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7:06:12

서울시자원봉사센터

서울시자원봉사센터
Seoul Volunteer Center
파일:서울시자원봉사센터 로고.svg
정식 명칭 서울시자원봉사센터
한자 명칭 서울市自願奉仕센터
영문 명칭 SVC (Seoul Volunteer Center)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설립일 2006년 1월 18일
이사장 나진구[1]
센터장 송창훈
기업 분류 지방공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미션 시민과 함께하는 자원 봉사로 행복한 세상을 만듭니다.
비전 천만 서울시민의 건강한 자원봉사 생태계 조성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163 서울신용보증재단B/D (공덕동)
관련 웹사이트
서울시자원봉사센터 공식 홈페이지
공식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서울시자원봉사센터 공식 블로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서울시자원봉사센터 공식 유튜브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서울시자원봉사센터 공식 페이스북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서울시자원봉사센터 공식 인스타그램
서울특별시 자원봉사 슬로건
파일:쉽다구.png
관련 전화번호
대표전화: 1670-1365
▲ 서울시자원봉사센터 공식 홍보영상
사람중심, 현장중심, 과정중심
서울시자원봉사센터의 핵심가치

1. 개요2. 연혁3. 설립근거4. 채용5. 시행사업

1. 개요

서울특별시 산하 공공기관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163 (공덕동)에 위치해 있다.

2. 연혁

3. 설립근거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제 19조 자원봉사활동기본법

서울특별시 자원봉사활동지원조례 제4조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취지를 살려 법인체제로 운영함으로써 자원봉사업무의 특성인 민간파트너십 구축 및 민간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지원함으로써 자원봉사체계의 장기적인 발전 토대 마련

4. 채용


채용은 7급 공개채용 기준으로 NCS 기반하에 이뤄지며, 그 단계는 대략,

서류전형 - 1차 NCS 필기시험 - 2차 인/적성능력평가 필기시험 - 최종면접 - 임용

순으로 진행된다. 서류전형은 주로 자격사항과 경력사항 및 자기소개서를 중심으로 채용 공고상 고지한 우대사항의 합산 점수를 통해 선발되며, 이후 필기전형에서 5배수 정도로 추려진다. 면접은 인성면접, 상황면접, 임원면접 등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므로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시장형 공공기관이 아닌, 비영리 공공기관이기에 공개채용 규모가 크지않다.
채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자원봉사센터 채용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https://volunteer.seoul.go.kr/recruit.do

5. 시행사업


중점사업 01. 이웃화합 프로젝트
  • 지역사회 이웃 간 소통을 경험하는 봉사활동으로 이웃관계를 개선합니다.

    • 가. 대상 : 일반시민, 자치구자원봉사센터, 유관기관 및 단체
      나. 주요내용
      - 이웃사촌 관계 회복, 어려운 이웃에게 선물 전하기 등 이웃화합 캠페인 운영
      - 자치구자원봉사센터 이웃 프로젝트 시범사업 운영 지원
      - 주민화합, 갈등조정, 홍보대사 등 ‘이웃봉사단’ 구성
      - 공동체, 갈등 관리 및 조정 등 이웃봉사단 역량 강화 교육


중점사업 02. 서울동행 청년봉사
  • 대학생, 청년 자원봉사 활동 플랫폼으로 멘토링, 기획봉사, 약자지원 등 다양한 사회참여 기회를 제공합니다.

    • 가. 대상 : 청년, 대학(원)생
      나. 주요내용
      - 교육, 재능, 돌봄, 지역사회 분야 ‘대학생 멘토링 자원봉사’ 운영
      - 약자동행을 위한 기업연계 ‘서울 청년 기획봉사단’ 운영
      - 서울동행 참여자 인정격려를 위한 봉사여행(볼런투어) 운영


중점사업 03. 지역 돌봄봉사
  • 주민이 함께하는 동 단위 자원봉사캠프 운영을 통해 동네 생활권 단위의 자원봉사를 활성화합니다.

    • 가. 대상 : 자치구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캠프
      나. 주요내용
      -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 돌봄·살핌 활동 ‘내 곁에 자원봉사’ 운영
      - 이웃과 함께하는 계절별 집중 봉사활동 운영
      - 자원봉사캠프 활동가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운영


민관협력 01. 재난대비 민관협력
  • 재난대응 협력 체계 구축과 ‘바로봉사단’ 운영을 통해 재난재해에 효과적으로 대비합니다.

    • 가. 대상 : 자치구자원봉사센터, 재난 전문기관 및 협회, 단체, 직능봉사단
      나. 주요내용
      - 재난현장 초동대응 및 전문기술 자원봉사 운영을 위한 ‘바로봉사단’ 운영
      - 바로봉사단 재난대응 역량 강화 교육 운영
      - 지역 주민이 함께하는 재난 예방활동 운영
      - 서울시 재난현장 ‘통합자원봉사지원단’ 운영

민관협력 02. 시민참여 기반강화
  • 서울시 자원봉사 참여 기반 강화를 위해 시·구 자원봉사센터의 중점사업을 공유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합니다.

    • 가. 대상 : 서울시 25개구 자원봉사센터
      나. 주요내용
      - 자원봉사 현안 논의를 위한 시·구 자원봉사센터장, 중간관리자 회의 운영
      - 자치구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지원을 위한 공모사업 운영
      - 자치구자원봉사센터 수요처 담당자 간담회, 자원봉사 정책위원회 운영
      - 서울시 우수 자원봉사자 인정격려를 위한 ‘서울특별시 자원봉사 유공자 표창’ 운영


민관협력 03. 기업협력
  • 기업, 공공 협력을 통해 사회문제 대응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원봉사 참여를 활성화합니다.

    • 가. 대상 : 기업, 공공기관, 자원봉사단체
      나. 주요내용
      - 기업, 공공, 단체 등 협력기관 발굴 및 네트워크 관리
      - 민관협력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 시민참여 자원봉사 플랫폼 ‘모아’ 운영


문화조성 01. 자원봉사 역량개발
  • 자원봉사 교육 운영을 통해 자원봉사자의 시민리더 역량을 기르고, 자원봉사 관리자의 전문성을 강화합니다.

    • 가. 대상 : 자원봉사자, 자원봉사 유관기관 관리자
      나. 주요내용
      - 자원봉사 e-러닝 플랫폼 'V클래스'운영
      - 자원봉사 괸리자 전문 교육과정 운영
      - 서울시민대학 연계 '자원봉사 시민석사'과정 운영


문화조성 02. 자원봉사 인식확산
  • 자원봉사의 사회적 기여와 성과를 발굴·확산하여 자원봉사 인지도를 제고하고 시민참여를 확대합니다.

    • 가. 대상 : 일반시민
      나. 주요내용
      - 자원봉사 인지도 제고를 위한 V팝업(전시·홍보부스) 운영
      - 자원봉사 성과 확산을 위한 언론보도, 소식지, 연차보고서 발간, 공식 홍보채널 운영
      - 국내·외 자원봉사 조사 및 자원봉사 관련 연구 수행





[1] 前 서울특별시 중랑구청장,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