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colbgcolor=#b62367> 가평군 | 60-10,-19 | 60-29 | 60-30 | |
광주시 | 15-3 | 15-5 | 38-27 | 38-25,-40,-41A | |
군포시 | 100 | 100-1 | |||
김포시 | 1 | 1-1 | 3-1 | 4 | |
4-1 | 4-2 | 7-2 | 8-1,-2 | ||
동두천시 | 90번대 | 91번대 | |||
시흥시 | 11-A/B/C | 37-1 | |||
양주시 | 365번대 | 700, 701 | |||
연천군 | 67번대 | 70번대 | 80-2 | 81번대 | |
의왕시 | 21 | 21-1 | |||
파주시 | 15 | 20-1 | 75번대 | 77번대 | |
93번대 | 313-1 | ||||
포천시 | 85-1 | 86 | 87번대 | 89 | |
기타 시/군 | 60(고양) | 8-1(과천) | 77(광명) | 58-A/B(부천) | |
123A,D(수원) | 33번대(양평) | 78(용인)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G2001 |
대체운송 | 대체운송 직행/완행 | |
일반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
70-1번. | 70-2번. |
1. 노선 정보
| |||||
평일에 운행 | |||||
기점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탄리(연천역) | 종점 |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노곡리(샛터) | ||
종점행 | 첫차 | 06:30 | 기점행 | 첫차 | 07:45 |
막차 | 18:30 | 막차 | 19:50 | ||
운수사명 | 연천교통 | 배차간격 | 1일 2회 | ||
노선 | 연천역 - 연천군청 - 통재입구 - 전곡터미널 - 전곡읍사무소 - 움터삼거리 - 남계리교회 - 황지리 - 진상리삼거리 - 우정다리앞 - 왕징슈퍼.왕징파출소 - 왕징면사무소 - 왕징슈퍼.왕징파출소 - 우정다리앞 - 우정리 - 미산입구 - 유촌리마을회관 - 백석리 - 허우고개 - 마전리 - 숭의전 - 아미2리마을회관 - 옹달샘농원 - 숭의전입구 - 아미리 - 백학초교 - 백학면사무소 - 백학종점 - 백학산단 - 전동삼거리 - 노곡리 - 샛터 |
| |||||
평일에 운행 | |||||
기점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탄리(연천역) | 종점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탄리(연천역) | ||
종점행 | 첫차 | 12:0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16:30 | 막차 | - | ||
운수사명 | 연천교통 | 배차간격 | 1일 2회 | ||
노선 | 연천역 - 연천군청 - 통재입구 - 전곡터미널 - 농협사거리 - 연천의료원 - 움터삼거리 - 남계리 - 황지리.댕골 - 진상리삼거리 - 우정다리 → 미산입구 → 마전초교 → 노동리입구 → 넘바위 → 왕징면사무소 → 우정다리 → 이후 역순 |
| |||||
평일에 운행 | |||||
기점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탄리(연천역) | 종점 |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동중리(동중리구판장) | ||
종점행 | 첫차 | 09:30 | 기점행 | 첫차 | 10:20 |
막차 | 14:30 | 막차 | 15:20 | ||
운수사명 | 연천교통 | 배차간격 | 1일 2회 | ||
노선 | 연천역 - 연천군청 - 통재입구 - 전곡터미널 - 전곡읍사무소 - 농협사거리 - 연천의료원 - 움터삼거리 - 남계리교회 - 황지리 - 진상리삼거리 - 우정다리앞 - 왕징슈퍼.왕징파출소 - 왕징면사무소 - 무등리 - 노동리마을회관 - 동중리마을회관 - 동중리구판장 |
1.1. 한시적 운행노선
| |||||
주말에 운행 (하절기 한정) | |||||
기점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탄리(연천역) | 종점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부곡리(재인폭포) | ||
종점행 | 첫차 | 07:00 | 기점행 | 첫차 | 08:10 |
막차 | 18:00 | 막차 | 19:10 | ||
운수사명 | 연천교통 | 배차간격 | 140~180분(1일 5회) | ||
노선 | 연천역 - 연천군청 - 통재입구 - 은대4리 - 전곡터미널 - 전곡역 - 예일세띠앙 - 한탄강관광지입구 - 한탄강유원지 - 전곡선사유적지 - 전곡터미널 - 은대4리 - 통재입구 - 오봉산 - 고문리삼거리 - 용해마을 - 고문리삼거리 - 재인폭포 |
2. 개요
연천교통에서 운행 중인 맞춤형버스 노선이다. 총 운행거리는 각각 79.4km(70번), 52.1km(70-1번), 54.0km(70-2번)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70번, 70-1번, 70-2번, 70-3번)3. 역사
- 2016년 4월 18일부터 26일까지 사업자 모집을 받았다. 연천군 고시/공고에서 '연천군 공고 제 2016-390호'로 검색하면 관련 공고문이 나온다.
- 2016년 7월 1일에 신설되었다. 연천군 공지사항 1 연천군 공지사항 2 공고문 때와 달리 세 노선 모두 '연천역 - 연천군청 - 통재입구 - 전곡터미널' 구간이 연장되었고, 70번은 동이리와 구미리에 들어갔다가 나오는 걸로 바뀌었다.
- 2016년 8월 1일에 70번이 1회 감회되었고, 세 노선 모두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연천군 공지사항
- 2017년 10월 16일에 70-3번이 신설되었고 나머지 노선들도 경로가 변경되었다. 연천군 공지사항
- 70번 변경 이전 : 연천역 - 연천군청 - 통재입구 - 전곡터미널 - 전곡읍사무소 - 움터삼거리 - 남계리교회 - 황지리 - 진상리삼거리 - 우정다리앞 - 왕징슈퍼.왕징파출소 - 왕징면사무소 - 왕징슈퍼.왕징파출소 - 우정다리앞 - 우정리 - 미산입구 - 유촌리마을회관 - 백석리 - 허우고개 - 마전리 - (← 동이리 ←) - 숭의전 - 아미2리마을회관 - (→ 구미리 →) - 옹달샘농원 - 숭의전입구 - 아미리 - 백학초교 - 백학면사무소 - 백학종점 - 백학산단입구 - 서경 : 이후 동이리, 구미리 미경유, 서경 대신 샛터 행으로 변경.
- 70-1번 변경 이전 : 연천역 → 연천군청 → 통재입구 → 전곡터미널 → 농협사거리 → 전곡리선사유적지 → 한탄강유원지 → 적암삼거리 → 적암초교 → 어유지리삼거리 → 봉화촌 → 삼화리 → 허우고개 → 백석리 → 유촌리마을회관 → 미산입구 → 우정리 → 우정다리앞 → 왕징슈퍼.왕징파출소 → 왕징면사무소 → 왕징슈퍼.왕징파출소 → 우정다리앞 → 진상리삼거리 → 황지리 → 남계리교회 → 움터삼거리 → 전곡읍사무소 → 전곡터미널 → 통재입구 → 연천군청 → 연천역
- 70-2번 : 전곡터미널에서 읍사무소로 가지 않고, 농협사거리와 연천의료원 경유로 변경.
- 이후 70-3번이 폐선되었으나, 다시 부활했다. 대신 70번, 70-1번, 70-2번이 평일에만 운행하는 걸로 바뀌었다.
- 2019년 2월에 70-3번이
또다시 폐선되었으며, 70번, 70-1번, 70-2번이 다시 주말에도 운행하는 걸로 바뀌었다.
- 2019년 6월 22일에 70-3번이
또다시 주말에 한하여 운행을 재개하였고, 70번, 70-1번, 70-2번은 평일에만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19년 12월 1일부터 70-3번이
또다시 폐선되었으며, 70, 70-1, 70-2번이 상시운행으로 변경되었다.
- 2020년 6월 6일부터 70-3번이
또다시 부활하였다.
- 2020년 11월 초부터 70-3번이
또다시 폐선되었다.
- 2022년 5월 초부터 70-3번이 다시 부활하였다. 다만, 재인폭포 정류소가 과거 재인폭포 앞이 아닌 길 공사로 입구 주차장으로 변경됨
4. 특징
- 동두천시 회사 소속 노선이 대부분인 연천군에, 오랜만에 등장한 연천군 면허 노선이다.
- 39-2번 출신 선롱 듀에고 1대로 운행하다가 최근 현대 카운티 뉴 브리즈 디젤로 운행중이다.
- 70번은 58번의 백학산업단지 행 노선과 숭의전 경유 노선을 섞은 형태며, 70-2번은 연천에서 출발한다는 점만 제외하면 58번, 62-3번과 동일한 노선이다.
- 전곡시외버스터미널에 들어갔다가 나온다. 대양운수 터미널에는 들어가지 않고 앞으로만 지나가니 주의.
- 70-3번은 관광지 노선으로 재인폭포 앞까지 들어간다. 5월~9월 주말에만 운행하기 때문에, 버스 정보에서 삭제되는건 폐선이 아니라 단지 운행이 중단되는 것 뿐이다.
- 56번대 노선 중 대흥슈퍼로 들어오는 시간대와 70-3번은 대부분 1시간 정도 간격으로 되어 있어 한탄강댐과 재인폭포, 그리고 사잇길을 관광하면서 걸어가면 얼추 시간에 맞게 연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