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 또는 구간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구간은 철도, 버스, 항공, 도선 등이 영구중단 또는 특정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구간은 철도, 버스, 항공, 도선 등이 영구중단 또는 특정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역과 초성리역 사이의 한탄강역은 동두천역과 연천역 간의 복선전철화 공사가 완료되면 폐역될 예정이다. |
전곡역[1] | ||||||
동두천 방면한탄강 ← 2.5 ㎞ | 경원선 대체운송버스 완행 | 백마고지 방면연 천 8.6 ㎞ → | ||||
{{{#!folding 통근열차 노선 보기 (운행중단)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동두천 방면한탄강 ← 2.5 ㎞ | 경원선 통근열차 | 백마고지 방면연 천 8.6 ㎞ → | }}}}}} | ||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 1호선 (미개통) | 초성리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Jeongok | |||||
한자 | 全谷 | |||||
중국어 | ||||||
일본어 | [ruby(全谷, ruby=チョンゴク)] | |||||
주소 | ||||||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역로 75 (전곡리)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의정부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 ||||||
운영 기관 | ||||||
경원선 | | |||||
개업일 | ||||||
경원선 | 1912년 7월 25일[2] 1954년[3] ~ | |||||
대체운송버스 | 2019년 4월 1일 | |||||
| 2023년 4월 예정 | |||||
역사 구조 | ||||||
지상 -층 | ||||||
승강장 구조 | ||||||
| ||||||
철도거리표 | ||||||
용산 방면 ← 5.5 ㎞ | 전 곡 (미개통) | 백마고지 방면 8.6 ㎞ → |
[clearfix]
1. 개요
| |
구 역사[4] | |
| |
신 역사 투시도 |
경원선의 철도역으로,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역로 75에 자리한다.
2. 역 정보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내에 자리한 역이다. 군 전체의 상업/교통 중심지인 전곡읍내 한복판에 있는 역이라 예로부터 경원선에서 손꼽는 비중을 차지했으며, 특히 최전방 곳곳에 자리한 부대원들의 수요가 매우 높다. 통일호 및 통근열차가 의정부역까지 운행하던 시절에는, 종착역인 의정부역과 신탄리역을 빼면 가장 수요가 많았다.참고로 북쪽방향의 다음 역인 연천역과는 8.6㎞ 떨어져 있어 비교적 간격이 길다.
38선으로 남북이 나뉘었을 때에는 북한의 최남단이었지만, 기록에 따르면 영업을 안 하고[5] 연천역이 북한 경원선의 종점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각종군수물자를 대기 위해 개조한 흔적을 전곡역에서는 찾을 수 없다. 즉 철원역, 장단역, 초구역과 똑같이 될 뻔했다.
주 이용객은 지역 주민과 군인이다. 다만 버스가 증편되고 통근열차가 폐지되면서 이용객이 꽤나 감소했다. 2006년에 의정부-동두천 복선전철 개통 바로 뒤에는 의정부역 종점시절에 견줘서 이용객이 엄청나게 떨어졌어도 그럭저럭 고정수요가 남아 있었다. 그런데 2011년에 홍수로 한탄강 다리가 유실되고 열차가 몇 달 동안 운행중단하면서 일어난 이탈이 이용객 감소를 불러왔다.
2023년 4월에 개통예정인 동두천-연천 전철화공사는 원래 고가화하려던 곳이나 중간에 엎어져서 지상으로 가는 걸로 결정되었는데 이때에 근처건널목을 없애고 50m 전방에 고가도로를 건설하겠다고 한다. 가는 데 상당히 불편해서 지역주민들은 원안대로 고가로 해서 건널목 구간을 도로로 해달라면서 주장하고 있다.
전철화 뒤에도 기존시설물들을 고쳐서 쓸 예정이지만, 역사는 철거한 뒤에 재시공한다. 새 역사 조감도 사진 2020년 이전에 옛 역사는 헐렸다.
2018년 8월 29일에 집중호우로 차탄철교가 침수되어서 9월 7일까지 전곡~연천 구간 통근열차운행이 중단되었다. 연천~백마고지 구간 경원선 대체운송버스가 이역까지 운행하면서, 통근열차는 당시 이 역까지 운행하였다.
2019년 4월 1일부터 경원선 동두천~연천 구간 전철화공사로 인해서 모든 열차 운행이 임시중단되었다. 대신에 요금 그대로 대체운송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이 역부터 북위 38도 이북이다.[6] 1호선이 연천역까지 개통하면 연천역과 함께 역대 최초로 북위 38도 이북(즉 구 북한 측 영토)에서 영업하는 수도권 전철의 역이 되는 셈이다.
3. 역 주변 정보
전곡초등학교, 전곡우체국, 전곡시외버스터미널, 전곡근린공원, 전곡농협, 연천전곡새마을금고가 있다.연천역과 전곡역 사이(역간거리 8.6km)에 있는 통현리와 은대리에도 연천군에서 역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통현리는 택지개발예정지이고, 은대리에는 연천소방서 및 많은 군부대가 있다.
4. 승강장
↑ 연천 | ||||||
ㅣ | ㅣ | 2 | 1 | ㅣ | ㅣ | ㅣ |
한탄강 ↓ |
1·2 | 경원선 | | |
|
5. 신 승강장 (예정)
↑ 연천 | |||||||||
ㅣ | ㅣ | ㅣ | ㅣ | ㅣ | - | - | ㅣ | ||
초성리 ↓ |
- | | 연천 방면 |
- | 의정부·광운대·구로·인천 방면 |
6.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80c379> 연도 ||
[[통근열차(한국의 열차등급)|
||<bgcolor=#80c379> 비고 ||통근열차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1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2,813명 | 비고 | ||
2003년 | 2,719명 | ||||
2004년 | 4,398명 | ||||
2005년 | 4,474명 | ||||
2006년 | 4,180명 | ||||
2007년 | 809명 | ||||
2008년 | 673명 | ||||
2009년 | 451명 | ||||
2010년 | 342명 | ||||
2011년 | 338명 | [A] | |||
2012년 | 250명 | [A] | |||
2013년 | 340명 | ||||
2014년 | 216명 | ||||
2015년 | 164명 | ||||
2016년 | 159명 | ||||
2017년 | 134명 | ||||
2018년 | 97명 | ||||
2019년 | 79명 | [9] | }}}}}}}}} | ||
연도 | | 비고 | |||
2023년 | 1,000명-명 | ||||
출처 | |||||
7. 연계 교통
39-2번말고 자주 다니는 노선이 없던 연천역 이북과 달리, 전곡역부터는 동두천 시내를 지나 양주 덕정주공까지 운행하는 53번 시리즈를 5~20분 간격으로 탈 수 있으며, 동두천, 양주, 의정부를 지나 서울 도봉산역까지 운행하는 장거리 노선인 39번도 40~60분 간격으로 탈 수 있다.전곡역 | |
완행 | 백마고지역, 신탄리역, 소요산역, 동두천역 |
전곡역(43542) | |
일반 | 포천, 용정산업단지 포천, 송우리 |
전곡역앞.농협(43214·43216) | |
일반 |
7.1. 전곡시외버스터미널
도보로 8분 거리에 자리한다. 해당 문서 참조.[1] 경원선 동두천역~연천역 구간 전철화공사로 인해서 2022년 12월까지 모든 열차운행이 중단된다.[2] 1945년 9월에 38선 이북으로 북한 땅이 되었으나 종점역이 연천역으로 지정되면서 폐역처리됨.[3] 6.25 전쟁 뒤에 남한이 수복 + 영업 재개[4] 현재는 철거되었다.[5] 지금의 철원역, 월정리역, 가곡역과 역할이 같다. 사실상 폐역.[6] 판문점 위도가 37.96이다. 판문점보다도 북쪽인 셈.[A] 초성천철교 유실로 인한 운행중단기간 제외.[A] [9] 1월 1일부터 영업마지막날인 3월 31일까지의 총 90일간 집계를 반영한 것이며, 해당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자료를 반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