에서 삼일대로를 경유한 후 동대입구역으로 향하는 노선안이 검토되었다가 기본계획에서는 세운상가 동편에 폭 30m짜리 도로를 만들고 그 아래로 지나가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이 때 3호선 종로3가역은 종묘 시민광장에 들어설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 계획이 막대한 보상비로 인해 백지화되면서 착공 직전에야 현재와 같이 돈화문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수정되어 종로3가역이 현 위치에 들어섰다.

을지로3가역, 충무로역 등과 함께 3호선의 핵심 환승역이다. 양재역까지 개통되었던 시절에는 3호선 전체에서 가장 이용률이 높은 역이었다.

5호선 개통을 맞아 이 역도 개조되었다. 본래 3호선 종로3가역 지하3층에는 각종 기계실과 승무원용 공간이 있었는데 이걸 치우고 1-5호선 환승통로로 개조했다.[A]

현재도 서울 강북권 최고의 이용률을 보이는 지하철역이지만 승강장은 폭이 7m에 불과해 좁다. 이는 다음 역인 3호선 을지로3가역부터 시작해서 2호선 시청역 등 도심 내 1기 지하철 노선들의 섬식 승강장 역들에서는 꽤나 자주 보이는 상황이다. 종로3가역 양방향 승강장 1면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단방향 승강장 1면보다도 좁을 정도였다(비교 사진).

이뿐만 아니라 상당한 환승객들로 출퇴근 시간엔 제대로 서는 것조차 힘든 상황이 일상이다. 실제로 스크린도어가 생기기 전에는 인파에 밀려 사람이 선로에 떨어지는 사고도 일어났었다. 이런 문제로 인해 5호선 개통 후 1990년대 중반부터 승강장 확장이 논의되었지만 공사 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역 이용이 불가능해지는 치명적인 단점 때문에 결국 사장되었다.

승강장이 좁은 이유는 3호선 승강장 위의 돈화문로가 좁기 때문이다. 돈화문로는 원래 1차로 일방통행 도로였는데, 공간이 부족한 상태에서 기둥을 박아야 했다. 공간이 나오지 않아 역 주변의 건물도 50채 이상 헐어야 했다. 3호선 구파발역 ~ 양재역 구간 건설 예산은 당시 돈으로 330억 원이 들었는데, 종로3가역 ~ 안국역 구간 건설비가 40억 원으로 가장 높았다. 종로3가역은 주변에 있는 건물들을 철거하지 않고는 건설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이 역은 을지로3가 방면으로 4퍼밀 하구배가 있다.

3호선 노선 중 유일하게 적벽돌 인테리어 디자인을 적용한 역사이다. 같은 노선인 남부터미널역도 적벽돌 디자인을 적용했지만 승강장 일부만 적용했다.

3호선 종로3가역 대합실은 3개 출입구(2-1번, 7번, 8번)와 연결되어 있다. 이 중 2-1번은 개통 당시에는 없었고 2004년에 피카리디플러스 귀금속도매상가와의 연결통로를 개설하면서 신설되었다. 이 출구는 국내 지하철 역사 중 처음으로 2-1번이라는 출구 번호를 사용한다. 출구 번호를 정하는 규칙대로 2-1번 출구에 3번으로 번호를 끼워 넣으면 기존에 위치하던 3~15번 출구는 전부 1씩 더해서 출구 번호가 바뀌는데 그렇게 되면 주변 상인들의 반발이 있기 때문에 기존 출구 번호는 그대로 유지하고 새로 생긴 출구에 '-1'번을 부여했다.

본래는 묘동 172번지 자리에도 출입구가 2개 있었는데, 이 출입구는 5호선 공사에 따라 철거되었다. 5호선 완공 이후로는 각각 5호선 대합실과 연결된 3번, 6번 출입구로 대체되었다. 옛날 출입구가 있던 자리에는 녹지가 들어서 있다.[A]

종각역의 급곡선(종각 드리프트)만큼은 아니지만 창경궁으로 가기 전에 있는 종로구 와룡동 쪽에 급곡선 구간이 있어서 속도를 줄인다.

2.3. 수도권 전철 5호선

1996년 개통으로 세 노선 중 가장 최근에 지어졌는데, 왕복 2차선 골목 아래에 지어졌음에도 세 노선 중 승강장이 가장 웅장하고 크지만(폭 13m) 출구 및 환승통로가 승강장 양 끝에 있어 승객이 몰리기 때문에 혼잡도가 높다.

오랫동안 5호선 승강장과 연결되는 엘리베이터가 없었다. 좁은 3호선 승강장에도 엘리베이터가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그러다가 2024년 8월에 5호선 승강장에도 엘리베이터를 설치했다.

5호선 종로3가역의 경우 지하 5층이라는 깊은 곳에 승강장이 있다. 5호선이 건설될 당시에는 이미 주요 도로들을 1기 지하철들이 선점해 골목, 건물 밑으로 공사를 진행할 수밖에 없었고, 1, 3호선과 입체교차하기 위해 지하 5층이라는 깊은 곳에 역이 건설될 수밖에 없었다.

승강장 양 끝에 두 개의 대합실이 있으며 두 공간은 분리되어 있다. 1, 3호선 환승통로 및 3, 6번 출입구로 이어지는 대합실은 하남검단산/마천 방면 끝에 있는 계단으로, 4, 5번 출입구(탑골공원)로 이어지는 대합실은 방화 방면 끝에 있는 계단으로 가야 한다. 이렇게 된 이유는 골목 때문에 얕은 깊이에서 대합실을 연결할 경우 지반 침하 위험이 높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도 환승통로 및 출구를 착각해 반대로 나가는 승객들이 많다.

역 이름은 종로3가이지만 5호선 종로3가역은 종로2가-종로3가 사이에 역이 있다. 1호선이 종로3가 사거리 밑에, 3호선이 종로3가 돈화문로 밑에 역이 있는 것과 달리 5호선은 종로2가까지 연결되어 있다. 앞에서 서술한 분리된 출구가 각각 2가, 3가 쪽에 있는데, 1, 3호선 환승통로 쪽 출구(하남검단산, 마천 방면 1-1)가 3, 6번 출구로 종로3가와 연결되고, 반대편에 있는 출구(방화 방면 1-1)가 4, 5번 출구로 종로2가로 갈 수 있다.

이 역에서 하남검단산/마천 방면 열차를 타면 반대편 선로와 잠깐 만난다.

광화문역 방면으로 완만한 S자 커브가 있는데, 지도로 보더라도 실감이 나지 않을 정도다.

5호선 역에는 탑골공원인사동 문화거리가 각각 병기역명과 부역명으로 지정되어 있다.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5호선을 운영할 때 부여되었고, 서울교통공사로 통합된 후에도 존치 중이었으나 현재 5호선 측 역명판이 서울남산체 폰트로 교체되어 '인사동 문화거리' 부역명은 표기하지 않는다.

2.4. 환승

도심의 3개 노선 환승역이라 이용객이 많은데, 이 역은 수도권 막장환승의 대표 역 중 하나다.
파일:종로3가역.jpg
역 주변 안내도

1호선 - 5호선 간 환승은 3호선 승강장 위 통로를 지나야 하며, 길이가 300m를 넘는다. 무빙워크가 있지만 아침, 저녁에 각 3시간씩만 작동한다. 1970년대 초반의 5호선 계획(연희동 - 서대문 - 종각 - (1호선과 선로를 공유함) - 신설동 - 신답 - 답십리 - 현 5호선)이 실현되었더라면 환승이 편해질 수도 있었지만, 5호선 계획이 이리저리 변경되면서 해당 공간은 다른 목적으로 활용되었고, 5호선은 종로구 골목을 이리저리 쑤시고 다니면서 환승이 어려워졌다.

5호선과 1호선 인천/신창 방면 간 환승은 이 역보다는 신길역에서 하는 것이 좋다. 두 경로 모두 종로3가 - 신길 구간 소요시간이 거의 같고(1호선 20분, 5호선 17분), 신길역동인천급행이 있다. 그리고 5호선 방화 방면에서 1호선 연천 방면으로 가는 경우 굳이 신길역에서 환승해 돌아올 승객은 없으므로 이 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좋다. 왕십리역 이동에서 출발할 때 도봉산역 이북이 목적지라면 군자역에서 7호선으로 갈아타고 도봉산역에서 1호선으로 갈아타거나 왕십리역에서 경의·중앙선을 통해 회기역으로 가는 게 빠르다. 노원구, 도봉구 쪽이 목적지라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4호선으로 갈아타서 창동역으로 가거나 왕십리역에서 경의·중앙선으로 갈아타서 회기역에서 1호선으로 갈아타면 된다.

1호선과 3호선은 이 역에서만 교차한다. 또한 3호선과 5호선의 경우도 이 역을 지나면 오금역에서야 다시 만나는데 오금역은 3호선 종착역에 5호선에서도 거의 끝인데다 마천지선 구간에 있어서 상일동/하남검단산행을 탄다면 이용 불가다. 따라서 1-3호선은 물론 3-5호선도 대다수 이 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다행히 1↔5를 제외하면 막장환승까지는 아니다. 1↔3호선은 무난한 편이며 1호선 하행선과의 환승은 개념환승에 가깝고, 3↔5호선 환승도 거리가 좀 길지만 막장환승까지는 아닌 무난한 환승이다.

3. 역 주변 정보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5_icon.svg 종로3가(탑골공원)역 출구 정보
1,2,2-1,3,6,7,8,9,10,11,12,13,14,15번 출구
1 탑골공원(정자)
종로2가
2 종로3가
2-1 돈의동
3 돈의동
종로3가
서울시도심권50플러스센터
6 숭실사이버대학교
창덕궁
떡박물관
운현궁
종로1,2,3,4가동주민센터
7 돈화문로
창덕궁
8 종묘
9 종로3가치안센터
10 봉익동
11 종묘광장공원
12 종로4가
의료기구상가
13 장사동
청계천 관수교
14 청계천 관수교
15 관수동
4,5번 출구
4 낙원동
5 인사동
탑골공원(후문)
한국공예문화진흥원
서울특별시 낙원생활문화지원센터
목인박물관
보니장신구박물관
서울노인복지센터
종로세무서

3.1. 1호선 출구

종로3가역 1호선 1번 출구로 나와 직진하면 1919년 3.1 운동이 시작된 탑골공원이 나온다. 탑골공원을 지나서 삼일대로가 있는 종로2가 교차로에 도착하면 북쪽 방향으로 낙원상가가 보인다. 낙원상가 방향에서 삼일대로 길 건너편 맞은편 골목길은 인사동길의 종로3가 방향 입구이다.

인사동길 자체는 3호선 안국역에서 더 가깝기는 하나, 인사동길을 갈 때 인사동길 전체를 둘러보고 더불어 북촌, 삼청동까지 둘러볼 계획이라면 종로3가역 1번 출구로 나와서 종로3가역 방향 입구로 시작하는 것이 동선면에서 좋다.

12번 출구로 나와서 종로5가 및 동대문 방향으로 걸어가다 보면 세운전자상가 북쪽 입구와 다시세운광장이 나온다.

13번 및 14번 출구로 나와서 남쪽 을지로 방향으로 가면 청계천이 나온다.

1호선 14/15번 출구 남쪽 을지로 방향의 종로구 관수동에는 서울극장이 있다.

보신각 타종 행사 시 종각역이 혼잡하다면 이 역의 15번 출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 역도 혼잡하지만 종각역보다는 혼잡도가 그나마 덜하다.

3.2. 3호선 출구

3호선 출구와 가까운 종묘 입구(종로구 묘동)에는 CGV 피카디리1958단성사가 있다. 종묘공원과 피카디리 극장 부근에 속칭 '박카스 아줌마'로 불리는 아줌마들이 있다. 이들이 간혹 붙잡는 경우도 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종묘 또한 이 역 인근의 훈정동에 있다. 종묘로 가려면 3호선의 출구로 나가는 것이 편하다. 3호선 출구와 종묘 사이에는 귀금속 도매상가가 몰려 있는 종로 귀금속 거리가 있다.

3.3. 5호선 출구

낙원상가는 5호선 5번 출구 이용 시 바로 보이는 건물로, 1968년에 완공된 건물로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주상 복합 건물이다. 낙원상가를 지나가면 인사동길 중간 지점으로 이어진다. 여기에서 남쪽으로 조금 가면 인사동 거리의 분위기와 한옥 양식을 반영하여 만들어진 스타벅스 인사점이 있다.

5번 출구에는 연예인 송해의 동상이 있다. 그 일대는 일명 '송해길'이라고 불린다. 송해는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줄곧 5번 출구 인근에 거주해왔고 이에 따라 2016년에 송해길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가 설립한 원로연예상록회도 출구 바로 앞 건물에 있다.

5호선 3번 출구부터 4번 출구까지 포장마차 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그리고 포장마차 거리 북쪽으로는 익선동 한옥마을이 있다. 익선동 한옥마을은 일제강점기 시절 지어진 개량한옥촌으로, 재개발이 무산되면서 이 일대에 특색있는 카페와 식당들이 들어오며 형성된 상권이다. 익선동은 젠트리피케이션을 막기 위한 노력도 활발히 병행되는 중이다.[6]

6번 출구 근처에는 돈의동 갈매기살 골목이 있다. 이쪽에는 고깃집이 많이 몰려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3_icon.svg || 파일:Seoulmetro5_icon.svg ||<bgcolor=#0052a4> 총합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94년 78,333명 35,884명 114,217명
1995년 71,090명 36,030명 107,120명
1996년 76,351명 30,955명 자료없음 107,306명
1997년 93,417명 16,217명 109,634명
1998년 93,086명 15,078명 108,164명
1999년 자료없음 자료없음 -
2000년 99,957명 13,773명 24,117명 137,847명 비고
2001년
102,596명
13,742명 25,299명 141,637명
2002년 99,379명 13,857명 25,051명 138,287명
2003년 98,101명 13,007명 25,114명 136,222명
2004년 97,828명 12,690명 25,778명 136,296명
2005년 94,130명 16,653명 25,728명 136,511명
2006년 90,152명 18,987명 25,157명 134,296명
2007년 85,518명 19,290명 24,605명 129,413명
2008년 80,863명 20,168명 24,321명 125,352명
2009년 77,214명 20,431명 24,562명 122,207명 }}}}}}}}}
2010년 74,361명 19,904명 24,828명 119,093명
2011년 74,910명 19,197명 25,874명 119,981명
2012년 73,197명 19,264명 26,450명 118,911명
2013년 71,612명 20,057명 27,306명 118,975명
2014년 73,723명 20,473명 28,419명 122,615명
2015년 72,149명 20,358명 27,243명 119,750명
2016년 70,610명 19,731명 28,066명 118,407명
2017년 68,202명 20,876명 28,617명 117,695명
2018년 65,905명 23,014명 30,917명 119,836명
2019년 66,955명 25,262명 33,131명 125,348명
2020년 43,033명 17,469명 20,542명 81,044명
2021년 40,536명 17,136명 20,597명 78,269명
2022년 45,813명 19,201명 24,975명 89,989명
2023년 49,427명 21,658명 28,711명 99,796명
2024년 48,819명 23,299명 30,699명 102,817명
출처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5_icon.svg: 서울교통공사 자료실[7]

세 노선의 이용객을 합산하면 2023년 기준 총 99,796명으로, 종로의 주요 역다운 수요를 보인다. 전체적으로 종각역과 비슷한 이유로 1호선의 경우 지난 20년 동안 큰 폭으로 이용객이 감소했다. 특히 종로2가를 경계로 하여 오피스 지대와 구시가지 지구가 나뉘는 만큼 여러 가지 개발 규제로 심하게 낙후된 종로3가역은 이용률이 떨어지는 만큼 노인 이용률이 급격히 증가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반면에 3호선, 5호선은 승하차 수요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3호선의 경우 출입구 위치가 외진 탓에 환승되는 버스 노선이 하나도 없으며, 3호선이 지나는 길은 편도 2차선에 불과하다는 점 때문에 세 노선들 중에서 가장 적지만, 지난 19년 동안 2배 가까운 증가세를 보여왔다. 5호선 역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2000년대 중반부터 인사동길종묘 등 도심지의 관광지가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관광 수요의 증가로 인해 3, 5호선 출구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9년에는 인사동 및 익선동 상권이 활성화된 상황에서 중국인 등 외국인 관광객들이 증가하면서 모든 노선의 수요가 증가했다. 이러한 현상은 1호선은 연천, 3호선은 교산신도시, 5호선은 하남으로 연장되면서 승하차량이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노인들의 만남의 광장으로 이용되는 역이라 무임 승차율이 굉장히 높은 역이다. 대합실이 노인정으로 활용되는 1호선의 경우 무임승차율이 32.2%를 기록하여 서울 지하철 1~8호선 역들 중 5위를 기록하였고, 이보다 높은 역은 제기동역, 동묘앞역(1호선), 청량리역(1호선), 모란역(8호선) 뿐이다. 탑골공원과 가장 가까운 5호선의 경우에도 무임승차율 28.7%로 13위를 기록했다.[8] 반면에 3호선의 경우에는 순위권 밖으로서 상대적으로 노인 이용률이 낮다. 승강장도 좁은 데다 에스컬레이터도 없어 이동이 어려운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엘리베이터는 2018년에 늦게나마 설치되었다. 종각역에 태양의 정원 개장으로 노인들의 일부는 그쪽으로도 많이 이동한 편이다. 보신각 타종 행사로 12월 31일에는 종각역이 혼잡해지면 이 역으로도 승하차 승객이 몰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로에 있는 수많은 직장과 학원들을 가기 위한 승하차객들이 많고, 종묘, 탑골공원 등의 관광지가 있어 젊은 층의 수요 역시 상당한 편이다. 실제로 세 노선의 역들 중 유일하게 종로 한복판에 있기 때문에 종로3가역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약 60%가 1호선 개찰구를 이용한다. 종로를 오가는 수많은 버스 노선들과 유일하게 제대로 된 환승 연계가 되는 곳도 1호선뿐이어서 3, 5호선으로 온 승객들도 1호선 개찰구를 통해 나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상업/업무의 비중이 높은 도심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종로5가역과 함께 도심으로서의 역할보다 관광지 또는 모임 장소로 더 많이 활용되는 1호선 역이다.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1호선

파일:종로3가역_역명판.jpg
1호선 역명판
파일:종로3가역1호선.jpg
1호선 승강장
종로5가
종각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동대문·신설동·청량리·광운대·연천 방면
시청·서울역·부천·인천·서동탄·천안·신창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연천 방면) →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6-1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인천, 신창 방면) →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4-2, 7-3

환승 없이 갈 수 있는 범위
상행 당역 하행
연천종로3가인천서동탄신창

1974년 개통 후 가장 오랫동안 쓰이는 승강장이다. [age(1974-08-15)]년 동안 리모델링을 하지 않아 바닥과 벽의 타일에서부터 낡고 오래된 분위기가 있는 곳으로, 실제로 노인들의 이용률이 높아 그 느낌이 배가 된다.

5.2. 수도권 전철 3호선

파일:20190213_154900.jpg
3호선 역명판
파일:attachment/jongnosamga.png
3호선 승강장
안국
을지로3가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경복궁·연신내·구파발·대화 방면
충무로·옥수·고속터미널·오금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대화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소요산 방면) 9-2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대화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인천, 신창 방면) 10-4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대화 방면) →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2-2, 4-3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오금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소요산 방면) 2-3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오금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인천, 신창 방면) 1-1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오금 방면) →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7-2, 9-3

5.3. 수도권 전철 5호선

파일:534_종로3가_20201025_완.jpg
5호선 역명판
파일:5종삼.jpg
5호선 승강장
광화문
을지로4가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여의도·김포공항·방화 방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청구·광나루·하남검단산·마천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하남검단산, 마천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1-1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방화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8-4

6. 연계 버스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종로2가 종로3가.탑골공원 종로4가.종묘 종로5가.광장시장
종로3가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종로3가.탑골공원(중)
(01015)
<colcolor=#ffffff> 지선
맞춤
간선
심야
직행좌석
종로3가.탑골공원(중)
(01016)
지선
맞춤
간선
심야
직행좌석
종로3가역11번출구 (01767) 공항
종로3가 (01768) 공항
종묘.세운상가 (01914) 관광
종로3가.1.3.5호선 (01550) 마을

7. 사건 사고

  • 2014년 2월 28일 종로3가역 5호선에서 1ㆍ3호선으로 환승하는 상행 에스컬레이터가 역주행해 이용객 10명이 부상을 당했다.[9]
  • 2020년 8월 15일, 3호선 승강장에서 연기 발생으로 인해 종로3가역을 무정차 통과했다.
  • 2021년 7월 3일, 종로3가에서 민주노총 집회 여파로 약 1시간 30분 동안 1호선, 3호선, 5호선 모든 열차들이 무정차 통과했다. 이 여파로 인근의 종각역, 종로5가역, 안국역, 을지로3가역, 을지로4가역의 혼잡도가 높았다.

8. 기타

  • 한화 이글스의 전력분석가였던 김정준이 해설자 시절 한 네티즌의 디스글을 보고 직접 종로3가역에 출현한 적도 있다.[10]
  • 3호선의 경우 이 역과 을지로3가역 간 거리는 0.6km로 3호선 전 구간에서 역 간 거리가 가장 짧다.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과 함께 수도권 최초의 도시철도 세 노선 환승역이다. 광역철도가 포함된 세 노선 환승역으로는 왕십리역이 있다.
  • 1호선은 이 역에서 신길역으로 가는 방향이 하행이지만, 5호선은 반대로 상행이다.
  • 이 역에서 신길역까지 1호선으로는 8정거장 20분, 5호선으로는 9정거장 17분이 걸린다. 정거장 수는 1호선이 하나 더 적지만 시간은 오히려 3분 더 걸리는 셈. 다만 큰 차이는 없으며 두 역 다 1호선과 5호선 승강장이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노선이 심하게 연착되지 않는 이상 그냥 본인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노선을 타는 것이 낫다.
  • 이 역에서 오금역까지 3호선은 45분, 5호선은 36분이 걸리므로 5호선이 더 빠르다.[11]
  • 송해가 이 역 인근에 거주하여 생전에 자주 이용했다고 한다. 주로 도곡역~종로3가역 간을 다녔다고 한다.

9.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f7c1c> 일산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 지하철 5호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본선
[[마천지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하남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개정 전 53번.[2] 개정 전 19번. 현재 3호선의 19번은 지축역이 가져갔다.[A]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1993), 鍾路3街 停車場增設 및 改修工事 綜合報告書[A] [A] [6] 「지하철 1·3호선 종로3가역 2-1번 출구, 44억원에 법원경매행」, EBN, 2017-05-18[7]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8] 「서울 제기동역 승객 절반 돈 안낸다」, 동아일보, 2016-10-31[9] 「종로3가역 에스컬레이터 ‘역주행’…10명 부상」, 서울신문, 2014-03-01[10] 관련 게시글, 출처: PGR21[11] 대화역에서 오금역까지 최단시간으로 가는 경우, 종로3가역에서 한 번 갈아타야 더 빨리 도착하는 경우가 왕왕있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