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00:02:15

온양온천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부역명이 '온양온천'인 고속철도역 및 '아산역'에 대한 내용은 천안아산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온양온천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용산 방면
아 산
← 9.8 ㎞
홍성 방면
신 창
5.1 ㎞ →
홍성 방면(내선)
아 산
← 9.8 ㎞
홍성 방면(외선)
신례원
15.4 ㎞ →
용산 방면
아 산
← 9.8 ㎞
장항선
새마을호
익산 방면
신례원[1]
15.4 ㎞ →
장항선
무궁화호
익산 방면
도고온천
10.9 ㎞ →
G-train 익산 방면
예 산
20.4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eoulmetro1_icon.svg
배 방
← 4.9 ㎞
1호선
[[천안급행|
경부선 급행 A
]]
1호선
[[천안급행 B|
경부선 급행 B
]]
}}}}}}}}}
역명 표기
장항선 온양온천
Onyangoncheon[2]
溫陽溫泉 / 温阳温泉 /
[ruby(温陽温泉, ruby=オニャンオンチョン)]
1호선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대로 1496 (온천동 56-9)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
(천안아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운영 기관
장항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일반열차
충남선 1922년 6월 1일~
1955년 9월 1일
장항선 1955년 9월 1일[3]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4년 11월 2일
새마을호 1991년 11월 25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G-train 2015년 2월 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2008년 12월 15일 }}}}}}}}}
역사 구조
지상 3층
승강장 구조
4면 4선 복합식 승강장 (횡단 가능)
철도거리표
천안 방면
배 방
← 4.9 ㎞
장항선
온양온천
익산 방면
신 창
5.1 ㎞ →
이 역과 배방역 사이에 풍기역 신설이 계획되고 있다.
파일:온양온천역.jpg
현 역사 (2008년 준공)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4.2. 일반철도
5. 승강장6. 연계 교통
6.1. 시내버스
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365일 따뜻한 온양온천역
온양온천역이 위치한 장항선은 과거 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에 의하여 충남선이라는 이름으로 건설된 사설철도선으로 1922년 6월 1일 천안역과 온양온천역 구간이 개통하며 온양온천역도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2007년 3월 선로 이전에 이어 2008년 4월 23일 역무까지 신역사로 이전이 완료되며 오늘날 모습이 되었는데, 그 이름처럼 역사 바로 앞에 무료 온천 족욕장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는 아산시청이 있는 곳이지만 지역 통합 전에는 아산군이 아닌 온양시였던 곳으로, 지역명은 바뀌었지만 온천을 찾는 여행객들이 꾸준하게 이어져오며 그 역명을 지켜왔다. 새마을호를 비롯한 모든 일반 여객열차가 정차하며 고속철도와도 연계되어 교통이 편리하며 인근에 이순신 장군의 현충사와 온양민속박물관이 있어 역사탐방을 위한 여행객들도 자주 찾는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장항선의 철도역·수도권 전철 1호선 P176번,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대로 1496 (온천동 56-9) 소재.

2. 역 정보

파일:1000004905.jpg
초대 역사 (1922년 준공, 1983년 철거)
파일:온양온천역 구역사.jpg
2대 역사 (1983년 준공, 2008년 철거)
파일:온천역 구역사 내부.jpg
구 역사 내부
파일:온양온천역.png
역 안내도 크게보기
파일:온양온천역 장항선.jpg
맞이방
새마을호, 무궁화호, ITX-마음이 역에 정차한다.

역명의 유래는 복잡한데, 아산시는 물론 과거 온양시의 중심에 위치한 역이지만, '온천'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온양온천이 유명한 것도 있지만, 철도가 들어올 때 이곳이 '온양의 중심'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원래 온양군의 중심지는 현재의 온양6동 지역이다. 온양온천역이 위치한 온양2동은 조선시대 온양행궁 인근의 지역으로(온궁은 온양1동, 현재의 온양관광호텔 자리에 소재), 온천의 상업화와 철도부설로 큰 시가지를 형성하게 됐다. 본래의 중심지인 온양6동과는 거리가 있고(직선거리로 2.5km 정도) 온천이 유명한 지역이므로 온양역 대신 온양온천역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이다. 온양6동 지역이 과거 온양군의 중심이었다는 것은 관청인 온주아문과 온양향교의 존재, 그리고 관할 법정동인 읍내동으로 알 수 있고, 지역 토박이들 역시 온양6동 지역을 '구온양'이라는 명칭으로 부른다.

1914년 온양, 신창군이 아산군에 통폐합되면서 옛 온양군에 있는 군내면, 서면, 읍내면을 합쳐 온양면으로 지명이 남았고, 1941년에 온양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86년 시로 승격되어 온양시가 되었고, 1995년 시군통폐합으로 아산군과 통합되어 아산시가 되면서 사라지게 된다. 구 온양읍, 온양시는 행정동 온양1~6동으로 변경되었다. 1914년 이전 아산군의 중심지는 영인면 아산리였다. 현재 온양과는 전혀 무관한 지역이었고, 신창군의 중심지는 현재의 신창역 인근의 읍내리이다.

시군통폐합 이후 이곳에 시청이 들어와 아산시의 중심이 됐지만 온양온천이 유명해서 역명을 유지한 사례이다. 온양온천 외에도 옛 아산군 지역에 온천이 있으며 옛 신창군에 속해 있었던 도고면(현 아산시 도고면)에도 온천이 각각 있다.

2008년에 장항선 천안역 - 신창역 구간이 복선전철화됨으로써 역사가 다시 지어져 고가 선하역사가 되었고,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하기 시작했다. 당초 계획은 이 역을 수도권 전철의 종점으로 하는 것이었으나 아산시의 강력한 요구로 신창역까지 연장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조선시대부터 왕들이 찾을 정도로 유명한 온천으로, 황해도 연안온천, 배천온천, 이웃 아산온천과 더불어 예로부터 명성이 자자했고, 서울에서 황해도 연안, 배천까지의 거리와도 비슷했다. 역 인근에 온양관광호텔 등의 온천을 겸한 숙박시설 뿐만 아니라 온천물을 사용하는 대중목욕탕까지 꽤 많은 온천욕 시설이 있다. 개발된 지도 오래되었고, 한국의 온천관광지 중에서도 대단히 유명한 곳이다. 그래서 수도권 전철 연장 개통 이후에는, 온양온천역은 무임권을 이용해 온천관광하러 온 노인들로 항상 붐빈다. 그렇기 때문에 무임승차 제도를 비판할 때 나오는 곳 중 하나이다.

역 앞에 온천족욕탕이 있으며 무료이다. 물 온도가 뜨거워 지역 노인들이 '젊은 사람은 들어오면 발 데인다'고 한다. 실제로 이곳의 온탕 평균온도는 43~48℃이다.

현충사를 전철로 가려는 승객들이 주로 내리는 역이기도 하다. 거리상으로는 배방역에서 현충사로 가는 거리나 온양온천역에서 현충사로 가는 거리가 큰 차이는 없지만, 배방역에서는 현충사로 직통으로 가는 버스가 없고, 온양온천역에서는 아산 버스 970, 971가 현충사로 직통으로 가기 때문에 현충사 방문자들은 주로 온양온천역을 선택한다.

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bgcolor=#0052a4> 비고 ||
2008년 8,456명 [4]
2009년 8,767명
2010년 9,386명
2011년 10,824명
2012년 10,379명
2013년 10,662명
2014년 10,971명
2015년 10,558명
2016년 10,429명
2017년 10,521명
2018년 10,179명
2019년 10,213명
2020년 6,159명
2021년 6,544명
2022년 8,002명
2023년 9,443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수도권 전철 1호선 - 장항선 구간에선 가장 이용객이 많다. 유일하게 하루 평균 이용객이 1만 명을 넘어서는 곳이다.
  • 아산시 상업/교통 중심지에 있어 수도권 및 천안에서 온양으로 넘어올 때 주민들이 자주 애용한다.
  • 이 역은 노인 전용 역으로 유명하다. 무임승차 비율이 43.2%로써 수도권 전철 전체 4위를 차지한다. 1위는 같은 노선의 제기동역[5]으로 53%, 즉 만 65세 이상 승하차객이 절반이 넘는다. 2위는 소요산역[6], 3위는 용문역[7]으로 세 역 외에는 온양온천역의 무임승차 비율을 따라오는 역이 없다. 신창역을 빼면 종점이라는 것도 있지만, 할 일이 없는 독거노인들이 관광용으로 자주 애용하거나, 동네 노인들끼리 모여서 주말 온천 나들이를 가는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무임승차 비율이 높다. 따라서 주말만 되면 역에 노인들만 모여 있는 모습을 항상 볼 수 있으며, 만약 노인 무임승차 제도가 폐지될 경우 온양온천역의 이용률은 대폭 떨어질 것이다.
  • 2009년, 2010년을 제외하고 장항선 역 중에서 이용객 수가 상당히 많은 편인데 대천역과 함께 연 평균 승하차량이 철도로만 10만 명 이상 기록되고 있는 역으로, 전부 10만 명 이상을 기록했다. 1992년에는 승차량만 8만 명, 하차량은 9만 명으로, 승하차량 18만 명을 기록했던 역이기도 하다. 관광지로서 잘나가던 1969년에는 17만 명을 기록하기도 했다.
  • 현재는 전철 승하차량까지 포함해서, 한 해 400만 명의 승하차량을 기록하고 있는 역이다. 하지만 이용객의 ⅓가량은 65세 이상 노인무임승차객이다. 광역전철은 원래 대부분이 그렇지만 이 역은 특히 노인들이 더 많이 찾는 곳이라 심하다. 야간에는 주간보다 무임승차가 덜한 편이다.

4.2. 일반철도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5288f5><bgcolor=#5288f5> 연도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5288f5,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새마을호)]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5583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무궁화호)] ||<bgcolor=#5288f5> 총합 ||<bgcolor=#5288f5> 비고 ||
2004년 448명 2,680명 3,128명
2005년 529명 2,876명 3,405명
2006년 620명 2,713명 3,333명
2007년 951명 2,007명 2,958명
2008년 847명 2,438명 3,285명
2009년 637명 1,820명 2,457명
2010년 617명 2,058명 2,675명
2011년 639명 2,337명 2,976명
2012년 653명 2,346명 2,999명
2013년 718명 2,397명 3,115명
2014년 640명 2,416명 3,056명
2015년 538명 2,412명 2,950명
2016년 482명 2,180명 2,662명
2017년 571명 1,782명 2,353명
2018년 564명 1,677명 2,241명
2019년 566명 1,584명 2,150명
2020년 332명 882명 1,214명
2021년 362명 861명 1,223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 아산시의 중심에 있지만, 같은 노선에 더 작은 도시의 역인 홍성역대천역보다 승하차량은 적은 편이다. 그 이유는 크게 세 개로 나눌 수 있다.
    1. 첫 번째, 아산역이 개업한 후 인구밀집지역인 배방읍, 불당동 지역의 수요가 분산된 것이다. 아산신도시와 북수리 등의 택지지구는 아산역이 가깝기 때문에 온양온천역을 이용할 이유가 없는 지역이다. 게다가 천안아산역은 KTX, SRT 정차역이다.
    2. 두 번째,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연장이다. 아산시민의 이동 패턴상 장항선 하행보단 상행 이용객이 더 많은데, 상행쪽에 일반열차 이외의 선택지가 생겼기 때문에 일반열차 수요가 어느 정도 분산되기도 했다.
    3. 마지막으로, 천안역과의 가까운 거리이다. 천안역은 대한민국에서도 손에 꼽히는 큰 역이므로, 장항선만 지나는 온양온천역에 비해 훨씬 많은 차편과 행선지가 존재한다. 때문에 오래 전부터 천안역으로 이동해 열차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온양온천역에서 천안역까지 직선거리로 약 13km인데, 노원역에서 서울역까지의 거리와 거의 같다. 천안역까지 자동차로 이동하거나, 촘촘한 배차 간격의 시내버스를 이용하면 어렵지 않게 갈 수 있으므로 배차 간격이 길고 행선지가 다양하지 않으며 자주 매진이 뜨는 장항선보다 훨씬 많은 선택지를 가지는 천안역으로의 이동이 더 나은 경우가 많다. 시외버스도 이와 비슷한 이유로 천안에서 자주 승하차한다.

5. 승강장

파일:온양승강장.jpg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온양온천역 승강장
파일:DSC03792.jpg
신창 방면 역명판
아산 배방 아산
1 2 3 4
신창 신창
1 장항선 파일:ITX-마음 BI.svg·[[새마을호|
새마을호
]]
[[서해금빛열차|
G-train
]]·[[무궁화호|
무궁화호
]]
천안·수원·용산 방면
2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A급행·B급행 서울·청량리·광운대 방면
3 완행·A급행 신창 방면
4 장항선 파일:ITX-마음 BI.svg·[[새마을호|
새마을호
]]
[[서해금빛열차|
G-train
]]·[[무궁화호|
무궁화호
]]
홍성·대천·익산 방면
아산역과는 다른 형태의 승강장으로 기차가 외선으로 빠져서 정차하고 전철이 내선으로 정차하는 형태이다. 통과하는 화물열차는 내선으로 통과한다.[8] 이는 검암역과 신해운대역의 형태와 유사하다. 역을 출발하면 신창, 익산 방면으로 4선이 이어지다가 조금 나간 뒤에 선로가 합류되는 형태이다. 500m가량 떨어져 있는데 10량 기준 길이가 200m이다. 반면 천안, 용산 방면은 역을 출발하자마자 바로 4선이 합류돼서 2선으로 이어진다.[a]

이런 구조가 된 건 1호선 연장을 계획할 당시에는 온양온천역까지만 운행할 계획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양온천역에 회차선 또는 주박선을 만들어 이곳에서 회차하기 편한 구조로 설계했다. 다른 역들과 달리 전철 선로가 안쪽에 있는 특이한 구조를 보이는 것이 바로 그것 때문이었다. 하지만 도중에 순천향대에서 신창역까지 연장해달라는 요구가 있었고, 신창역 연장이 확정되면서 온양온천역의 회차기능은 필요가 없어져 구조만 그대로인 채 회차선만 만들지 않으면서 현재의 구조가 된 것이다.[a]

일반열차가 많이 정차함에도 불구하고 성환역, 장항선 천안역, 아산역과 같이 전철과 일반열차 운임구역이 통합되어 있고, 일반열차 승객들은 전철 개찰구의 비상게이트로 들어가야 한다. 이러다 보니 일반열차를 타는 것처럼 개찰구를 통과해 전철을 타거나, 비전철화 구간부터 일반열차를 타고 와서 전철을 무임승차하는 수법이 가능하다. 그 사례가 많았기 때문에 일반열차나 전철 승객이 실수로 반대의 승강장에 가 있으면 무임승차로 간주하여 즉시 처벌하고 있다. 현재는 전철 게이트에 승차권 QR코드 리더기를 설치하여 무임승차를 원천 차단한다.

이 역과 배방역 사이 P175번은 결번이다. 배방역과 온양온천역 사이에 풍기역이 신설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과거 누리로 정차 시절에는 일반열차 플랫폼에서 정차했기 때문에 거리표에는 신창역이 표기되어 있다. 신창~서울간 누리로가 폐지된 현재에도 고쳐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다. 다만 장항선 ITX-마음이 신창역에 정차하게 되면서 굳이 고칠 필요가 없어졌다.

6. 연계 교통

6.1. 시내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온양온천역(729)
*온양온천역 유엘시티, 고속버스터미널 방면
||
아산시 시내버스
배방 송악 유구방면
간선
성환방면
간선
신창 선장방면
간선
신창 도고 선장방면
간선
지선
염치 인주 음봉방면
간선
지선
탕정 음봉방면
간선
배방방면
간선
천안권
간선
예산군 농어촌버스
신례원, 대술, 삽교천(당진), 온양(아산), 신창전철역, 고덕, 합덕, 덕산방면
농어촌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온양온천역 신한은행(732)
*굴다리, 상설시장, 아산삼성요양병원, 아산시청, 와산2리마을회관, 신통교앞, 시전삼거리, 진테그, 신창역 방면
||
아산시 시내버스
배방 송악 유구방면
간선
성환방면
간선
신창 선장방면
간선
신창 도고 선장방면
간선
지선
염치 인주 음봉방면
간선
지선
탕정 음봉방면
간선
배방방면
간선
천안권
간선
예산군 농어촌버스
신례원, 대술, 삽교천(당진), 온양(아산), 신창전철역, 고덕, 합덕, 덕산방면
농어촌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온양온천역 (743)
*온양온천초교 방면
||
아산시 시내버스
배방 방면
간선
천안방면
간선
천안시 시내버스
아산권 노선
일반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아산축협온양지점(1707)
*온양온천초교, 온양온천역 신한은행, 송악나드리, 외암리아래삼막골 방면
||
아산시 시내버스
배방 송악 유구방면
간선
지선
성환방면
간선
신창 선장방면
간선
신창 도고 선장방면
간선
지선
성환 둔포 평택방면
간선
염치 인주 음봉방면
간선
탕정 음봉방면
간선
배방방면
간선
천안권
간선
예산군 농어촌버스
신례원, 대술, 삽교천(당진), 온양(아산), 신창전철역, 고덕, 합덕, 덕산방면
농어촌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온양온천역 유엘시티(744)
*아고오거리, 온양1동 평생교육원, 고속버스터미널 방면
||
아산시 시내버스
배방 송악 유구방면
간선
지선
성환방면
간선
신창 선장방면
간선
신창 도고 선장방면
간선
지선
성환 둔포 평택방면
간선
염치 인주 음봉방면
간선
탕정 음봉방면
간선
배방방면
간선
천안권
간선
천안시 시내버스
아산권 노선
일반
예산군 농어촌버스
신례원, 대술, 삽교천(당진), 온양(아산), 신창전철역, 고덕, 합덕, 덕산방면
농어촌

7. 기타

  • 2023년 1월 16일에 박경귀 아산시장이 아산시 주간간부회의에서 이 역 이름에 아산현충사라는 명칭을 병기하자고 제안했다. 다만 이 일은 시민 편의와 직결되는 사안인 만큼 충분한 여론 수렴과 숙의 과정을 거치겠다고 했다.[11]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장항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여객영업 안함
}}}}}}}}}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철도 고속철도 천안아산
<colbgcolor=#0d9726> 일반철도 장항선 아산, 온양온천, 신창, 도고온천
서해선 인주
광역전철 파일:Seoulmetro1_icon.svg 아산, 탕정, 배방, 풍기, 온양온천, 신창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32.svg당진청주고속도로
국도 21번 국도, 34번 국도, 38번 국도, 39번 국도, 43번 국도, 45번 국도
국가지원
지방도
70번 지방도
지방도 616번 지방도, 623번 지방도, 624번 지방도, 628번 지방도, 645번 지방도
<colbgcolor=#ffbe00> 고속/
시외버스
버스터미널 아산고속버스터미널, 아산시외버스터미널
중간정류장 봉강교·서부휴게소, 신창, 천안아산역
노선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버스 시내버스 아산시 시내버스
(온양교통, 아산여객)
버스 목록 틀:아산시 시내버스
아산시 버스 목록
← 아산시의 대로 아산시의 주요 도로 →
충청남도의 교통
}}}}}}}}} ||

[1] #1052, #1059,#1060 열차 한정. 이외의 모든 새마을호 열차는 모두 예산역으로 직행한다.[2] 역명판엔 띄어쓰기 없이 적혀 있지만, 표기법상으로는 합성어기 때문에 'Onyang oncheon'으로 띄어 써야 한다.[3] 충남선에서 장항선으로 개칭된 날짜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432호 )[4]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5] 경동시장과 서울약령시에 노인들이 몰린다.[6] 이 역도 무임 비율이 49.9%로 절반을 차지하며 연천 연장 개통 전까지 종점역이었다.[7] 소요산역과 마찬가지로 용문사용문산으로 등산하는 여행객들이 많다.[8] 4번 승강장이 없다고 가정하면 신도림역과 구조가 똑같아진다.[a]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a] [11] 「온양온천역을 온양온천(아산현충사)역으로, 아산역을 장재역으로」, 아산뉴스, 2023-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