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11:42:19

회룡역

회룡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ULine_icon.svg
연천 방면 인천 방면
망월사
1.4 ㎞ →
의정부
← 1.6 ㎞
1호선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경원선 급행)
]
인천 방면
도봉산
3.7 ㎞ →
동두천 방면
발곡 방면
발 곡
← 0.8 ㎞
탑석 방면
범 골
0.6 ㎞ →
역명 표기
경원선 회룡
Hoeryong
回龍 / 回龙 / [ruby(回龍, ruby=フェリョン)]
1호선
의정부 경전철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363 (호원동 50-5)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1]
(의정부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운영 기관
경원선 한국철도공사
의정부 경전철 (주)우진메트로
개업일
경원선 1986년 9월 2일
1호선
의정부 경전철 2012년 7월 1일
역사 구조
지상 1층 (1호선)
지상 3층 (의정부 경전철)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호선, 의정부 경전철)
철도거리표
용산 방면
망월사
← 1.4 ㎞
경원선
회 룡
백마고지 방면
의정부
1.6 ㎞ →

1. 개요2. 역 정보3. 일평균 이용객4. 승강장5. 역 주변 정보6. 연계 교통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111번[2], 의정부 경전철 U111번.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363(호원동 50-5) 소재.

역명은 인근에 있는 사찰회룡사에서 따왔다.

2. 역 정보

파일:회룡역.jpg 파일:회룡역_1.jpg
2012년에 지어진 수도권 전철 1호선 회룡역사

2.1.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파일:회룡역 구역사.jpg
수도권 전철 1호선 구 역사
파일:회룡역 1호선.jpg
1호선 맞이방
승강장 벽면이 벽돌로 만들어졌으며 역 맞이방도 반지하에 있는 등 옛날 역 분위기가 풍기는 역이었으나 커튼 월 양식의 아름다운 통합역사로 탈바꿈했다. 티스푼 공사를 하다가 의정부경전철 개통에 맞추어 대합실 등을 개장하기 시작하면서 완공된 모습을 보였다. 역 주변은 아파트 등의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바로 위에 회룡천이 있다. 본래 출구는 2개였으며, 의정부경전철 회룡역 역사가 완공됨에 따라 출구가 3개로 늘었고, 2018년 6월에는 남부 출입구 2개가 신설되면서 총 5개로 늘었다.[3] 그리 멀지 않은 과거에는 처음 와본 승객들이 승강장의 적벽돌 벽을 보고 놀라는 소규모 역이었으나 지금은 종합시설, 역 주변으로 대형상가들이 펼쳐져있는 중대규모 역이 되었다.

1호선과 의정부경전철 간 환승할인이 정식 시행됨에 따라, 개찰구를 통하지 않고서도 환승할 수 있도록 3층 대합실에 환승통로 공사를 완료했다.

2015년 8월 경엔 보행자 전용 통로였던 회룡역 하부 통로에 차도 공사가 완료되어 호원동 동-서부를 가로지르는 차도가 되었다. 차량 이동은 좋아졌지만 횡단보도가 생기면서 보행자의 이동시간이 늘어났다.

경기도 북동부의 첫번째 환승역이자 국내 최북단 환승역이며 같은 위도상의 역은 진접역, 운정역이 있다.

의정부행 열차에서는 양주, 동두천, 소요산, 연천으로 가려는 승객들은 이 역에 내려서 다음 열차로 갈아타라고 기관사나 차장이 안내한다. 의정부역에서 갈아타려면 계단을 오르내려야 하는데 회룡역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신도림역, 석계역, 병점역, 두정역 등지에서도 같은 이유로 이렇게 안내한다.

의정부 방면 바로 앞에 대전차방호벽이 존재했었지만 2012년 의정부경전철 개통 및 신역사를 신설하면서 철거하였다.

2.1.1. 남부 출입구 신설

본래 선하역사였던 회룡역이 통합역사로 건축되니 3층에 대합실이 위치한 선상역사가 되어 이용객들의 이동 동선이 늘어난 데다가, 선하역사 당시에 있었던 장암동 방면 출입구가 없어지면서 주민들의 민원이 쇄도하였다. 급기야 예전 역사를 다시 개장하라며 회룡역 남부에 선하남부역사를 건설하라는 등 엄청난 민원이 들어왔다고 한다. 신역사 오픈 시기에는 예전 역사의 대합실과 승강장 연결 계단은 셔터를 닫아놓고 '출입금지' 표지판을 부착해놨었다. 그 후 입구는 자동차 도로로 바뀌고, 대합실 쪽은 벽으로 가로막혔다.

통합역사 변경으로 인해 1호선과 의정부경전철 열차를 타기 위해서 1층(출구) - 3층(대합실) - 2층(승강장)의 긴 동선을 밟으며 힘들게 열차를 타게 됐다. 이 과정에 약 3분이 걸린다. 구역사를 이용할 때는 입구에서 뛰어가면 30초도 채 안 걸려 전철을 탈 수 있었던 것과 크게 대비된다. 결국 바뀐 역사로 인해 시민들의 불편이 크게 가중되어 문제라며 SBS 뉴스로 보도되기까지 했다.[4]

2013년 6월, 시에서는 엄청난 민원과 주민들의 불편호소 탓에 끝끝내 300억짜리 통합역사가 지어진 회룡역 인근 100m 지점에 남부역사를 짓는다고 발표했다.[5] 한국철도공사와 의정부시가 비용을 반씩 부담해 총 48억 원의 규모의 공사를 2014년 말까지 착공하겠다고 약속했다.[6] 이 같은 약속은 인근주민들을 모아 추진상황 설명회까지 가져가며 발표한 내용이었다. 그러나 뒤늦게 공사지점의 하수박스를 발견, 설계를 변경한다는 이유로 당초 계획이 많이 지연되었다. 현 역사와 연결되는 지하통로를 통해 280m 정도 되는 거리인 호원동 433-6번지 앞의 평화로 쪽[7]으로 연결되는 형태이다. 2015년 4월경 착공하여 2016년까지 완공한다는 계획이 발표되었으나[8], 착공을 8월로 또 미뤘고 그 이후에도 착공이 지체되었다. 2015년 10월 6일, 시가 밝힌 내용에 따르면 지난 3월 착공 계획이 미뤄진 후로 지난 8월쯤 착공할 예정이었으나 설계가 계속하여 지체되는 데다 사업부지 중 일부가 파산절차 중인 모 건업 땅으로 M&A 허가를 신청해 토지사용승낙을 받아야 하는 문제가 불거졌다는 것이다.[9] 결국 연내에 설계를 마무리하고 가능한 빠른 시일 안에 착공하겠다는 불신 가득한 답변만을 내놓고 오리무중이 되었다.

결국 한국철도공사와 협약을 맺은 지 4년만인 2017년 6월 착공하게 되었다.[10] 당초에 지하통로나 육교 등의 방식으로 건설하려다가 열차 운행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동서 쪽에 게이트를 설치하는 평면환승방식이 채택되었다. 공사는 2018년 4월 중 마무리되어 6월 23일부터 운영을 시작하였다.

한편, 의정부시 측에서는 그동안 철도가 생긴 이래로 역을 지나지 않고서는 통행로가 없다시피 해서 호원동 동/서 주민들이 단절된 채로 지내왔는데, 이것을 남부역사의 개설을 통해 어느 정도 해소할 방침이라고 한다. 또한 시에서는 역세권이 늘어나는 만큼 주변의 발전도 기대한다고 한다.

2.2. 의정부 경전철

파일:회룡역 의정부경전철.jpg
의정부 경전철 대합실
발곡역 방향으로 준 바로타의 개념이 적용되어 게이트를 나간 후 1호선으로 환승하거나 출구로 가는 등의 행동이 가능하다. 1호선도 그 덕분에 임시 출구의 개념을 탈피하고 의정부역 방향의 출구가 에스컬레이터가 생기는 개조가 이뤄졌다.

의정부 경전철에만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었다. 하지만 2012년에 1호선 승강장에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다음 역은 종착역인 발곡역이지만 발곡역으로 들어가는 열차는 전부 탑석행으로 다시 되돌림 운행한다. 따라서 탑석역 방향으로 간다면 굳이 계단을 오르내리며 반대편 승강장으로 갈 필요 없이 발곡행 열차를 타고 발곡역으로 갔다가 발곡역에서 내리지 않고 계속 타고 있는 방식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배차 간격상 범골역 ~ 발곡역 구간에는 양방향 통틀어서 한 대밖에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시간 손해도 없다시피하다.

의정부 경전철에서 가장 유일한 역 안내방송에서 얼씨구야를 들을 수 있는 환승역이다.

2.3. 환승

발곡 방면과의 환승은 거리가 약간 길고, 개념환승은 아니지만 막장환승도 아니다. 단 탑석 방면은 발곡 방면 승강장까지 가서 환승해야 하여 거리가 더 멀어서 막장환승이다. 구조 상 더 짧게 만드는 것도 가능했을 것 같지만 더 길게 돌아 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의정부 경전철 발곡역 방향으로 환승통로가 나 있으며 탑석역 방향 승강장은 계단을 한 번 더 오르내려야 하지만, 어차피 발곡역으로 가는 열차는 발곡역에 갔다가 다시 반대편으로 운행하므로 탑석역 쪽으로 가더라도 그냥 발곡행 열차를 그대로 타는 것이 편하다. 의정부 경전철 발곡 방면에서 1호선으로의 환승은 어쩔 수 없다.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ULine_icon.svg ||<bgcolor=#0052a4> 총합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86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86년 935명 20,725명 44,732명
1987년 1,077명
1988년 2,001명
1989년 2,308명
1990년 2,528명
1991년 2,530명
1992년 4,133명
1993년 4,882명
1994년 6,345명
1995년 8,192명
1996년 11,225명
1997년 17,277명
1998년 21,682명
1999년 25,724명
2000년 15,438명 비고
2001년 26,633명
2002년 28,001명
2003년 36,525명
2004년 29,359명
2005년 28,276명
2006년 28,188명
2007년 30,445명
2008년 31,536명
2009년 31,733명 }}}}}}}}}
2010년 31,990명
2011년 32,727명
2012년 32,154명 미공개
2013년 31,734명
2014년 32,384명
2015년 27,530명
2016년 26,579명 17,878명 44,457명
2017년 25,663명 18,836명 44,499명
2018년 25,049명 19,683명 44,732명
2019년 26,294명 20,725명 47,019명
2020년 20,016명 15,066명 35,082명
2021년 20,799명 16,228명 37,027명
2022년 22,846명 18,520명 41,366명
2023년 24,374명 8,696명 33,070명 [11]
※ 2022년까지의 의정부 경전철 자료는 1호선과의 환승인원이 포함되어 있다.
출처
파일:Seoulmetro1_icon.svg: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파일:ULine_icon.svg: 국도교통부 철도통계

의정부 경전철이 지어지기 전부터 하루 이용객이 3만 명 정도로 꽤 많은 편이었다. 도봉산-수락산 사이의 좁은 계곡이 끝나는 지점이라 시가지가 비교적 넓어져 배후 인구가 많은 데다, 중랑천 건너 장암지구에서 넘어와 열차를 타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1호선 경원선 구간으로만 보면 창동역보다 승하차객이 많고, 회기역, 의정부역, 석계역에 이어 네 번째로 탑승객이 많다.

자체 수요 + 버스 환승 수요까지 받아 경원선에서 꽤 높은 이용률을 보이며 차츰차츰 승객을 늘려갔는데, 경전철이 개통되면 버스로 넘어오는 승객들이 환승 수요로 빠지면서 일정 부분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2012년 의정부 경전철 개통 후에도 승하차객 숫자의 차이는 거의 없었는데, 이는 의정부 경전철과 직접 환승이 되지 않았던 까닭이다. 경전철 환승객도 버스 환승처럼 간접환승으로 집계되다 보니까 통계상으로는 차이가 나지 않았는데, 2015년에 무료 환승이 시행되면서 승하차객이 많이 감소했다. 2014년에 3만 2천 명이 넘던 게 2016년에는 2만 6천 명으로 크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빠진 수치가 경전철과의 환승객 숫자이다. 결국 예전처럼 자체 수요 + 버스 환승객은 2만 명대 중반 정도라는 것이 통계로 확인되고, 경전철과의 환승객은 5~6천 명 내외였다는 것이 간접적으로 확인된 것이다.

의정부 경전철 입장에서는 유일하게 다른 노선과 환승이 되는 역이라 가장 비중이 높은 역이다. 승하차객 숫자만 1만 명대 후반으로 경전철임에도 상당히 많은 수를 보이는데, 환승객이 포함되지 않는 1호선과는 달리 여기는 환승객을 포함한 숫자이다. 환승만 무료로 바뀌었을 뿐 아직 간접환승을 하고 있어 환승객 집계가 가능하고, 정부 보조금 문제 때문에 환승객을 차마 뺄 수가 없는 탓이다. 2023년 통계부터는 환승 집계가 제외되어, 의정부 경전철만 이용하는 승객은 8천 명 후반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4. 승강장

4.1. 수도권 전철 1호선

파일:회룡역 승강장(수도권 전철 1호선).jpg
수도권 전철 1호선 승강장
파일:회룡역(1) 안내도.png
1호선 역 안내도 (크게보기)
의정부
1 2
망월사
1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의정부·양주·동두천·연천 방면
2 광운대·회기·구로·인천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위치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연천 방면) → 파일:ULine_icon.svg 의정부 경전철 5-3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인천 방면) → 파일:ULine_icon.svg 의정부 경전철 6-2

회룡역과 의정부역 사이의 절연구간(교류-교류)이 존재한다.

스크린도어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상갈-수원 구간과 동일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4.2. 의정부 경전철

파일:의정경철회룡.jpg
의정부 경전철 승강장
파일:회룡역 안내도(의정부 경전철).jpg
의정부 경전철 역 안내도 (크게보기)
발곡
범골
파일:ULine_icon.svg 의정부 경전철 발곡 방면
의정부시청·경기도청북부청사·차량기지임시승강장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위치
파일:ULine_icon.svg 의정부 경전철 (발곡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2-1
파일:ULine_icon.svg 의정부 경전철 (탑석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1-1

5. 역 주변 정보

2번 출구 바로 옆에 2009년 완공한 자전거 전용 주차장이 있었는데 이를 해체한 후 다시 민자 투자협정을 받아서 2016년 1월 말, 7층짜리(옥상 1층 포함) 자전거, 자동차 겸용 대형 주차용 빌딩을 완공시켰다. 1, 2층에는 상가를 분양했으며 주차빌딩에는 자전거 300대, 자동차 192대가 동시에 수용가능하다.

회룡역 지하통로의 부산어묵 집이 유명했다. 지하통로 공사 종료와 함께 리뉴얼하며 어묵과 떡볶이 값이 많이 올랐다. 현재는 이전했는데, 언제 이전했는지는 불명이다.

과거에는 역 정면과 후면에 나 있는 도로에 돌을 박아 넣어 차량으로 이동할 때는 약간 불편했다. 인적이 많은 곳이라 차량의 속도를 내지 못하게 한 것으로 보이는데, 지하통로 공사와 함께 아스팔트로 새로 포장되며 해결이 됐다. 반대로 이번에는 원래 없던 횡단보도가 생기면서 보행자 통행 측면에서 불편이 생기게 된 게 함정.

회룡역을 중심으로 동쪽은 회룡역-망월사역 생활권이고, 서쪽은 외미-회룡골 생활권이다. 현재는 동쪽이 개발이 잘 된 상태이다. 서쪽을 중심으로 역전 상권이 재편되는 중이기는 하다.

회룡골쪽으로 올라가면 회룡사가 있고, 올라가는 길에 호원 초등학교가 있다.

근처에 스타벅스 드라이브 스루 매장이 있고 이용객이 매우 많으며 회룡역은 스타벅스에게, 스타벅스는 회룡역에게 덕을 본다고 할 만큼 서로 수혜를 보고 있다.

6. 연계 교통

회룡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회룡역
(08130)
<colcolor=#ffffff> 마을
시내
경기순환
회룡역
(08123)
마을
시내
경기순환
회룡역후문 (08611) 마을
회룡역후문 (08612) 마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7. 기타

  • 1호선의 역명을 가나다순으로 정렬했을 때 가장 마지막에 배치되는 역이다.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ULine_icon.svg 의정부 경전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원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여객영업 중지
}}}}}}}}}



[1] 회룡역은 과거에 코레일네트웍스업무위탁역이었지만, 의정부 경전철과의 환승역이 된 이후 한국철도공사의 직영역이 되었다.[2] 동묘앞역 개통 전 112번[3] 「의정부시 ‘경원선 회룡역 남부출입구’ 23일 개통」, 시정일보, 2018-06-07[4] 「수백억 쏟은 환승역, 엉터리 구조에 시민 분통」, SBS, 2012-09-20[5] 「회룡역 통합역사와 별도로 2013년까지 남부역사 건립」, 경기일보, 2012-09-11[6] 「의정부 경원선 회룡역 남부 출입구 연내 착공」, 의정부뉴스, 2014-08-26[7] 네이버 지도[8] 「의정부 회룡역 이용 편해진다」, 경기일보, 2015-03-19[9] 「의정부 회룡역 남부출입구 공사 지연… 주민 불만」, 경기일보, 2015-10-06[10] 「의정부 회룡역 남부 출입구 개설공사 4년만인 6월 착공」, 경기일보, 2017-03-29[11] 의정부 경전철의 자료는 환승인원을 제외한 수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